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오(슈퍼로봇대전)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슈퍼로봇대전/오리지널 메카닉

DGG-XAM3
라이오
雷鳳
LIOH
제원 [ 펼치기 · 접기 ]

형식번호DGG-XAM3
분류다이나믹 제너럴 가디언
제작지구연방군・강룡전대
소속쿠로가네
지구연방군・강룡전대
전고48.3m
중량122.5t
무장RAM 망토 x 1
MMI시스템-LIOH
다이렉트 모션 링크 시스템
DHTABMD 시스템
프레임B 프레임
동력원플라즈마 컨버터
개발자미나키 토오미네
파일럿토우마 카노우
※ 카탈로그 스펙은 《슈퍼로봇대전 OG 시리즈》 기준

1. 개요
2. 설정
3. 작품별 행보
4. 무장
5. 기타


1. 개요[편집]


Fighting Spirit, Without Limit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의 등장 기체. 《제3차 슈퍼로봇대전 알파》에서 슈퍼계 주인공기로 데뷔하였다.


2. 설정[편집]



3. 작품별 행보[편집]



3.1. 알파 세계관[편집]



3.1.1. 제3차 슈퍼로봇대전 α[편집]


파일럿의 몸상태나 경험등을 측정해 최적의 전투력이 나올 수 있는 형태로 전투 패턴을 자동으로 정해주고 파일럿의 전투력을 100% 끌어내는 획기적인 맨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 LIOH를 탑재한 양산 시작기. DGG3란 형식명이 나올 예정이었으나 개발자 카오루 박사가 DGG 등록을 거부했다. 카오루 토오미네 박사는 평소 위험한 사상을 지닌 탓에 학회에서 추방당했기 때문에 그 분풀이 또는 라이오가 다른 DGG와 같은 계열기로 간주되는 것이 싫었기 때문에 거부했던 것으로 보인다.[1]

토오미네 박사 사후에 토우마 카노우가 탑승하게 되어 공수도를 했던 경험이 있었던 그에게 최적화되어 격투전형 기체가 된다. 아마추어인 토우마도 쉽게 조작할 수 있을 정도로 시스템 LIOH는 편리한 시스템이었으나 이 시스템은 파일럿의 잠재능력을 지나치게 끌어내어 결국엔 폐인으로 만들어 버리는 무시무시한 시스템임이 밝혀져서 이 시스템은 폐기되고 후에 다이젠가와 같은 다이렉트 모션 링크 조작체계가 도입된다.

이것은 시스템 LIOH와는 달리 숙련이 필요한 시스템이라 토우마는 다시 교육을 받게되지만 오히려 나중에는 시스템 LIOH로는 사용할 수 없는 자신만의 동작으로 이루어진 필살기 '라이징 메테오'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더욱 강해진다.

후속 강화 개조기로 다이라이오가 존재한다.


3.2. OG 세계관[편집]



3.2.1. 제2차 슈퍼로봇대전 OG[편집]


OG 외전에서부터 조금씩 떡밥을 뿌려오다가 드디어 2차 OG에서 등장. 그런데 문제는 첫 등장이 49화. 진 엔딩 루트로 가도 14화밖에 못 쓰는 데다가 마지막 분기를 반대로 타면 10화 정도나 겨우 쓴다.

49화 인터미션에서 토우마 카노우가 제안했던 이름은 본래 雷凰(뇌황)이었지만 미나키 토오미네가 凰가 암컷 봉황을 상징한다는 의미라서 한자로는 雷鳳(뇌봉; らいほう)이라 쓰고 읽기로는 위의 뇌황(らいおう)으로 읽기되었다. 참고로 로버트 H. 오오미야가 제안한 이름은 진라이를 뒤집은 라이진.[2]

3차 알파 시절과는 약간 설정이 달라졌다.[3] 비안 졸다크가 DGG 3호기로 제작하다 중단한 것을 카오루 토오미네 박사가 완성한 것까지는 동일하지만, 카오루가 만든 기체는 검은 색의 닌자형 로봇인 진라이. 다른 DGG 두 대를 자신이 만든 인공지능으로 타도해야만 카오루 본인이 비안보다 우수하다는 것이 증명될 거라고 생각하여 파일럿 비탑승형인 진라이로만 강룡전대를 공격한다.

