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루프트한자 카고/이전 보유 기종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루프트한자 카고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루프트한자 카고/보유 기종
, 루프트한자/이전 보유 기종
, 루프트한자 리저널/이전 보유 기종
,
,
,


1. 보잉
1.1. B737
1.2. B747
2. 멕도넬 더글라스
2.1. DC-8
2.2. DC-10
2.3. MD-11



1. 보잉[편집]



1.1. B737[편집]


파일:dabge.jpg
Boeing 737-230C, D-ABGE
등록번호제조사기종라인 넘버엔진제작 일자기체 이름
D-ABGE보잉B737-230C274P&W JT8D-151971년 1월
D-ABHE보잉B737-230C276P&W JT8D-151971년 2월
TF-ABE[1]보잉B737-2X6C(A)1036P&W JT8D-9A1984년 6월
D-ABWS[2]보잉B737-3S3(SF)1445CFMI CFM56-3B21987년 9월

737-200F의 경우 1993년 3월에 첫 도입해 1997년 9월에 전량 퇴역했고, 737-300F의 경우 1994년 8월에 첫 도입해 1997년 2월 퇴역하였다. DC-8과 같이 도입이 되었으나 737-200F와 같이 첫 2년만 운용하다 같이 퇴역한 비운(?)의 기체 중 하나이다.

1.2. B747[편집]


파일:d-abzf.jpg
Boeing 747-230F, D-ABZF
등록번호제조사기종라인 넘버엔진제작 일자기체 이름
D-ABYT보잉B747-230B(SF)490GE CF6-50E21980년 11월 4일
D-ABYU보잉B747-230F(SCD)538GE CF6-50E21981년 8월 13일
D-ABYW보잉B747-230B(SF)549GE CF6-50E21981년 11월 19일
D-ABYY보잉B747-230B(SF)574GE CF6-50E21992년 12월 4일
D-ABYZ보잉B747-230B(SF)614GE CF6-50E21985년 5월 16일
D-ABZA보잉B747-230B(SF)617GE CF6-50E21985년 7월 21일
D-ABZB보잉B747-230F(SCD)625GE CF6-50E21985년 10월 15일
D-ABZC보잉B747-230B(SF)633GE CF6-50E21986년 1월 24일
D-ABZF보잉B747-230F660GE CF6-50E21986년 10월 14일
D-ABZI보잉B747-230F(SCD)706GE CF6-50E21988년 6월 19일

루프트한자는 화물형 보잉 747의 런치 커스터머이다. 최초로 생산된 보잉 747-200F[3]를 1972년에 받은 것을 시작으로 2005년 7월까지 운항했다.

2. 멕도넬 더글라스[편집]



2.1. DC-8[편집]


파일:d-abue.jpg
Douglas DC-8-73AF, D-ABUE
등록번호제조사기종라인 넘버엔진제작 일자기체 이름
D-ABUA더글라스DC-8-73AF401CFMI CFM56-2C51968년 9월
D-ABUC[리스]더글라스DC-8-73CF490CFMI CFM56-2C51969년 8월
D-ABUE[리스]더글라스DC-8-73AF432CFMI CFM56-2C51969년 1월
D-ABUI더글라스DC-8-73CF380CFMI CFM56-2C51968년 7월
D-ABUO[리스]더글라스DC-8-73CF447CFMI CFM56-2C51969년 2월 26일

보잉 737과 마찬가지로 1993년 3월에 첫 도입해 1997년 9월에 전량 퇴역한 기체. 보잉 737과 같이 첫 2년만 운용하다 퇴역한 또다른 비운(?)의 기체다.

2.2. DC-10[편집]


파일:n112wa.jpg
McDonnell Douglas DC-10-30CF, N112WA[4][5]
등록번호제조사기종라인 넘버엔진제작 일자기체 이름
N112WA[6][7]멕도넬 더글라스DC-10-30CF[8]317GE CF6-50C21980년 2월 12일[9]
1989년 1월부터 1989년 6월까지 잠시 임차로 운항했던 기체이다.

