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메탈 베이블레이드 2

덤프버전 :


베이블레이드 애니메이션 시리즈
[ 펼치기 · 접기 ]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시리즈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2001)
탑블레이드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2002 (2002)
탑블레이드 V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G 레볼루션 (2003)
팽이대전 G블레이드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THE MOVIE
격투!! 타카오 VS 다이치 (2002)
탑블레이드 더 무비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시리즈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2009)
메탈 베이블레이드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폭 (2010)
메탈 베이블레이드 2
극장판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VS 태양
작열의 침략자 솔블레이즈 (2010)
극장판 메탈 베이블레이드 VS 태양 작열의 침략자 솔블레이즈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ZERO-G (2012)
메탈 베이블레이드 제로G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시리즈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2016)베이블레이드 버스트 갓 (2017)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초제트 (2018)
극장판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갓
갓 발키리의 탄생 (2017)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가치 (2019)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진검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슈퍼킹 (2020)베이블레이드 버스트 다이너마이트 배틀 (2022)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쿼드 스트라이크 (2023)
베이블레이드X 시리즈
베이블레이드X (2023)
기타 작품
베이휠즈 (2012)베이레이더즈 (2014)베이워리어즈 사이보그 (2014)
주인공 · 라이벌 · 히로인 · 최종보스


메탈 베이블레이드 2: 세계정복[1] (2010~2011)
メタルファイト ベイブレード 爆
Beyblade Metal Masters
파일:kv_BEYBLADE_METAL_MASTERS.png
작품 정보 ▼

장르액션, 배틀, 다크 판타지, SF,[1] 소년만화
원작아다치 타카후미(足立たかふみ)
시리즈 원안이시모토 타카시(石本隆史)
쿠니마사 오사무(國政 修)
감독스기시마 쿠니히사
시리즈 구성하세가와 카츠미(長谷川勝己)
캐릭터 디자인나가모리 요시히로(長森佳容)
메카닉 디자인이토 히데키(伊東英樹)
미술 설계요시하라 카즈스케(吉原一輔)
미술 감독혼다 타카시(本多 敬)
색채 설계나가오 타마미(長尾朱美)
CG 감독시오노 히데미츠(塩野英光)
촬영 감독세키야 요시히로(関谷能弘)
편집오노데라 케이코(小野寺桂子)
음향 감독마츠오카 히로키(松岡裕紀)
음악Neil Parfitt
Scott Bucsis
애니메이션 제작SynergySP
제작테레비 도쿄
d-rights
방영 기간2010. 04. 04. ~ 2011. 03. 27.
2010. 09. 15. ~ 2011. 04. 14.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도쿄 / (일) 08: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투니버스, 애니맥스, JEI 재능TV
국내 스트리밍 서비스없음[2]
편당 러닝타임24분
화수51화
국내 심의 등급파일:7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7세 이상 시청가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스파이럴 포스와 어레인지가 등장하는 후반부 한정.[2] 판권이 만료돼서 없어졌다.

1. 개요
2. 특징
3. 국내 방영
5. 등장 베이블레이드
6. 주제가
6.1. 오프닝 - ギャラクシーハート(갤럭시 하트)
6.2. 엔딩 - 大空を越えてゆけ (넓은 하늘을 뛰어넘어라!)
6.3. 영문판 오프닝 & 엔딩 - Beyblade Metal Masters
7. 회차 목록
8. 평가
9. 기타



1. 개요[편집]


빅뱅 블레이더즈. 그것은, 베이블레이드 넘버 원 팀을 정하기 위한 지상공세 최대 규모의 세계 대회이다.
강한 유대와 블레이더의 운명. 노려라 최강. 이것은 베이블레이더의 모든 것을 건 뜨거운 이야기이다.[2]

메탈 베이블레이드 시리즈의 2번째 작품이며, 이 작품도 총 51화로 완결을 지었다.

2. 특징[편집]


배틀 블레이더즈의 열기에 힘입어 세계대회인 빅뱅 블레이더즈가 개최되고, 하가네 긴가가 동료들과 대표팀을 꾸려 세계의 강호들에게 도전한다는 내용이다. 후반부에는 류우가마사무네가 직접적으로 얽히며 지구라트를 비롯한 스타브레이커와의 전면전을 다룬다. 1기와의 차이라면 한국에서 방영할 때 화질의 상당히 좋아졌다.