그 후 진라이를 악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은 미나키가 충격을 받고, 진라이를 좋은 일에 쓸 것을 결심하여 강룡전대에게 진라이를 포획할 것을 부탁한다. 진라이 포획 후에 새로 리뉴얼하여 만들어진 것이 기존의 라이오. 하지만 전투에서 시스템 LIOH에 의해 토우마가 이성을 잃고 진라이때처럼 다이젠가와 아우센자이터를 공격했다가 겨우 정신차리는 사건이 일어났다. DGG 타도가 끝날 때까지 진라이를 무인기로 운용하려한 카오루 박사가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탑승자가 시스템 LIOH를 발동시키게 해서 유인기가 되어도 DGG를 해치울 수 있게 해둔 것이다.

이후 시스템 LIOH를 억제하며 운용되다 카오루 박사가 외부에서 다시 발동시키자 미나키가 만약을 위해 설치한 폭발 장치로 시스템 LIOH를 아예 박살내버린다. 그리고 토우마는 시스템 LIOH의 보조없이 맨몸으로 라이오를 운용하는데 성공한다.

그리고 여담으로 목의 머플러는 진라이 시절 두르고 있던 RAM 망토의 찢어져서 남은 조각을 감아둔 것이라고 한다.

닌자의 컨셉을 가졌던 진라이가 당연히 특수능력으로 분신을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계승해와서 특수능력에 기본 분신이 있어서 회피면에서도 괜찮은 성능이 되었다. 아니 오히려 이번 작에서는 회피로 육성해 주는게 제일 좋은 방법일 정도.

3.2.2. 슈퍼로봇대전 OG 문 드웰러즈[편집]


2차 og이후로 젠가일행과 함깨 쿠로가네에서 지내고 있다가, 퓨리와 가디소드가 나타나고 라마리스가 도시를 파괴하기 시작하면서 강룡전대의 부름을 받고 다시 강룡전대와 합류한다.

꼴랑해봐야 14화 정도밖에 못쓰던 2차 OG에 비해서 비교적 초반부터 합류하기때문에 쓰기 좋은 데다가 신기술까지 추가되는건 덤.

그러나 신기술은 그저 고EN효율의 준 최종기 수준이라 최종화력이 그리 크지 않은 것과, 최상위 딜러 중 하나인 소울게인까지 같이 오기 때문에 거의 덤이라 생각들기도 할정도. 그래도 이동후 ALL공격이 아주 강력해서 그룬가스트 삼식이나 영식과 같이다니면서 격추수를 많이 벌 수 있기 때문에 키우긴 아주 쉽다. 기체 자체의 애매한 포텐셜을 환상적인 기술배치로 커버하는 기체. 이동 후 all공격은 아무나 가지는 게 아니다.
게다가 EN효율까지 생각하면 쓰기에 따라 소울게인보다 더 좋게 느껴질 수도 있다.

똑같이 이동후 올공격을 가진데다 무장사거리도 비슷한 그룬거스트 영식이나 바이사가와 트윈을 맺으면 이동후 올공격 난사, 보스전에선 필살기로 전천후 만능유닛으로 활용할수 있는 범용성을 가졌다. 이 중에 바이사가는 하켄 브로우닝을 태워서 하이페리온과 트윈을 짜는 케이스가 대부분이므로 대게는 그룬거스트 영식과 많이 트윈을 짜는 편.



4. 무장[편집]



  • 러싱 스핀
문 드웰러즈에서 나오는 신기술, 단숨에 거리를 좁혀서 돌려차기로 공격한다.

