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네덜란드 관계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망명 정부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유럽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Flag_of_the_Chechen_Republic.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Flag_of_Ingushetia.svg.png파일:러시아 국기.svg파일:1280px-Flag_of_Adygea.svg.png
아디게야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북오세티야 국기.png
북오세티야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Flag_of_Karachay-Cherkessia.svg.png [[파일:Flag_of_Kabardino-Balkaria.svg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파일:다게스탄 국기.png
다게스탄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Gagauzia.svg.png
가가우지아
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터키 국기.svg
터키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아프리카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다자관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파일:중국-대만 국기 대각선 병합.pn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조선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파일:청나라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소련





1. 개요
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이전
2.2. 20세기
2.3. 21세기
3. 문화 교류
4. 대사관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러시아네덜란드의 관계. 네덜란드는 우크라이나, 영국, 덴마크와 더불어 반러성향이 가장 심한 나라 중 하나다.


2. 역사적 관계[편집]



2.1. 20세기 이전[편집]


네덜란드와 러시아가 본격적으로 교류했던 시기는 표트르 대제부터였다. 표트르 대제는 루스 차르국을 발전시키기 위해 유럽 국가들과 교류를 시작했다. 이때 당시 표트르 대제는 네덜란드로 건너가 조선업을 배우는 등 네덜란드의 선진 문물을 받아들이기 위해 노력했다. 러시아 제국의 왕족들이 네덜란드 왕실과 결혼한 사례도 있었다. 러시아 제국에서는 1769년 암스테르담에서 750만 굴덴을 대출받았는데 이는 러시아가 최초로 외채를 도입한 사례라고 한다. 러시아 제국의 재무부 장관으로 유명했던 세르게이 비테도 조상이 네덜란드계였다.

루스 차르국이 점점 발전하고 러시아 제국이 된 뒤에도 네덜란드는 러시아 제국과 수교하고 교류도 활발했다. 나폴레옹러시아 원정이 실패한 이후 러시아 제국의 알렉산드르 1세는 빌럼 1세가 네덜란드 왕위에 오르는 것을 도와준 역사가 있다


2.2. 20세기[편집]


러시아 혁명부터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전까지 네덜란드는 소련과 외교 관계를 맺지 않았다. 독소전쟁 과정에서 약 25,000여 명의 네덜란드 군인들이 바펜 SS에 소속되어 참전하였고 이들 중 상당수가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냉전 시절에는 대표적인 제1세계 국가 중 하나였던 네덜란드는 소련 및 바르샤바 조약기구 국가들을 견제하는데 동참하였다.


2.3. 21세기[편집]


현재에도 네덜란드와 러시아는 갈등이 존재한다. 네덜란드는 러시아 제재에도 찬성하는 등 러시아에 대해선 갈등이 존재하며 러시아도 네덜란드에 대해 맞불 제재를 하고 있다. 세르게이 스크리팔 암살 미수 사건때에는 영국과 연대하면서 러시아 외교관 추방 정책에 참여했다.

소수지만, 네덜란드에는 일부 러시아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2009년 4월 21일, 네덜란드 정보당국은 러시아, 중국, 모로코가 은밀히 간첩활동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2014년, 돈바스 전쟁네덜란드인 193명이 탄 말레이시아 여객기가 피격당한 사건으로 인해 반러 감정이 심해졌다. 그리고 호주와 네덜란드는 공동으로 러시아를 국제민간항공기구에 제소했다.#

2020년에 나발니가 암살 미수 사건을 겪으면서 네덜란드와 영국은 러시아를 제재한다고 밝혔다.#(러시아어)

암스테르담 법정이 크림 반도에서 발견된 스키타이 유물들을 우크라이나로 반환해야 한다는 판결을 내렸다.#(러시아어)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일어나자 네덜란드는 대러 제재에 동참했다. 러시아 뵬쇼이 발레단 소속의 발레리나 올가 스미르노바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비판해 탈퇴했고 네덜란드행을 선택했다.# 네덜란드 정부가 올리가르히들을 제재한다고 밝혔지만, 올리가르히 자산의 1%만 동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덜란드측이 러시아 외교관을 추방했다.#

2023년 2월 14일, 네덜란드 F-35 전투기가 러시아 전투기를 요격하기 위해 출발했다.# 결국 러시아 전투기는 회항했다.#

3. 문화 교류[편집]


러시아 국기는 네덜란드 국기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었다.

네덜란드는 반러감정이 있지만, 네덜란드내에도 일부 러시아어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러시아어 시험인 토르플은 네덜란드에서도 실시되고 있다.

2006년부터 2010년에는 거스 히딩크가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았었다. 당시 히딩크는 2002년 한일 월드컵 4강 신화, 2006년 독일 월드컵 당시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을 맡아 최초의 월드컵 진출과 16강을 성공시킨 이후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을 맡아 유로 2008에서는 러시아를 4강에 올려놓는 쾌거를 이룩하는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았다. 히딩크가 떠난 이후에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는 공교롭게도 딕 아드보카트가 임명되었었다고 한다. 물론 딕 아드보카드는 한국에서와 마찬가지로 히딩크만한 결과물을 내놓지는 못했다.


4. 대사관[편집]


암스테르담시에 주 네덜란드 러시아 대사관, 모스크바시에 주 러시아 네덜란드 대사관이 존재한다.


5. 관련 문서[편집]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러시아/외교 문서의 r42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러시아/외교 문서의 r421 (이전 역사)
네덜란드/외교 문서의 r7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09:11:11에 나무위키 러시아-네덜란드 관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