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MAX Trilogy

덤프버전 : (♥ 0)

||
파일:DJMAX Trilogy.jpg
개발펜타비전
유통게임콘
플랫폼Microsoft Windows
장르건반형 리듬 게임
출시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년 12월 24일
서비스 종료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년 12월 19일[1]
한국어 지원지원
심의 등급파일:게관위_12세이용가.svg 12세 이용가

1. 개요
2. 발매 전 정보
3. 시스템 요구 사항
4. 특징
4.1. 플레이 모드
4.2. 스테이터스
4.3. 장비
4.5. 옵션
5. 수록곡 목록
6. 미사용곡
7. 패키지 구성품
7.1. USB Profile Key
7.2. T-SIDE
7.3. R-SIDE
8. 발매 후 평가
8.1. 시스템
8.2. 업데이트
8.3. 업데이트 재개
8.4. 네트워크 서비스 종료
9. 컨트롤러
10. 버그
11. 여담
12. 스탭롤



1. 개요[편집]



Over the Maximum

DJMAX 온라인에 이은 DJMAX 시리즈의 두 번째 PC 플랫폼 작품. '트릴로지'는 DJMAX 온라인, DJMAX Portable, DJMAX Portable 2 세 작품의 콘텐츠를 모아서 수록하였다는 뜻을 담고 있다.

2. 발매 전 정보[편집]


과거 DJMAX 온라인 시절 돈을 내고 유료곡을 플레이한다는 사업모델은 완전히 실패하고[2][3] 결국 DJMAX 온라인은 서비스를 종료했었다. 이후 PSP로 플랫폼을 옮겨 대박을 치고, 국산 게임이라고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4] DJMAX 온라인의 서비스 종료 이후 펜타비전은 사업성이 안좋은 PC플랫폼을 정리하고 콘솔에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는데[5], 이때 프로듀서인 Forte Escape가 PC플랫폼 개발을 주장하여 패키지판인 트릴로지를 개발하게 된다.
  • 한정판
12월 24일 발매 예정으로 12월 13일~14일에 걸쳐 BS의 초회한정판 판매와 유사한 한정판을 판매했는데, 게임몰 몇 개를 폭파시키며 인터파크·게임콘 30초 전량 소진이라는 기록을 또 세웠다.

3. 시스템 요구 사항[편집]


구분권장 사양
OSWindows XP, 2000
CPUIntele® Pentium 4 1.6Ghz
RAM1 GB
VGANVIDIA GeForce 5700
ATI Radeon ®9600
APIDirectX 9.0c
저장 공간5 GB

4. 특징[편집]




DJMAX Trilogy는 4개의 노트가 떨어지는 모드부터 8개의 노트가 떨어지는 모드까지 총 5개의 모드가 있으며, 떨어지는 노트의 개수만큼 버튼을 입력하여 음악을 연주하는 게임입니다.

각 노트를 완벽한 타이밍에 입력하면 FEVER 게이지가 조금씩 채워지며 FEVER 게이지를 전부 채우면 FEVER를 발동시킬 수 있습니다. FEVER가 발동된 동안 더 높은 스코어와 콤보를 기록할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설명서 13p


“옛 온라인 시절의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라고 하여 제목 그대로 '트릴로지' 컨셉으로, 200여개가 넘는 디맥온과 DMP 시리즈 곡들 가운데 비인기곡들은 과감하게 잘라내고 명곡들, DMP2의 미사용곡들, 트릴로지 전용 신곡들을 합하고 그리고 BGA가 없던 몇몇 디맥온의 곡들은 BGA를 추가하여 '디맥온 ~ 디맥포투까지의 Best Hits' 개념으로 총 121개[6]의 수록곡으로 구성하였다.

  • 시각 효과
    • 동영상 기반 UI를 사용한다. 타이틀, 곡/미션 선택화면, 플레이 결과화면의 뒷배경이 동영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미디어 역시 동영상. 컨테이너는 .bik을 사용한다. 트릴로지 최상위 폴더에 있는 binkw32.dll[7]이 그 증거.
    • Portable 2처럼 움직이는 아이캐치를 채택했다. 또한 좌측 상단에 해당 곡이 처음 나온 시리즈와 연도가 표시된다. 그러나 디맥포투의 수록곡이 2005년 출시된 것으로 나오는 등 사소한 문제가 있다. 또, 발매 이후 업데이트된 신곡은 버전이 나오지 않는다.
    • 초기 수록곡들은 스크립티드 레이어 방식의 BGA를 사용한다. 바람에게 부탁해 Live Mix, Your Own Miracle은 원본이 동영상이었기 때문에 그림 여러장을 빠르게 돌려서 동영상처럼 보이게 한 것. 용량 문제로 인해 해상도가 열화되었으며, 스캔 라인이 추가되었다. 이후 업데이트로 수록된 곡들은 동영상 BGA를 사용한다.
    • 초기 버전은 그루브 라이트[8]가 존재하는 등 인터페이스에 차이가 존재했다. 비트콘은 지원하지 않았다.

