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피어 지대공 미사일

덤프버전 : (♥ 0)

1. 개요
2. 제원
3. 개발
4. 형식
4.1. 트랙드 레이피어
4.2. FSA
4.3. FSB
4.4. FSC (레이피어 2000)
5. 운용국
5.1. 영국
5.2. 스위스
5.3. 튀르키예
5.4. 말레이시아
5.5. 인도네시아
5.6. 싱가포르
5.7. 브루나이
5.8. 호주
5.9. 이란
5.10. 이라크
5.11. 아랍에미리트
5.12. 카타르
5.13. 오만
5.14. 리비아
5.15. 케냐
5.16. 잠비아
6. 미디어
7. 여담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당초 호크와 유사한 장거리 중고도 방공미사일로 계획되었으나, 30여 년의 운용기간 동안 몇 번의 성능개량을 통해 저고도의 고속목표에도 대응할 수 있게끔 향상되었다. 초기 버젼은 미사일에 달린 카메라 영상을 보며 조이스틱으로 직접 조종해서 맞추는 광학유도장비만 있는 단순한 방식이었지만, 전천후 운용능력을 부여하기 위해 레이더와의 연동능력이 부여되었으며 광학유도체계는 후에 IR 체계로 대체되었다.

포클랜드 전쟁에도 쓰였고(격추 수는 단 1대) 2012 런던 올림픽 때도 테러방지용으로 투입되었다.


2. 제원[편집]


레이피어
Rapier
파일:레이피어 미사일 1.jpg
종류지대공 미사일
개발국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개발사BAC
제조사BAC (1963~1977)
BAe 다이나믹스 (1977~1999)
MBDA UK (1999~)
제원
구분Mk.1Mk.2
중량45kg
전장2.235m
직경13.3cm
날개폭13.8cm
최고속력3,700km/h (마하 3)
최대사거리8.2km
최고 상승한계3km5km
최저 요격고도불명
탄두고폭 파편탄두
탄두중량불명
기폭방식근접신관
유도방식반능동 시선지령유도 (SACLOS)
추진 기관고체연료 로켓 모터


3. 개발[편집]


1950년대 후반부터 지대공 미사일이 개발되고, 전선에서 공군기들이 중고도 이상으로 나는 것이 위험해지자 지면비행을 통한 저고도 침투가 주요국 공군들의 주요 교리가 되었다. 그리고 영국 육군은 소련의 Su-7과 같은 신형 공격기가 등장하고 앞으로 더욱 고등한 기체들이 개발될 것으로 예상되자 이러한 저고도 침투 가능성을 매우 심각하게 여겼다.

그러나 고속으로 저공비행하는 전술기에는 초창기 대공미사일들은 너무 크고 둔중하여 대응이 어려웠고, 빠르게 방열하고 발사 할 수 있는 대공포만이 적합했었다. 하지만 영국군이 운용하던 보포스 40mm 56구경장 대공포는 사거리가 짧아 적 항공기가 가까이 접근해야만 쏠 수 있어 대응 가능 시간이 몇초에 불과했다.

이에 대응하여 영국 육군은 "레드 퀸"이라는 신형 대공포 개발에 착수했다. 레드 퀸은 42mm(1.7인치) 수냉식 대공포로 개발되었으나, 1959년에 육군 참모진이 대공포가 더 이상 현대 전술기를 상대하는데 유용하지 않다고 결론지어 레드 퀸은 개발이 취소되었고, 대신 땜빵용으로 보포스 40mm 70구경장 대공포를 도입했으며 장기적으로는 LAA(Light Anti-Aircraft)라는 단거리 고속 반응형 신형 지대공 미사일 개발을 시작했다.

LAA의 초기 설계는 1960년 BAC(영국 항공기 기업)가 수주하여 개발 코드명 PT.428이 부여되었다. PT.428 체계는 4톤 트럭 한 대에 장착할 수 있고, 분해 시 로터다인의 수송칸에 맞도록 설계되었다. 거기에 자동화된 수색 및 추적 레이더, 표적 식별을 위한 별도의 TV 카메라를 갖춘 등 상당히 발전된 무기 체계였다.

그러나 1960년대 초 영국 육군은 예산 문제로 PT.428과 블루 워터 핵 탄도미사일 중 하나만 선택하도록 압박받았다. 결국 육군은 블루 워터 미사일을 선택해 1961년 PT.428 개발을 취소하고 대신 미국제 MIM-46 마울러 도입으로 선회했다.