1기의 쿄우야켄타, 벤케이가 주연에서 빠지고[3] 츠바사유우가 강강갤럭시 멤버로서 비중이 크게 증가했다.[4][5] 신 캐릭터인 카도야 마사무네가 긴가와 더블 주인공 체제를 형성한다.


3. 국내 방영[편집]


한국에서는 같은 해인 2010년 9월 15일, 투니버스에 방영되었는데 일본판 제목을 그대로 따라 쓰지 않고 메탈 베이블레이드 2: 세계정복이라는 이름으로 방영되었으며 전작과 마찬가지로 part 1, part 2로 나뉘어 방영했는데 이번에도 일본판 분량을 빠른 속도로 따라잡아서 일본판이 완결된 지 얼마 안 가 한국판도 마지막화까지 방영하였다.

4. 등장인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3번 문단을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등장 베이블레이드[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3번 문단을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주제가[편집]



6.1. 오프닝 - ギャラクシーハート(갤럭시 하트)[편집]


OP
ギャラクシーハート(갤럭시 하트)
세번째 오프닝(일본어)
네번째 오프닝(일본어)
첫번째 오프닝(한국어)
Full ver.
노래YU+KI
작사Reona
작곡키노시타 코지(木下浩二)
편곡스즈키 아키라(鈴木 啓)
가사 ▼

ベイブレード! ベイブレード! ベイブレード! GO!!
베이블레이드! 베이블레이드! 베이블레이드! 고!
ベイブレード! ベイブレード! ベイブレード! Shoot!
베이블레이드! 베이블레이드! 베이블레이드! 슛!
この広い世界
이 넓은 세상 위에는
無限のライバルがまつてる
수많은 라이벌이 기다리고 있어
立ち向かおう オレとマエで
맞서 싸우자, 승리를 향해서!
つかむんだ ー番星を
최고의 별을 거머쥐는 거야!
ギャラクシー!!
갤럭시!
世界中を照らてく
세상을 비추는 진정한 힘을
ホントのつよさを 探した行こう
너와 나 다 같이 찾으러 가 보자~!
3, 2, 1
ゴーツユーイ!!
고 슛!
翼広げかけ巡る
날개 활짝 펴고 날아올라 봐!
涙も夢も ぜんぶのせて
눈물도 꿈들도 모~두 다 싣고!
心のぎ銀河 今 燃え上がる
마음의 은하가 불타오르고 있어
ただひとつ 勝利の魂!!
단 하나의 승리를 향해서
込めてぶつけろメタル!!
힘차게 부딫혀, 메탈~!
ベイブレード!!!
베이블레이드!


6.2. 엔딩 - 大空を越えてゆけ (넓은 하늘을 뛰어넘어라!)[편집]


ED
大空を越えてゆけ (넓은 하늘을 뛰어넘어라!)
엔딩(일본어)
엔딩(한국어)
노래오도리바소울(踊り場ソウル)
작사츠치야 후미히코(土屋文彦)
에비스야 슌타(戎谷俊太)
작곡에비스야 슌타(戎谷俊太)
편곡
가사 ▼

数えきれい声 空にな鳴響く
수 없이 많은 목소리 하늘에 울려 퍼지네
木空を 越えてゆけ!!
넓은 하늘을 뛰어넘어라!
君が 流した 涙を
너와 함께 흘린 땀방울은
忘れはしないよ
나는 잊지 않을 거야
一歩 一歩 前に進むのは
내가 전질할 수 있었던 건
君がそばにいるから
네가 있어준 덕분이야
歓声の中 目を開き、
함성 속에서도 들을 수 있어
君を想う
너의 목소리
流した涙の事を
우리 앞으로 흘려야 할 눈물은
おそれずに 力強く
두려워 말고 박차고 나가
走ってゆく Oh Yeah
가슴 활짝 열고~ OH, Yeah!
決戦の笛が 今 空に鳴り響く
결던의 휘슬이 지금 하늘에 울려퍼지네
さあ、俺達が最高のゲームにしよう
자, 이제 우리들, 최고의 게임을 펼치자
何度も 何度でも 夢をわ見てゆこう
몇 번이고 넘어져도 몇 번이고 또 일어나
それざれが 叶えていく
작은 가슴에 큰 품을 품고
大空を 越えてゆけ!!
넓은 하늘을 뛰어넘어라!



