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산드로 마가샨

덤프버전 : (♥ 0)


1 산 로만 · 2 가스파르 · 3 블랑코 · 4 곤살레스 · 5 도날드 · 6 비가스(C) · 7 플라노 · 8 라울 구티 · 9 레온
11 모렌테 · 12 살리나스 · 13 바디아 · 14 페바스 · 15 마르틴 · 16 피델 · 17 호산
18 보르하 · 19 무라드 · 20 살바도르 · 21 카스트로 · 22 니코· 23 클레르크 · 24 카레이라 · 28 로페스 · 30 멘도사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세바스티안 베카세세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파일:Lisandro Magallan Elche CF.jpg
엘체 CF No. 7
리산드로 마가샨[1]
Lisandro Magallán
국적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출생1993년 9월 27일 (30세)
아르헨티나 라 플라타
포지션센터백
신체185cm
주발오른발
소속팀힘나시아 라플라타 (2010~2012)
CA 보카 주니어스 (2012~2019)
CA 로사리오 센트랄 (2013~2014 / 임대)
데펜사 이 후스티시아 (2016 / 임대)
AFC 아약스 (2019~2022)
데포르티보 알라베스 (2019~2020 / 임대)
FC 크로토네 (2020~2021 / 임대)
RSC 안데를레흐트 (2021~2022 / 임대)
엘체 CF (2023~ )

1. 개요
2. 클럽 경력
3. 플레이스타일
4. 여담
5. 국가대표 경력
6.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아르헨티나의 축구선수.


2. 클럽 경력[편집]


아르헨티나의 라 플라타에서 태어난 마가샨은 2010년 8월 10일에 함나시아 라플라타에서 프로 무대에 데뷔했다. 2012년 4월에는 맨체스터 시티와 이적설이 나기도 했으나 불발되었고 그 해 여름에 자국의 명문인 보카 주니어스로 이적했다.

이후 자국 무대에서 활약한 그는 2019년 1월 2일에 겨울 이적시장을 통해 AFC 아약스에 합류하였고 이후 종종 후반 늦게 수비 강화을 위해 자주 투입되었다.

하지만 마테이스 더리흐트유벤투스 FC로 이적했음에도 불구하고 팀은 리산드로 마르티네스에드손 알바레스를 추가로 영입하면서 자리를 잃게 되었다.

9월에 결국 데포르티보 알라베스로 임대가게 되었다. 알라베스에서 로테이션 멤버로 활약 후 이번에는 FC 크로토네로 1시즌 임대를 떠났으며 여기에서는 주전으로 활약했다.

2021-22 시즌에도 원소속팀에서 그의 자리는 요원해보였고 결국 다시 한번 임대를 떠난다. 이번에는 벨기에의 RSC 안데를레흐트이다.

한국 시각으로 2022년 1월 6일, AFC 아약스와의 계약이 종료되었고 엘체 CF로 자유 이적했다.# 계약 기간은 6개월.


3. 플레이스타일[편집]




4. 여담[편집]



5. 국가대표 경력[편집]


U-20 대표팀과 U-23 대표팀 경력이 있다. U-23팀 소속으로는 2016 리우 올림픽에 참가하기도 했다. 몰론 팀은 망했다.


6. 같이 보기[편집]


2021-22 엘체 CF 1군 스쿼드
{{{#fff 번호'''}}}포지션국적이름
1GK스페인키코 카시야
2MF스페인제라르 굼바우
3DF칠레엔조 로코
4DF스페인디에고 곤살레스
5DF스페인곤살로 베르두
6DF스페인페드로 비하스
7FW스페인기도 카리요
8MF스페인라울 구티
9FW아르헨티나루카스 보예
10FW스페인페레 미야
11FW스페인테테 모렌테
12FW스페인루카스 페레스
13GK스페인에드가 바디아
14DF콜롬비아엘리벨톤 팔라시오스
15MF아르헨티나하비에르 파스토레
16FW스페인피델
17FW스페인호산
18FW아르헨티나다리오 베네데토 [1]
19DF스페인안토니오 바라간
20FW아르헨티나파블로 피아티
21MF스페인오마르 마스카렐
22DF콜롬비아요한 모히카
23MF아르헨티나이반 마르코네
24DF스페인호세마
25GK아르헨티나악셀 베르너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8:39:18에 나무위키 리산드로 마가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아르헨티나에서는 ll, y를 /ʃ/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