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라 세느의 별

덤프버전 : (♥ 0)

세느강의 별 (1975)
ラ・セーヌの星
파일:라세느의별_애니.jpg
작품 정보 ▼
장르히어로
원작MK[1]
총감독[2]오오스미 마사아키
디렉터 보좌데자키 사토시1~26화
감독토미노 요시유키27~39화
캐릭터 디자인스기노 아키오
편집츠루부치 토모아키(鶴渕友彰)
음악키쿠치 슌스케
애니메이션 제작유니맥스(ユニマックス)
소에이샤
방영 기간1975. 04. 04. ~ 1975. 12. 26.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후지 TV / (금) 19: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BC
편당 러닝타임24분
화수39화
국내 심의 등급미정
[1] 카네코 미츠루(金子 満)의 필명.[2] 1~26화는 치프 디렉터, 27~39화는 총감독 명의.

1. 개요
2. 줄거리
3. 등장인물
4. 주제가
5. 회차 목록
6. 특징
7. 국내 방영



1. 개요[편집]


프랑스 혁명을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으로, 1975년 4월 4일부터 1975년 12월 26일까지 후지TV에서 방영했다. 선라이즈가 작화를 담당한 선라이즈의 초기작. 총감독은 오오스미 마사아키, 감독은 데자키 사토시(1화 ~ 26화)와 토미노 요시유키(27화 ~ 39화)가 맡았다.


2. 줄거리[편집]


꽃집을 운영하는 부부의 딸이었으나 귀족의 횡포[1]에 부모를 잃은 고아 소녀 시몬느가 드 포르쥐 남작의 양녀로 들어가, 남작과 남작의 아들 로베르(로베르 역시 검은 튤립이라는 이름으로 의적 활동을 하고 있었다.)의 제안으로 훈련을 받은 다음 '라 세느의 별'(국내명 세느 강[2]의 별)이라는 히어로로서 귀족들을 징벌한다는 전개이다. 쾌걸 조로의 여성판이라 볼 수 있다.

사실 주인공 시몬느는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요제프가 불륜을 저질러서 낳은 사생아, 그러니까 마리 앙투아네트의 이복여동생이라는 반전이 있었다. 자신에게 이복 여동생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 마리 앙투아네트는 경비대장[3]에게 밀명을 내려 이복 여동생을 찾게 하고, 경비대장은 시몬느가 바로 마리 앙투아네트의 이복여동생이라는 것을 알게 되지만 그 사실을 미처 앙투아네트에게 알리기 전에 시민군과의 전투에서 전사하고 대신 부상 입은 시몬느를 왕비에게 데려가라고 유언을 남긴다. 하지만 시몬느가 자신의 이복 여동생인 줄은 꿈에도 모른 앙투아네트는 시몬느를 처형하라는 명을 내린다. 뒤늦게서야 검은 튤립을 통해 시몬느가 자신의 여동생이라는 것을 알게 된 앙투아네트는 검은 튤립을 도와 시몬느를 구출하게 하고, 진실을 알게 된 시몬느는 언니와는 싸울 수 없다며 '라 세느의 별'을 그만 두게 된다.[4]

마리 앙투아네트가 처형되기 전날 머리를 빗어주는 역할(저 주제가 화면에서 36초에 나온다.), 그러니까 베르사이유의 장미에서 로자리 역할을 시몬느가 수행한다. 결국 검은 튤립과 시몬느가 감옥에서 앙투와네트의 아이들을 함께 빼돌려[5] 프로이센으로 망명시키면서 사라지는 게 결말. 마리 앙투아네트는 그 사실을 알고 기쁘게 최후를 맞이한다.


3. 등장인물[편집]


  • 시몬느 로랑/라 세느의 별
주인공, 시작 당시 15세. 성우: 니키 테루미, 성유진


4. 주제가[편집]