6.3. 영문판 오프닝 & 엔딩 - Beyblade Metal Masters[편집]


OP/ED
Beyblade Metal Masters
오프닝 (영어)
노래Clifton David(클리프턴 데이비드
작사Clifton David(클리프턴 데이비드
작곡Neil Parfitt(닐 파핏
편곡Neil Parfitt(닐 파핏
가사 ▼

Beyblade, Beyblade
Let it Rip
Let's Fight an epic Battle,
Face off, and spin the metal,
No time for doubt now, no place for backing down,
Beyblade, Beyblade
Let it rip!
Beyblade, Beyblade
Let it rip!
Spin out, the play now, bring on, the power!
Right to the top yeah, We're never giving up!
Here comes here comes... Metal Masters!
Let's go Beyblade,
Let it rip!
Metal Masters, Let it rip!
Beyblade, Beyblade
Let it rip!
This is it, Get a grip, Let it rip


7.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6]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방영일
제1화伝説を求めて[7]
새로운 페가시스의 탄생
스즈키 마사시
(鈴木雅詞)
코데라 카츠유키
(こでらかつゆき)
오가타 타카히데
(緒方隆秀)
오노다 타카유키
(小野田貴之)
日: 2010.04.04.
韓: 2010.09.23.
제2화不屈の一角獣(チャレンジャー
불굴의 도전자
쿠보타 마사시
(久保田雅史)
나카무라 노리유키
(中村憲由)
토사카 신
(登坂 晋)
이카이 카즈유키
마키우치 모모코
(牧内ももこ)
日: 2010.04.11.
韓: 2010.09.23.
제3화新たなる挑戦
새로운 도전
치바 카츠히코
(千葉克彦)
코데라 카츠유키히구치 요스케
(樋口洋介)
이토 유지
(伊藤裕次)
데노 요시노리
(出野喜則)
소토야 아키라
(外谷 章)
日: 2010.04.18.
韓: 2010.09.30.
제4화世界への切符
세계로 가는 티켓
아미야 마사하루
(あみやまさはる)
나카무라 노리유키마치타니 슌스케
(町谷俊輔)
이카이 카즈유키日: 2010.04.25.
韓: 2010.09.30.
제5화決戦!レオーネVSアクイラ
결전! 로크 레온 대 아쿠이라!
신마 카즈아키
(新間一彰)
하세가와 카츠미
(長谷川勝己)
후지모토 요시타카
(藤本義孝)
후세 야스유키
(布施康之)
우치노 아키오
(内野明雄)
사카이 타카히로
(酒井孝裕)
요코마츠 유마
(横松雄馬)
日: 2010.05.02.
韓: 2010.10.07.
제6화翔け、世界へ!
세계를 향해 날개를 펴라!
후데야스 카즈유키마츠이 히토유키마츠모토 마사유키
(松本マサユキ)
나카지마 나기사
(中島 渚)
日: 2010.05.09.
韓: 2010.10.07.
제7화天空のベイ林寺
베이의 소림사!
쿠보타 마사시코데라 카츠유키오가타 타카히데오노다 타카유키日: 2010.05.16.
韓: 2010.10.14.
제8화第三の男
제3의 사나이
치바 카츠히코나카무라 노리유키토사카 신마키우치 모모코
야마구치 아스카
(山口飛鳥)
日: 2010.05.23.
韓: 2010.10.14.
제9화開幕!世界大会
개막! 세계 대회!
스즈키 마사시코데라 카츠유키히구치 요스케이토 유지
데노 요시노리
소토야 아키라
日: 2010.05.30.
韓: 2010.10.21.
제10화ラチェルタの意地
라체르타의 의지!