  • 음향 효과
    • 라이브 모드
      • 게임 중 라이브 효과를 준다.
      • 특정 콤보를 달성할 때 마다 나오는 음성과 피버 게이지가 올라갈때마다 나오는 음성이 추가되며, 리버브 효과가 추가된다. 또 곡에 따라서는 환호성 소리가 나오기도 한다.[9] 피버 계수가 올라갈수록 함성도 강해지고 곡이 진행되는 동안 곡 박자에 맞춰 박수 소리도 들린다. 곡이 끝날때 피버가 높을수록 더 큰 환호성과 함께 끝이 난다.[10]
      • EZ2DJ The 1st TRACKS Special Edition의 AUDIENCE 이펙터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 이 기능은 DJMAX Trilogy에서 처음 생겼고, 이후 시리즈에서는 다시 등장하지 않았다.
    • 인타이어 컨트롤
      • 초록색으로 표시된 노트를 맞히지 않으면 배경음도 안 나오게 된다. 이 시스템은 코나미의 특허 소송을 피하기 위해 넣은 것이다.[11]
      • DJMAX Portable Black Square에도 적용된 시스템이다.

  • 게임 시스템
    • 난이도 체계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DJMAX 시리즈/난이도 체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피버 시스템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DJMAX 시리즈/피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키 어시스트
    • 노트가 내려오는 중 다른 라인 키를 눌러도 타이밍만 맞으면 맞게 처리해주는 시스템이다. 역시 코나미의 특허 소송을 피하기 위해 넣은 것이다.[12]
    • DJMAX Portable Black Square에도 적용된 시스템이다.
  • 기본 조작
    • A, S, D, F, J, K, L, ; : 떨어지는 노트에 맞춰 버튼을 누르면 음악이 연주된다. Key모드 별로 총 4개에서 8개의 버튼을 사용한다.
    • space : Fever를 발동시킬 수 있다.
  • 단축키
    • F3: 배속 감소(이펙터 1)
    • F4: 배속 증가(이펙터 1)
    • F5: (선곡 화면) 선택한 곡 플레이 / (플레이 중) BGA ON/OFF 전환[13]
    • F6: 이펙터 2
      • 미러: 라인의 좌우 위치를 서로 바꾼다.
      • 랜덤: 라인을 섞는다
      • 스파이럴 L/R: 라인을 왼쪽/오른쪽으로 1칸씩 이동한다.
    • F7: 이펙터 3(페이드 아웃, 페이드 인 등)
    • F8: 이펙터 4(카오스)
    • 숫자키 1: 전체 곡/MY SONG 전환
    • 숫자키 2: 제목 순 정렬, 오름차순/내림차순 전환
    • 숫자키 3: 레벨 순 정렬, 오름차순/내림차순 전환
    • 숫자키 4: 4키 모드로 전환(프리 모드 한정)
    • 숫자키 5: 5키 모드로 전환(프리 모드 한정)
    • 숫자키 6: 6키 모드로 전환(프리 모드 한정)
    • 숫자키 7: 7키 모드로 전환(프리 모드 한정)
    • 숫자키 8: 8키 모드로 전환(프리 모드 한정)
    • 방향키 좌/우: 난이도 선택
    • 방향키 상/하: 곡 선택
    • 엔터: 선택한 곡 플레이
    • ESC: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기/일시정지
    • 스페이스 바: 피버 발동
    • A~Z: 해당 알파벳으로 시작하는 곡을 바로 선택할 수 있다. 단, 한글은 불가능.