  • 하켄 임펄스
양쪽 발에 있는 플라즈마 컨버터에서 플라즈마를 발사해 적을 공격한다. 제 2차 OG에서는 오버헤드킥을 하면서 플라즈마를 발사하는 연출이 되었다.

  • 카운터 브레이크
양팔에 있는 플라즈마 컨버터에서 채찍을 만들어 땅을 내려치고, 지면을 타고 기어간 전기장으로 상대를 잡아 끌어와 제자리에서 강렬한 날아차기로 강타하는 기술. 제 2차 OG에서는 땅을 타고가지 않게 되어, 채찍이라기보다는 번개로 된 자기장 같은 표현이 되었다.

  • 라이트닝 폴
양쪽 발에 있는 플라즈마 컨버터를 사용해, 플라즈마를 휘감은 고속의 낙하킥을 구사한다. 3차 알파에서는 이게 유일한 ALL 무기였는데 잔탄제에 달랑 3발밖에 안돼서 라이오를 써먹기가 상당히 골치아팠다. 이 문제는 다이라이오로 업그레이드되도 해결이 안돼서 주인공 중 격추수 올리기 제일 힘든 기체가 되는데 일조한다. 제 2차 OG에서는 닌자 달리기로 적에게 접근해서 적 뒤로 돌아간 다음 양 발의 플라즈마 컨버터를 작동시키고 회오리를 발생시키며 하늘로 날아오른 후 플라즈마를 휘감은 고속의 낙하킥을 구사하고 킥의 영향으로 생긴 폭발에서 닌자같이 빠져나온다. 말하자면 진공용권선풍각으로 상승한 후 이나즈마 킥.

  • 라이징 메테오
특훈 끝에 추가되는 필살기. 연속 차기로 상대를 공중으로 끌고 올라가, 최후의 일격으로 적을 지면에 강하게 추락시킨다. 2차 OG에서는 절벽에서 포즈를 잡고 상대를 킥으로 신나게 두들긴 후 상대를 땅에 내려차기로 한번 처박고 상대를 다시 공중으로 올린 다음 내려차기로 생긴 파편들을 발판으로 하는 연속 차기로 상대를 공중으로 끌고 올라가 발로 찍으면서 내려오고 마지막에 발로 적을 밀어내면서 상대를 지면에 추락시킨다.[4]

  • 레이징 스트라이크
문 드웰러즈에서 나오는 신기술, 적에게 돌격해서 연속 차기로 걷어찬 뒤 적의 뒤로 날아가 적을 오버헤드킥으로 공중으로 걷어차 발차기로 뚫어버린다.


5. 기타[편집]


  • 초창기 팬덤에서는 총 4대가 제작되었다는 '다이나믹 제너럴 가디언'이 교도대 4인방 각각을 파일럿을 상정한 것이 아닌가하는 추측이 돌았다. 격투전에 특화된 본기의 경우는 카이 키타무라를 위해 제작된 것이 아닌가 하는 설이 있었지만, 본기가 격투를 하는 건 어디까지나 파일럿의 토우마 카노우의 공수도에 맞춰 '시스템-LIOH' 측에서 기체를 근접 특화로 최적화를 했기 때문으로, 카이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 '시스템-LIOH'의 기능상, 만일 파일럿이 사격에 재능이 있었다면 2호기인 아우센자이터와 같이 사격에 특화된 기체가 되었을 것이다. 또한 '다이나믹 제너럴 가디언'은 본래 어스 크레이들 방위용, 즉 DC 측 인물들의 탑승을 상정해 제작되었지만 카이는 연방군에서 한 번도 벗어난 적이 없기 때문에, 그를 위해 본기를 제작했다는 추측은 상당한 무리가 있다.

