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셸염

덤프버전 : (♥ 0)

1. 개요
2. 역사
2.1. 발견 및 약으로의 사용
2.2. 물리적 성질의 탐구


1. 개요[편집]


Rochelle salt. 화학식은 KNaC4H4O6·4H2O이다. 정식 명칭은 Potassium sodium tartrate tetrahydrate이나, 이 물질이 발견된 지방의 이름인 라 로셸(La Rochelle)의 이름을 따서 로셸염으로 부르고 있다. 또한 주석산칼리소다타타르산 칼륨나트륨으로 불리기도 한다. 압전 효과, 파이로 전기(초전효과), 초음파 센서 등에 사용된다.


2. 역사[편집]


합성 초기에는 약으로서 사용되었으나, 에르빈 슈뢰딩거가 제안한 강유전체 특성의 존재가 최초로 증명되어 강유전체 연구의 시발점이 된 물질이다.


2.1. 발견 및 약으로의 사용[편집]


이 물질을 최초로 합성한 Pierre와 Elie 형제는 각각 1623년, 1632년에 프랑스의 라 로셸에서 태어났다. 그들의 아버지는 Jehan Seignette로, 1592년생이며 약국을 운영하는 약사였다. Pierre는 몽펠리에 대학교를 졸업해 의사가 되었고 Elie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약국을 운영했다.

그들의 약국은 식물을 추출 및 증류한 것을 주로 판매했으나, 광물을 약으로 사용하고자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 그 결과로 1665년에는 Elie가 로셸염을 최초로 합성하고 이를 약으로 팔기 시작했다. 그들은 새로 합성된 물질에 그리스어 πολυχρηστοσ에서 파생된 sel polychreste라는 이름을 붙여 판매하기 시작했다.[1]

로셸염의 생산 방식은 철저히 비밀에 부쳐졌고, 65년이라는 오랜 세월이 지난 후에 Simon Boulduc[2]가 겨우 소다의 일종이라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현대에는 이들이 보르도 지방의 특산물인 와인으로부터 주석영[3]을 얻고, 이를 탄산수에 녹여 생산했을 것으로 알려져 있을 뿐이다. 어찌됐건 로셸염은 프랑스에서 2세기 가량 약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2.2. 물리적 성질의 탐구[편집]


최초로 압전체임이 밝혀진 물질로, 강유전체로서의 특성 역시 이 물질에서 연구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20:34:36에 나무위키 로셸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리스어 단어 πολυχρηστοσ는 영어로 versatile, 한국어로는 다재다능한 등의 단어로 번역된다. 쉽게 말하면 약의 이름을 만병통치약이라고 지은 꼴.[2] 프랑스의 약사, 화학자[3] 주석산의 양 끝에 위치한 수소 원자가 포타슘으로 대체된 물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