OP[7]
ラ・セーヌの星
라 세느의 별
TV ver.
노래알레느(アレーヌ)
컬럼비아 요람회(コロムビアゆりかご会)
작사호토미 코고(保富康午)
작곡키쿠치 슌스케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
연출-
작화감독-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ED
私はシモーヌ
나는 시몬느
TV ver.
노래알레느(アレーヌ)
컬럼비아 요람회(コロムビアゆりかご会)
작사호토미 코고(保富康午)
작곡키쿠치 슌스케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
연출-
작화감독-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5.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방영일
제1화風の中の少女
바람 속의 소녀
요시노 지로
(吉野次郎)
데자키 사토시신도 미츠오日: 1975.04.04.
韓:
제2화ベルサイユへの道
베르사이유로의 길
키타니 나시오
(木谷梨男)
오쿠다 세이지데자키 사토시日: 1975.04.11.
韓:
제3화謎のフェンシング
수수께끼의 펜싱
요시카와 소지하야시 마사유키
(林 政行)
신도 미츠오
사카구치 히사시
(坂口尚二)
日: 1975.04.18.
韓:
제4화サン・ファの黒バラ
센와의 흑장미
야나가와 소조
(柳川創造)
小田経堂
오쿠다 세이지데자키 사토시신도 미츠오日: 1975.04.25.
韓:
제5화ラ・セーヌの星誕生
라 세느의 별 탄생!
야나가와 소조야자와 노리오
(矢沢則夫)
신도 미츠오
사카구치 히사시
日: 1975.05.02.
韓:
제6화さようならミラン
안녕히. 밀란
키타니 나시오하야시 마사유키신도 미츠오日: 1975.05.09.
韓:
제7화シモーヌの秘密
시몬느의 비밀
요시카와 소지오쿠다 세이지데자키 사토시신도 미츠오
사카구치 히사시
日: 1975.05.16.
韓:
제8화ベルサイユの美女
베르사이유의 미녀
마츠오카 세이지
(松岡清治)
신도 미츠오日: 1975.05.23.
韓:
제9화哀しくて美しい友
슬프고도 아름다운 친구
바바 미츠루
(馬嶋 満)
후쿠무라 히로시
(福村 公)
신도 미츠오
사카구치 히사시
日: 1975.05.30.
韓:
제10화クロジェールの黒い罠
클로제르의 검은 덫
하야시 마사유키신도 미츠오日: 1975.06.06.
제11화オルゴールの秘密
오르골의 비밀
硲 健오쿠다 세이지데자키 사토시사카구치 히사시日: 1975.06.13.
韓:
제12화消え去ったメロディ
사라져버린 멜로디
바바 미츠루신도 미츠오日: 1975.06.20.
韓:
제13화ベルサイユの舞踏会
베르사이유의 무도회
요시카와 소지신도 미츠오
사카구치 히사시
日: 1975.06.27.
韓:
제14화十字架の愛にかけた剣
십자가의 사랑에 못을 박은 검
바바 미츠루하야시 마사유키신도 미츠오日: 1975.07.04.
韓:
제15화飛べよ気球パリの空へ
날아라! 기구 파리의 하늘로......
요시카와 소지오쿠다 세이지데자키 사토시사카구치 히사시日: 1975.07.11.
韓:
제16화花祭りの聖少女
꽃축제의 성스러운 소녀
바바 미츠루후쿠무라 히로시신도 미츠오日: 1975.07.18.
韓:
제17화消えたパンの秘密
사라진 빵의 비밀
하야시 마사유키사카구치 히사시日: 1975.07.25.
韓:
제18화アルプスの老騎士
알프스의 노기사
硲 健오쿠다 세이지데자키 사토시신도 미츠오日: 1975.08.01.
韓:
제19화愛のシンフォニー《パリ》
사랑의 심포니 《파리》
요시카와 소지하야시 마사유키사카구치 히사시日: 1975.08.08.
韓:
제20화愛のパリ交響曲《第2楽章》
사랑의 파리 교향곡《제2악장》
신도 미츠오日: 1975.08.15.
韓:
제21화国境に燃えたサファーデ
국경에 불타는 사파데
硲 健오쿠다 세이지데자키 사토시사카구치 히사시日: 1975.08.22.
韓:
제22화生命ある限り
생명이 있는 한
바바 미츠루니이무라 히로시
(新村 広)
신도 미츠오日: 1975.08.29.
韓:
제23화天使の黒い矢
천사의 검은 화살
요시카와 소지토비시마 이사무
(飛鳥 勲)
사카구치 히사시日: 1975.09.05.
韓:
제24화落ちた仮面
떨어져버린 가면
硲 健하야시 마사유키신도 미츠오日: 1975.09.12.
韓:
제25화コルシカの赤い花
코르시카의 붉은 꽃
바바 미츠루니이무라 히로시데자키 사토시사카구치 히사시日: 1975.09.19.
韓:
제26화帰って来たロベール
돌아온 로베르
요시카와 소지오쿠다 세이지신도 미츠오日: 1975.09.26.
韓:
제27화二人のオルレアン
두 사람의 오를레앙
하야시 마사유키사카구치 히사시日: 1975.10.03.
韓:
제28화懐しのミラン
그리움의 밀란
데자키 사토시켄지로
(研次郎)
신도 미츠오日: 1975.10.10.
韓:
제29화自由へのたたかい
자유에 대한 투쟁
바바 미츠루오쿠다 세이지테라다 카즈오
(寺田和男)
사카구치 히사시日: 1975.10.17.
韓:
제30화議会への挑戦
의회에서의 도전
토비시마 이사무켄지로신도 미츠오日: 1975.10.24.
韓:
제31화燃えるバスチーユ
불타오르는 바스티유
요시카와 소지데자키 사토시테라다 카즈오사카구치 히사시日: 1975.10.31.
韓:
제32화予期せぬ罠
예기치 않은 함정
아사 미나미
(阿佐みなみ)
켄지로신도 미츠오日: 1975.11.07.
韓:
제33화王妃マリーの孤独
왕비 마리의 고독
테라다 카즈오사카구치 히사시日: 1975.11.14.
韓:
제34화嵐の中の真実
폭풍 속의 진실
데자키 사토시신도 미츠오日: 1975.11.21.
韓:
제35화ベルサイユの危機
베르사이유의 위기
바바 미츠루켄지로사카구치 히사시日: 1975.11.28.
韓:
제36화運命の信任状
운명의 신임장
오쿠다 세이지테라다 카즈오신도 미츠오日: 1975.12.05.
韓:
제37화明日なき逃亡
내일이 없는 도망
요시카와 소지데자키 사토시사카구치 히사시日: 1975.12.12.
韓:
제38화愛と誇り
사랑과 긍지
오쿠다 세이지켄지로신도 미츠오日: 1975.12.19.
韓:
제39화さらばパリ
잘 있어라. 파리!
아사 미나미테라다 카즈오사카구치 히사시日: 1975.12.26.
韓:


6. 특징[편집]


배경과 스토리는 딱 보면 알 수 있지만 베르사이유의 장미와 엄청나데 비슷하다. 사실 주인공 시몬느의 대부분의 설정이 로자리에서 가져왔다고 봐야 할 지경...[8]

당시 아직 베르사이유의 장미가 원작자의 반대로 애니화하지 못 하던 시기라서 대놓고 베껴서 선라이즈에서 자기들 나름대로 어레인지하여 제작한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애니메이션 판의 방영 시기는 베르사이유의 장미 애니판보다 빠르다. 만화판의 해적판 제목도 베르사이유의 장미. 낚이지는 말도록 하자.

사실, 어떻게 봐도 베르사이유의 장미의 인기에 편승하려고 한 작품이며 스토리나 설정 면에서 베르사이유의 장미의 영향을 받은 것은 분명하지만, 베르사이유의 장미가 귀족들의 시점에서 바라본 혁명을 그린 작품이라면 이 작품은 민중의 시점에서 혁명을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그 나름대로 독자적인 차별성도 두고 있다. 또한 마법소녀물의 영향을 받은 변신 히로인 요소를 도입한 것도 특징으로, 노출도 높은 파격적인 히로인 복장이 꽤 매력적이다. 하지만 의외로 암울한 스토리 라인을 가지고 있다.[9] 물론 베르사이유의 장미보다는 밝다. 일단 주인공 커플(시몬느와 로베르)이 살아남은 것만도 어딘가.

또 어이없는 일이지만, 당시 다른 선라이즈 애니메이션인 용자 라이딘과 다른 채널/같은 시간대에서 방송하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에 처해서 시청률이 나오지 않았다. [10] 일단 동시간에 선라이즈 작품 2개를 방영하여 시청률을 서로 갉아먹어, 그 결과 39화로 조기종영되고 만다. 그래도 이야기는 어떻게 매듭지었다. 사실 이때의 선라이즈는 단순한 하청사에 불과해서 그냥 납품만 많이 하면 이득이었고 애니가 잘되든 말든 손해는 원청 제작사가 떠안는 것이라 딱히 알 바가 아니었으므로 자멸한 건 아니다.

상당히 마이너한 작품이지만 안노 히데아키는 히로인을 보고 한 눈에 반한 작품이라며 자주 언급하고 있으며 현재도 운전할 때 주제가를 틀고 다닌다고 한다.