하세가와 카츠미나카무라 노리유키마치타니 슌스케이카이 카즈유키日: 2010.06.06.
韓: 2010.10.21.
제11화四千年の奥義
4천년의 다짐
야마구치 타카시
(山口隆司)
코데라 카츠유키후세 야스유키우치노 아키오
요코마츠 유마
사카이 타카히로
日: 2010.06.13.
韓: 2010.10.28.
제12화勇者の名を持つベイ
용사의 이름을 가진 베이
쿠보타 마사시마츠이 히토유키마츠모토 마사유키나카지마 나기사日: 2010.06.20.
韓: 2010.10.28.
제13화極寒の地ロシア
극한의 땅 러시아!
후데야스 카즈유키코데라 카츠유키오가타 타카히데오노다 타카유키日: 2010.06.27.
韓: 2010.11.01.
제14화壮絶!金網デスマッチ!
공포의 쇠그물 대결!
아미야 마사하루나카무라 노리유키토사카 신마키우치 모모코
야마구치 아스카
日: 2010.07.04.
韓: 2010.11.01.
제15화リブラ出陣!
출동, 리브라!
치바 카츠히코코데라 카츠유키히구치 요스케이토 유지
데노 요시노리
소토야 아키라
日: 2010.07.11.
韓: 2010.11.08.
제16화戦士の祭典
전사의 축제
스즈키 마사시나카무라 노리유키마치타니 슌스케이카이 카즈유키日: 2010.07.18.
韓: 2010.11.08.
제17화再会!王虎衆(ワンフージョン
다시 만난 왕호단
후데야스 카즈유키코데라 카츠유키사토 키요미츠
(佐藤清光)
우치노 아키오
사카이 타카히로
요코마츠 유마
日: 2010.07.25.
韓: 2010.11.15.
제18화灼熱の獅子
작렬하는 사자
쿠보타 마사시마츠이 히토유키마츠모토 마사유키나카지마 나기사日: 2010.08.01.
韓: 2010.11.15.
제19화衝撃のワイルドファング
충격의 와일드팡!
하세가와 카츠미코데라 카츠유키오가타 타카히데오노다 타카유키日: 2010.08.08.
韓: 2010.11.22.
제20화天空の神(ホルセウスVS一角獣(ユニコルノ
호르세우스 대 유니콘!
아미야 마사하루나카무라 노리유키호시노 마코토
(星野 真)
야마구치 아스카
마키우치 모모코
日: 2010.08.15.
韓: 2010.11.22.
제21화永遠の好敵手(ライバル
영원한 라이벌
치바 카츠히코코데라 카츠유키히구치 요스케이토 유지
데노 요시노리
소토야 아키라
日: 2010.08.22.
韓:
제22화崖っぷちの第三試合
벼랑 끝에 선 3회전!
하세가와 카츠미
야마구치 타카시
나카무라 노리유키마치타니 슌스케이카이 카즈유키日: 2010.08.29.
韓:
제23화死闘の果て!
사투의 끝!
하세가와 카츠미
스즈키 마사시
코데라 카츠유키사토 키요미츠우치노 아키오
요코마츠 유마
사카이 타카히로
日: 2010.09.05.
韓:
제24화忍びよる闇
다가오는 어둠!
후데야스 카즈유키마츠이 히토유키스즈키 타카토시
(鈴木孝聡)
나카지마 나기사日: 2010.09.12.
韓:
제25화破壊の斧
파괴의 도끼!
쿠보타 마사시코데라 카츠유키오가타 타카히데오노다 타카유키日: 2010.09.19.
韓:
제26화竜皇(エルドラゴ、再び
다시 만난 엘드라고!
하세가와 카츠미마츠이 히토유키히구치 요스케이토 유지
데노 요시노리
소토야 아키라
日: 2010.09.26.
韓:
제27화限界を越えろ!
한계를 넘어라!
아미야 마사하루나카무라 노리유키토사카 신야마구치 아스카
마키우치 모모코
日: 2010.10.03.
韓:
제28화暗黒鷲(ダークアクイラ
다크 아쿠이라![8]
하세가와 카츠미코데라 카츠유키히라오 미호
(平尾みほ)
오다카 요시노리
(小高義規)
나카지마 나기사日: 2010.10.10.
韓:
제29화グラビティペルセウス
그라비티 페르세우스!
하세가와 카츠미
스즈키 마사시
마츠이 히토유키사토 키요미츠우치노 아키오
요코마츠 유마
사카이 타카히로
日: 2010.10.17.
韓:
제30화白昼のストリートバトル
한낮의 스트리트 파이트!
치바 카츠히코코데라 카츠유키스즈키 타카토시콘노 코이치