2.3. MD-11[편집]


파일:goodbyemd11.webp
McDonnell Douglas MD-11F, D-ALCC[10]
등록번호제조사기종라인 넘버엔진제작 일자기체 이름/비교
D-ALCA[WGN]보잉[인수합병]MD-11F625GE CF6-80C2D1F1998월 6월
D-ALCB[UPS]보잉[인수합병]MD-11F626GE CF6-80C2D1F1998년 6월
D-ALCC[WGN]보잉[인수합병]MD-11F627GE CF6-80C2D1F1998년 8월유럽에서 마지막으로 운용한 MD-11F
D-ALCD[WGN]보잉[인수합병]MD-11F628GE CF6-80C2D1F1998년 9월
D-ALCE[FDX]멕도넬 더글라스MD-11F629GE CF6-80C2D1F1998년 6월Marhaba Turkey
D-ALCF[FDX]멕도넬 더글라스MD-11F637GE CF6-80C2D1F1999년 8월Marhaba Egypt
D-ALCG[WGN]멕도넬 더글라스MD-11F639GE CF6-80C2D1F1999년 10월Konnichiwa Japan
D-ALCH[FDX]멕도넬 더글라스MD-11F640GE CF6-80C2D1F1999년 11월Buenos dias México
D-ALCI[UPS]보잉[인수합병]MD-11F641GE CF6-80C2D1F2000년 1월Hello, Bonjour Canada
D-ALCJ[FDX]멕도넬 더글라스MD-11F642GE CF6-80C2D1F2000년 3월Namaste India
D-ALCK[UPS]보잉[인수합병]MD-11F643GE CF6-80C2D1F2000년 5월
D-ALCL[WGN]멕도넬 더글라스MD-11F644GE CF6-80C2D1F2000년 8월
D-ALCM[UPS]멕도넬 더글라스MD-11F645GE CF6-80C2D1F2000년 2월Buongiorno Italy
D-ALCN[UPS]멕도넬 더글라스MD-11F646GE CF6-80C2D1F2000년 9월MD-11 최종생산분D-ALCO[스크랩]멕도넬 더글라스MD-11F488GE CF6-80C2D1F1992년 2월
D-ALCP[스크랩]멕도넬 더글라스MD-11F491GE CF6-80C2D1F1992년 3월
D-ALCQ[파괴]멕도넬 더글라스MD-11F534GE CF6-80C2D1F1993년 4월2010년 리야드에서 경착륙으로 오버런 후 소실[사진]
D-ALCR[WGN]멕도넬 더글라스MD-11F565GE CF6-80C2D1F1994년 5월
D-ALCS[WGN]멕도넬 더글라스MD-11F567GE CF6-80C2D1F1994년 6월

1998년 첫 도입하여 2021년까지 운용했던 기체다. 약 23년 동안 루프트한자 카고를 대표하던, 또한 많이 운용했었던 기종이었다. 현재 항공기 3대를 제외하고 모두 페덱스, UPS, 웨스턴 글로벌 항공이 중고로 구입해갔다. 추가로 유럽에서 마지막으로 MD-11F를 운용한 항공사이다.[11]


[1] 에어 애틀란타 아이스랜딕에서 리스[2] ILFC에서 리스[3] D-ABYE. 훗날 대한항공에 HL7441로 매각된다.[리스] A B C 아에로리스에서 리스[4] 월드 에어웨이즈 도장. 루프트한자 리스 기간 도색을 구할 수 없었다.[5] 해당 항공기 1994년 페덱스로 넘어갔고 2022년 6월 퇴역 하였다.[6] 월드 에어웨이즈에서 리스[7] 단기 리스 때문에 독일 번호를 받지 못했다[8] 현재 MD-10-30으로 계수 [9] 40년 넘은 노후기체인데도 불구하고 아직도 현역이었으나 2022년 퇴역하였다..[10] 2021년 10월 17일 최종 퇴역[WGN] A B C D E F G 웨스턴 글로벌 항공으로 매각.[인수합병] A B C D E F 맥도넬 더글라스 합병 후, 보잉인 상태로 생산[UPS] A B C D E UPS로 매각, 현 N262UP[FDX] A B C D 페덱스 항공으로 매각.[스크랩] A B 스크랩 처리됨.[파괴] 사고로 파괴됨.[사진] 파일:d-alcq.jpg[11] MD-11 여객형은 KLM이 2014년에 마지막으로 전량 퇴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