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 아르카나/LJC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르노 아르카나

파일:르노 로고.svg
파일:ARKANA.jpg
ARKANA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르노 아르카나의 동유럽형이다.


2. 상세[편집]


파일:03F66E0B-03EA-4459-AA31-1E111346D942.jpg파일:RenaultArkanaru.jpg
동유럽형
르노러시아 모스크바 공장에서 생산되었다. 2018년 8월 29일에 모스크바 국제 자동차 살롱에서 공개된 컨셉트카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BMW X4와 같은 쿠페형 SUV와 닮은 외관을 가지고 있다.

판매는 2019년부터 러시아를 위시한 CIS 권역에서 이루어지며, 합작사 둥펑 르노가 담당하는 중국 시장에는 2020년 중 플랫폼이 바뀐 모델이 투입된다.[1]

전면부의 경우 르노의 패밀리 룩을 필두로 르노 탈리스만르노 메간의 디자인과 유사한 편이다. 포지션은 르노 캡처르노 콜레오스의 중간급 차량으로 판매될 것으로 보인다. 플랫폼은 르노 사의 B0+ 플랫폼이 적용되는데, 이는 르노삼성 QM3/르노 캡처(Kaptur) 1세대[2]에 적용된 르노-닛산 B 플랫폼의 연장형인 B0 플랫폼(다치아 더스터 등에 적용)을 다시 개선한 B0+ 플랫폼이다.

차량의 전장은 4,550mm, 전폭은 1,800mm, 전고는 1,570mm를 기록했다. 가로형 엔진이 적용되며, 19인치 휠과 전륜구동 혹은 4WD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파워트레인은 2개가 적용될 것으로 보이는데, 그 중 하나는 르노가 새로 개발한 터보 엔진이라는 설이 있다. 자트코 CVT8 변속기와 1.3L 터보 가솔린 엔진이 조합되며 러시아의 이웃 국가인 카자흐스탄 시장에서의 조립은 르노와 알뤼르 그룹 간의 파트너십을 통해 2021년 코스타나이에 위치한 사랴르카아브토프롬(SaryarkaAvtoProm) 공장에서 이뤄졌다.

신흥국 시장에서 판매되던 르노 플루언스의 실질적인 후속이기도 하다. 경쟁 차종으로 쉐보레 트랙스, 푸조 2008, 시트로엥 C4 칵투스, 포드 에코스포트, 닛산 쥬크 등이 있다.

2019년 5월 말, 드디어 양산형 모델이 공개됐다. 컨셉트카와 사실상 차이가 없는 외관이 특징이다. # 현재 2019년 6월 25일 러시아 기준 정식가격은 깡통 1850만원~풀옵션 2600만원 정도이다.

파일:불곰국 XM3.png파일:불곰국 XM3 후면부.png
Moskvitch Legend

2022년 5월, 르노가 러시아 시장에서 철수를 발표하여 생산이 중단되었다고 언급됐으나, 현지 자동차 업체인 모스크비치 산하의 차량으로 재편되어 생산될 예정...이라고 했으나, 장화이기차 차량들을 배지 엔지니어링하는 형태로 가면서 완전 단종될 것으로 보인다. 그런다면, 르노코리아 XM3 기반의 아르카나만 판매된다.


[1] 하지만, 2020년 4월에 둥펑 르노가 실적 부진을 이유로 상용차 및 전기차 부문에만 집중하면서 철수가 이루어졌다. 그로 인해 같은 해 8월 28일을 끝으로 합자기업이 해체되면서 중국 시장 출시도 물 건너갔다.[2] 러시아 시장용.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르노 아르카나 문서의 r32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르노 아르카나 문서의 r32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4 20:08:03에 나무위키 르노 아르카나/LJC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