토미노도 로봇 애니메이션보다 이런 게 훨씬 재밌다면서 추전작으로 꼽기도 한 작품이다. 유명한 에피소드는 오쿠다 세이지가 연출한 38화가 있는데 그 토미노조차도 패배 선언을 했다. #

2012년 10월 24일에 미디어 팩토리를 통해, 상하권으로 나뉘어 DVD 박스가 출시됐다.[11]

7. 국내 방영[편집]





1995년 7월 5일부터 12월 14일까지 MBC에서 세느강의 별이라는 이름으로 방송되기도 했다. 성우진을 보면 낯익은 이름들과 원로 성우들이 같이 나오는데 지금 기준에서 보면 후덜덜한 성우진이다.

그러나 문제는 본작이 국내에 방영된건 1995년, 그리고 원판은 무려 1975년에 만들어진 작품이다. 게다가 당시 KBS에서는 영광의 레이서를, SBS에서는 슈퍼 그랑죠를 방영하고 있었다. 길어야 4~5년된 만화 상대로 무려 20년전의 만화를 들고 왔으니 아이들 시선에 먹힐 리 만무했고,[12] 결국 MBC는 두 방송사와의 만화 시청률 경쟁에서 완패하고 만다.

한국판 주제가가 인상적이라 기억하는 시청자가 많은데, 선우용여의 딸인 최연제가 불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22:52:26에 나무위키 라 세느의 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프랑스의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는 평소 경쟁하던 귀부인이 장미로 치장하고 파티에 온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진귀한 흑장미를 대량으로 주문한다. 시몬느의 부모는 처음에는 난색을 표하지만 결국 파리 전역을 뒤져 대량의 흑장미를 찾아내는데 성공한다. 귀중한 흑장미로 온몸을 치장한 마리 앙투와네트를 보고 사람들은 경탄하고, 색색의 평범한 장미로 치장한 귀부인은 '광대 같다'며 오히려 놀림거리가 된다. 이에 앙심을 품은 귀부인이 수하들을 시켜 시몬느의 부모를 살해하고, 시몬느만 겨우 살아남게 된다.[2] la Seine는 영어로 하면 the Seine. 센 강.[3] 직책이 직책인만큼 왕실에 반기를 드는 라 세느의 별을 적대하는 악역을 맡고 있었다.[4] 무려 루이 16세가 직접 나서서 시몬느의 오해를 풀어주고 앙투아네트와 만나게 한다.[5] 이 와중에 시민군은 라 세느의 별과 검은 튤립이 우릴 배신한거나며 분노하고, 시몬느는 나는 시민군만의 편이 아니라 모든 약자들의 편이라며 아이들만은 용서해줄 것을 부탁하지만 먹힐리가 없었다. 결국 두 사람은 여태까지 함께 싸우던 전우들과 칼을 부딪혀야 했다.[6] 베르사이유의 장미에서 폴리냑 부인을 맡았다(...).[7] UFO로보 그렌다이저의 오프닝과 멜로디와 가사가 매우 비슷한 것으로 유명하다. 사실 작곡가도 키쿠치 슌스케로 똑같다. 자기복제인 것이다.[8] 마침 베르사이유의 장미의 애니메이션의 감독이 데자키 사토시의 동생 데자키 오사무이다. 그야말로 무서운 우연이다.[9] 언니가 찾던 동생이 실은 적대하고 있던 라 세느의 별이라던가, 마리의 이복동생 건으로 벌어지는 궁중 암투라든가, 왕가 사람이라고 어린아이마저 죽이려는 시민군 등등.[10] 심지어 두 작품 모두 토미노 요시유키가 감독을 한 시기가 있다. 다만 토미노는 라이딘을 하다 쫓겨나서 이 작품을 해 시기는 겹치지 않는다.[11] 정작 DVD가 선발매된 국가는 이탈리아였다. 2007년 발매.[12] 반드시 그런 건 아니고 이상한 나라의 폴이나 독수리 5형제 등 70년대 애니메이션도 잘 보는 것은 잘 봤다. 하지만 이런 예외를 제외하면 그림체나 연출 등이 낡은 것은 사실이긴 하다. 이 만화의 장점 예를 들어 예쁜 변신소녀 여주인공 같은 것도 20년 후에는 이 정도 복장도 그리 파격적이지 않은 등 많이 퇴색되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