  • 초기 출전인 《제3차 슈퍼로봇대전 알파》에서는 '양산 시작기'라는 설정이 있던 데다, 기체 역시도 비안 졸타크 박사가 관여하지 않은 순수 카오루 토오미네 박사가 제작한 기체였기 때문에 일부 팬들은 본기를 '다이나믹 제너럴 가디언'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실제로도 위험한 사상을 가졌다는 이유로 학회해서 추방 당한 카오루 박사는 본기를 '다이나믹 제너럴 가디언'으로 취급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3호기로의 등록을 취소했다. 때문에 '제3차 알파'의 본기는 분류도 '다이나믹 제너럴 가디언'이 아니며, 형식번호 역시 'DGG'가 아니다. 때문에 '제3차 알파' 당시 본기를 3호기로서 인정하지 않는 일부 팬들의 주장은 어느 정도 근거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제2차 슈퍼로봇대전 OG》에서 'OG 세계관'에 편입된 라이오는 팬들의 이러한 부분을 염두한 것인지 설정이 크게 변경되었다. 'OG 세계관'의 본기의 개발은 카오루 박사가 행한 것이 맞지만, 설계는 비안 박사가 하고 카오루 박사는 이를 기초로 완성했다는 설정이 되었으며, '다이나믹 제너럴 가디언' 중 비안제의 'DGG'보다 자신이 개발한 'AI'의 우위성을 증명하기 위해 정식으로 '다이나믹 제너럴 가디언'으로서 등록되어 형식번호도 'DGG'를 사용한다. 때문에 '제3차 알파'의 본기는 몰라도 'OG 세계관'의 본기는 '다이나믹 제너럴 가디언' 3호기로 정식으로 인정되고 있다. 또한 본작에서는 '양산 시작기'라는 언급이나 설정도 나오지 않는다.

  • 한자로 '봉황 봉(鳯)'을 쓰는데 이를 라이'오'라고 읽어서 《제3차 슈퍼로봇대전 알파》 발매 당시 여럿 사람이 속았다. GEAR 나이트 오우가의 선례도 있듯 봉황 봉을 '오'라고 읽을 수도 있지만 당시 국내 팬덤은 호우오우에만 집착한 나머지 제작진을 한자도 모르는 무식한 집단으로 몰아갔다.[5]

  • 본래 '다이나믹 제너럴 가디언' 3호기는 닌자를 모티브로 하고 있었지만, 파일럿인 토우마 카노우의 설정을 근거로 《제3차 슈퍼로봇대전 알파》의 디자인이 되었다. 그 때문에 'DGG' 3호기와 본기는 서로 다른 외관을 가진 존재가 되었다. 'DGG' 3호기의 단계에서는 닌자도를 갖게 하는 방안도 있었지만, 본기는 발기술 주체로 싸우기 때문에 휴대 무장은 베제되었으며, 「킥이 필살기라면 붉은 머플러가 필요할 것」이라고 하는 생각으로부터 머플러가 디자인이 더해졌다. 후에 《제2차 슈퍼로봇대전 OG》에서 등장한 본기의 본래의 모습인 '진라이'의 디자인은 본기의 초기 디자인을 약간 변형하여 탄생했다.


[1] 말을 안하고 죽었기 때문에 자세한 건 모른다.[2] 루리웹 등지에서는 발음이 라이오이기 때문에 뇌봉이 아닌 뇌황이 맞다고들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는 엄연히 틀린 말이다. 애초에 일본어의 발음구조상 음독과 훈독이 존재해서 표기와 발음이 일치하는 경우가 많지 않으며, 특히나 창작물에서는 아예 원래 의도한 의미인 단어에다 멋있거나 또 다른 의미가 있는 단어를 발음으로 붙이는 방식을 보편적으로 쓰고 있다.[3] 시스템 LIOH의 설정도 변경.[4] 치프 자너프의 참성낭아라는 각성 필살기를 오마주한 것이며 후속작의 제니온의 그리프 버니셔 또한 이 필살기를 오마주 했다.[5] 예전 알파팀/임팩트팀 논쟁도 그렇고 슈로대 팬덤이 유독 이런 뇌피셜이 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