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리비아 관계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망명 정부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유럽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Flag_of_the_Chechen_Republic.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Flag_of_Ingushetia.svg.png파일:러시아 국기.svg파일:1280px-Flag_of_Adygea.svg.png
아디게야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북오세티야 국기.png
북오세티야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Flag_of_Karachay-Cherkessia.svg.png [[파일:Flag_of_Kabardino-Balkaria.svg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파일:다게스탄 국기.png
다게스탄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Gagauzia.svg.png
가가우지아
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터키 국기.svg
터키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아프리카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다자관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파일:중국-대만 국기 대각선 병합.pn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조선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파일:청나라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소련






1. 개요
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2.2. 21세기
2.2.1. 2010년대
2.2.2. 2020년대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러시아리비아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양국은 카다피가 집권하던 시절에 외교관계를 맺었다.


2. 역사적 관계[편집]



2.1. 20세기[편집]


리비아는 이탈리아의 지배에서 벗어난 뒤에 소련과 수교했다. 당시 리비아는 카다피의 집권 이전에는 왕정이었다. 리비아는 소련과 외교관계를 맺었고 카다피가 왕정을 무너뜨린 뒤에 집권하면서 양국간 협력이 활발했다. 특히, 카다피는 이슬람 사회주의체제를 유지했기 때문에 소련과는 협력이 활발했다. 리비아측은 소련에서 무기를 많이 수입했고 석유 등을 소련에 많이 수출했다. 양국은 냉전시절에 협력을 자주 했었고 탈냉전, 소련 해체이후에 러시아가 출범한 뒤에도 양국은 외교관계를 유지했다.


2.2. 21세기[편집]



2.2.1. 2010년대[편집]


2011년 러시아는 서구 세계가 리비아 내전에 개입하는 것을 반대한다고 주장했다. #, #

카다피는 러시아에 아노리 긴급회의를 소집해달라고 촉구했다. # 러시아는 이에 요청 검토를 했다. #

러시아 대통령 특사는 리비아 반군 대표와 만났다. #

2011년 7월 러시아는 리비아반군기구를 유일 정부로 인정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 #

그러나 8월 후기에는 리비아 반군 국기를 게양했으며 9월 러시아는 리비아반군을 인정했다. #, #

카다피가 2011 리비아 민주화 운동으로 물러나고 사망한 뒤에 새로운 정권이 생겨났지만, 리비아 상황이 매우 혼란스러워졌다.

2012년 리비아 정부는 카다피를 지원했던 일부 러시아인, 벨라루스인, 우크라이나인 등 소련권 피고 24명에게 중형을 선고했다. # 러시아 정부와 우크라이나 정부는 리비아 정부에 항의했다. #

2013년 10월, 리비아에 있는 러시아 대사관에서 괴한들이 습격했다. # 게다가 다에쉬가 리비아의 일부 지역을 장악하자 러시아측은 리비아 내전에 개입했다. 이후에 다에쉬가 리비아의 일부 지역에서 물러난 뒤, 양국관계는 다시 회복되었다.

리비아 내전이 심각해지면서 러시아측에선 리비아 내전에 개입했다.#


2.2.2. 2020년대[편집]


2020년 5월 26일에 러시아 외무부는 계속되는 리비아 내전 상황과 관련해 분쟁 당사자들의 즉각적 휴전과 정치적 협상을 촉구했다고 밝혔다.#

2021년 러시아 용병이 리비아 내전에 개입했다는 중거들이 확보되었다. #

러시아가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시리아와 리비아 출신 용병 20,000명을 배치했다.#

3.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09:12:02에 나무위키 러시아-리비아 관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