BAC는 PT.428이 취소되었을 때 동일한 개념의 설계를 기반으로 보다 저렴한 옵션을 고려하기 시작했다. 마침 이때 왕립 항공기 연구소에서 광학 반능동 시선지령유도(SACLOS)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었는데, 이것을 구상중이던 개념과 함께 적용한다면 원래의 레이더 유도 버전보다 훨씬 저렴한 대안이 될 것으로 보였다.

그리고 1962년, 마울러 미사일 개발이 전면 취소되어 미 · 영 육군 모두 현대적 단거리 대공 미사일 획득에 실패한다. 이의 대응으로 영국측 참모진들은 육군과 RAF 연대 모두를 위한 주간용 지대공 미사일에 대해 GASR.3132 라는 요구 사항을 발표하였고, BAC의 새로운 개발안에는 "데포(Defoe)"라는 이름이 부여되었다. 1963년, 데포는 ET.316이라는 코드명을 부여받고 개발이 공식화되었다.

이후 미사일 체계의 이름이 데포에서 몽구스를 거쳐 레이피어로 결정되었다. 레이피어 미사일의 첫 시험 발사는 호주 육군의 도움을 받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우메라 발사장에서 1966년 시행되었다. 체계 개발은 1968년에 완성되었으며, 초기 테스트에서는 표적 추적 난도가 평균적인 운용병의 능력을 초과할 우려가 있다 보였다.

이 문제는 조이스틱의 피드백을 미사일이 다양한 입력값에 반응하는 감도와 더 밀접하게 일치하도록 조정함으로써 해결되었다. 이를 해결한 후 나머지 문제 중 상당수는 대규모 시뮬레이션을 통해 해결되었다. 1968년에 체계 전체가 테스트되었으며, 1969년에 생산 계약이 체결되었다.


4. 형식[편집]



4.1. 트랙드 레이피어[편집]



4.2. FSA[편집]



4.3. FSB[편집]



4.4. FSC (레이피어 2000)[편집]




5. 운용국[편집]



5.1. 영국[편집]



5.2. 스위스[편집]



5.3. 튀르키예[편집]



5.4. 말레이시아[편집]



5.5. 인도네시아[편집]



5.6. 싱가포르[편집]



5.7. 브루나이[편집]



5.8. 호주[편집]


  • 호주 육군 - 퇴역. 1975년 20개 포대와 미사일 570발 도입, 랜드 140 프로젝트로 영국에게서 중고분 추가 도입.

5.9. 이란[편집]



5.10. 이라크[편집]



5.11. 아랍에미리트[편집]



5.12. 카타르[편집]



5.13. 오만[편집]



5.14. 리비아[편집]



5.15. 케냐[편집]



5.16. 잠비아[편집]




6. 미디어[편집]




7. 여담[편집]


ET.316 개발 당시 원래 이름은 몽구스였는데 여러발의 미사일을 쏘는 체계인 만큼 복수형으로 써야 했다. 근데 개발자들 중 몽구스의 복수형이 Mongooses 인지 Mongeese 인지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어서 이걸로 기자/의원 등에게 까일까봐 새 이름을 공모해서 레이피어가 된 것이라고 한다. 그런데 나중에 알고 보니 둘다 맞았다는 후문이 있다.


8. 둘러보기[편집]


파일:스위스 국기.svg 현대 스위스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스위스군 (1945~현재)
Schweizer Armee
PAL Bb 77R
탑재형
기갑차량
{스파이크-LR2} | BGM-71D TOW-2 | SS.11R
공대지
고정익기
AS.30R
유도포탄
지대지
STRIX (120mm, Mw Pz 64/91)
L Flab Lwf Syst 스팅어
단거리
M Flab Lwf 레이피어R
장거리
{MIM-104F 패트리어트 PAC-3 MSE} | BL-64 블러드하운드R
단거리
AIM-9X 사이드와인더 | AIM-9(B/P-4/N)R
중장거리AIM-120(B/C-7) AMRAAM | AIM-26B 팰콘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유도무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남미
서유럽
중부유럽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북유럽
동유럽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서아시아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레이피어 문서의 r42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레이피어 문서의 r42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7 15:51:10에 나무위키 레이피어 지대공 미사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