(今野幸一)
타카하시 카츠유키
(高橋克之)
日: 2010.10.24.
韓:
제31화ブラジリアントラップ
브라질리언 트랩!
후데야스 카즈유키마츠이 히토유키오가타 타카히데오노다 타카유키日: 2010.10.31.
韓:
제32화爆闘!トルネードバトル
토네이도 배틀!
쿠보타 마사시코데라 카츠유키히구치 요스케이토 유지
데노 요시노리
소토야 아키라
日: 2010.11.07.
韓:
제33화激走!レイギル
돌진, 레이 킬!
하세가와 카츠미나카무라 노리유키나카무라 노리유키
오다시마 슌
(小田嶋 俊)
마키우치 모모코
이카이 카즈유키
야마구치 아스카
日: 2010.11.14.
韓:
제34화友の名はゼオ
장군이의 친구 제오!
아미야 마사하루마츠이 히토유키사이토 히로야
(齋藤啓也)
오다카 요시노리
나카지마 나기사日: 2010.11.21.
韓:
제35화合言葉はNO.1
세계 최강의 꿈!
치바 카츠히코코데라 카츠유키사토 키요미츠우치노 아키오
사카이 타카히로
요코마츠 유마
日: 2010.11.28.
韓:
제36화動き始めた陰謀
움직이기 시작한 음모
하세가와 카츠미마츠이 히토유키스즈키 타카토시콘노 코이치
타카하시 카츠유키
日: 2010.12.05.
韓:
제37화運命の羅針盤(ビクシス
운명의 나침반
코데라 카츠유키오가타 타카히데오노다 타카유키
아마사키 마나무
(天崎まなむ)
日: 2010.12.12.
韓:
제38화凶気の孔雀(ビフォール
광기의 비폴
스즈키 마사시
하세가와 카츠미
마츠이 히토유키히구치 요스케소토야 아키라
데노 요시노리
하시구치 하야토
(橋口隼人)
日: 2010.12.19.
韓:
제39화地獄の番犬(ケルベクス
지옥의 경비견
쿠보타 마사시나카무라 노리유키토사카 신마키우치 모모코
야마구치 아스카
日: 2010.12.26.
韓:
제40화白熱のDJバトル!?
황당한 DJ의 대결!
후데야스 카즈유키마츠이 히토유키사이토 히로야
오다카 요시노리
나카지마 나기사日: 2011.01.09.
韓:
제41화ファイナル・カウントダウン
파이널 카운트 다운
치바 카츠히코코데라 카츠유키사토 키요미츠사카이 타카히로
요코마츠 유마
日: 2011.01.16.
韓:
제42화竜皇、降臨
용왕의 강림
아미야 마사하루마츠이 히토유키스즈키 타카토시콘노 코이치
타카하시 카츠유키
日: 2011.01.23.
韓:
제43화魂のラストバトル
혼신의 마지막 대결
하세가와 카츠미코데라 카츠유키오가타 타카히데오노다 타카유키
아마사키 마나무
日: 2011.01.30.
韓:
제44화決着!銀河VSダミアン
승부! 강타 VS 데미안
마츠이 히토유키히구치 요스케이토 유지
데노 요시노리
소토야 아키라
日: 2011.02.06.
韓:
제45화驚異のスパイラルフォース
놀라운 스파이럴 포스!
쿠보타 마사시나카무라 노리유키토사카 신마키우치 모모코
야마구치 아스카
日: 2011.02.13.
韓:
제46화突入!ハデスシティ
하데스 시티로 가자!
후데야스 카즈유키코데라 카츠유키사이토 히로야
오다카 요시노리
나카지마 나기사日: 2011.02.20.
韓:
제47화堕ちた皇帝
타락한 황제!
스즈키 마사시마츠이 히토유키사토 키요미츠사카이 타카히로
요코마츠 유마
日: 2011.02.27.
韓:
제48화ビフォールの罠
비폴의 함정!
치바 카츠히코코데라 카츠유키스즈키 타카토시콘노 코이치
타카하시 카츠유키
日: 2011.03.06.
韓:
제49화放たれた野獣
우리를 벗어난 야수!
아미야 마사하루마츠이 히토유키오가타 타카히데오노다 타카유키
아마사키 마나무
日: 2011.03.13.
韓:
제50화暴走!ホロギウム
호로지움의 폭주!
하세가와 카츠미코데라 카츠유키히구치 요스케데노 요시노리
이토 유지
하시구치 하야토
日: 2011.03.20.
韓:
제51화ギャラクシーハート
갤럭시 하트!
스기시마 쿠니히사사이토 히로야
오다카 요시노리
나카지마 나기사日: 2011.03.27.
韓:


8. 평가[편집]


메탈 파이트 시리즈의 최전성기. 비록 완구 판촉 애니로써의 한계로 스토리에 그닥 끼치는 영향도 없는 팀 그레이시즈로 분량을 잡아먹어서 후반부 최종보스인 스타브레이커의 이야기가 조금 매끄럽지 못했으나, 1기 때 전국대회 규모였던 배틀 블레이더즈를 세계대회급으로 넓혀 1기와는 비교가 안될정도로 대회 스케일이 한층 업그레이드 되었고 특히 20화 때 쿄우야와 긴가와의 매치와 결승전에서 갤럭시 페가시스의 필살기인 스타 더스트 드라이버의 연출은 최고 명장면으로 손꼽히고 있다.

9. 기타[편집]


  • 일본판의 경우 2기 제목이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이라고 부르지만 한국에서는 이걸 그대로 사용하기엔 부자연스럽다고 판단했는지 사용하지 않았고 대신 시즌 2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메탈 베이블레이드 2라는 제목을 사용했다. 북미판 로고의 경우 1기 때와는 달리 일본어로 표시된 ベイブレード라는 글자가 사라졌다.

파일:0531_메탈베이블레이드2.png
파일:Metal_Fight_Beyblade_Explosion.png
한국판 공식 로고일본판 공식 로고북미판 공식 로고

  • 전작에 비해서도 높은 수위의 장면들이 다수 등장한다. 대표적으로 39화 때 줄리어스 시저가 데미안에게 완패 후 얼굴이 폐인처럼 변한 채 리타이어 된 것과 제오 아비스가 절규하면서 어레인지 받는 장면이 있는 등 오히려 나열해보면 1기보다도 수위 높거나 카오게이 장면들이 나온다.
[1] 투니버스 방영 시 제목.[2] 오프닝 시작 전 멘트. 이 멘트가 나옴과 동시에 우주를 배경으로 세계의 강호들의 실루엣(37화 이후로는 본 모습이 나온다.)이 나온다.[3] 쿄우야와 벤케이는 주연에서 제외됐을 뿐 와일드 팡으로서 긴가를 막아섰으며 후반에도 긴가와 함께 지구라트의 음모에 맞선다. 쿄우야는 비중자체는 1기에 비하면 적긴해도 최후반부를 제외하면 라이벌로써 미묘한 평가를 받는 1기와는 다르게 세계대회 출전 선수들중 유일하게 긴가가 승부를 못낸 인물로 오히려 주인공과 동급인 강력한 라이벌로써의 위치를 더욱 확고히 하였으나 켄타는 정말로 비중이 공기만도 못하다.[4] 다만 비중이 증가한 것과 별개로 작중에서의 입지는 매우 좁다(...). 유우는 초반 라브슈카와의 대결 한번밖에 출전하지 못했고 츠바사는 류우가에게 영향을 받은 암흑의 힘으로 중반까지 거의 정신병이라 봐도 무방할 수준으로 망가졌다. 게다가 둘 다 결승전 직전 다미안 하트에게 기습받아 참전은 커녕 구경조차도 하지 못했다.[5] 츠바사는 실력은 강강갤럭시 내 2인자 자리를 차지하고 있고 전적은 마사무네, 유우보다 좋게 묘사되어 실력적으로 쳐지는 장면은 얼마 나오지 않는다. 유우는 실력 자체는 웬만한 선수를 앞서지만 두 번을 제외하면 태그 배틀만 치르는 데다 팀킬이나 적 팀의 습격을 당하는 등 여러 요인 때문에 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한다.[6]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투니버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7] 번역하자면 전설을 찾아서. 2기의 주인공인 하가네 긴가카도야 마사무네에게 모두 해당되는 중의적 제목이다.[8] 원제를 번역하자면 암흑독수리.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6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6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9:40:43에 나무위키 메탈 베이블레이드 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