4.1. 플레이 모드[편집]


  • 스테이지 모드
곡을 자유롭게 플레이하며 콤보를 쌓을 수 있는 프리스타일 모드, 4개의 스테이지를 플레이할 수 있는 스테이지 모드,
4개의 스테이지에서 정확도를 평균 99% 이상으로 달성하면 엑스트라 스테이지가 등장한다.
  • 미션 모드
어진 조건을 해결하는 미션 모드가 있다. 프리스타일 모드에서 곡을 플레이하려면 스테이지 모드에서 미리 해금을 해야 한다.
미션 목록
  • 프리스타일 모드
스테이지 모드에서 한번 클리어 한 곡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 네트워크 모드
다른 플레이어와 대결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 모드


4.2. 스테이터스[편집]


  • SPEC
    • 최대 체력
    • NM, HD, MX 난이도에서는 노트를 정확하게 처리하면 체력을 조금 회복한다.
  • DefUP
    • 체력이 감소되는 양을 줄여준다
  • AUTO
    • 1% 판정의 범위가 증가한다
  • TECH
    • 모든 판정의 범위가 증가한다
  • FEVER
    • 높은 판정이면 피버 게이지가 더 빨리 충전된다.
    • 낮은 판정이면 피버 지속 게이지가 더 빨리 감소된다.

4.3. 장비[편집]



4.4. 컬렉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DJMAX Trilogy/컬렉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5. 옵션[편집]


  • GRAPHIC
    • 화면 비율을 NORMAL(1024×768)과 WIDE(1280×768)로 전환할 수 있다.
    • BGA를 켜거나(HIGH) 작게 표시하거나(LOW) 표시하지 않을 수(OFF) 있다.
    • EXCLUSIVE 모드를 설정할 경우 게임 화면 위에 작업 표시줄이나 시작 메뉴, 또는 다른 창이 표시되지 않는다.
    • 수직 동기화를 켜거나 끌 수 있다.
  • SOUND
    • 전체 볼륨과 배경음 볼륨, 키음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 LIVE MODE를 켜거나 끌 수 있다.
  • DISPLAY
    • GEAR를 왼쪽, 가운데, 오른쪽 중 어느 곳에 표시할 지 선택할 수 있다.
  • KEY SETTING
    • 키보드와 MUSE-ON 컨트롤러 중 무엇을 사용할 지 선택할 수 있다.
    • 키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 KEY ASSIST 모드를 켜거나 끌 수 있다.
  • SYSTEM
    • 그래픽 품질을 HIGH와 LOW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LOW로 설정 시 해상도가 800×600으로 고정된다.
    • 사운드 품질을 HIGH와 LOW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 프로세스 점유율을 MEDIUM과 HIGH, HIGHEST 중에서 선책할 수 있다.
  • DJ DATA
    • 사용자 데이터를 초기화할 수 있다. 단, 닉네임은 변경되지 않는다. 닉네임까지 변경하려면 런처에 있는 'DJ DATA RESET'에 체크한 상태로 실행해야 한다.


5. 수록곡 목록[편집]


2008 DJMAX Trilogy Original sound TRACK
#곡명장르작곡자해금 조건
01바람의 기억RnB FantasyForte Escape레벨 0
02아침형 인간 ~Megatonic Mix~[M]80's 8bitND Lee미션 [Eco]ordinate
03A Lie ~Deep Inside Mix~R&BElectronic Boutique레벨 41
04Bye Bye Love ~Nu Jazz Mix~[P2]Nu JazzElectronic Boutique미선 -1
05Catch YouCute PopForte Escape레벨 0
06For Seasons ~Air Guitar Mix~[P2]Easy ListeningPlanetBoom미션 Judgment
07Get Out ~Hip Noodle Mix~House HipHopDJ.EON미션 The Robots
08Mind ControlModern Hard RockNieN레벨 0
09My JealousyLounge 2Step3rd Coast레벨 0
10NB GirlsPop RockNieN레벨 21
11Someday90's popNieN레벨 0
12sO mUCH iN LUV ~Melodic Twisted Mix~Melodic HipHopForte Escape미션 Soul's Melody
13SQUEEZE ~Megatonic Mix~[M]EurobeatOriental ST8미션 Friday Nightmare
14STOPBig Band House3rd Coast레벨 0
15Streetlight (vocal)Light PopNauts미션 Croove Clover
16Syriana ~Blast Wave Mix~[P2]Blast Wave MixDJ.EON미션 Emotion Pulse
17Talk! Talk!Happy Corexxdbxx레벨 1
18The OneHappy 2StepPaul Bazooka레벨 41
19VentilatorPsychedelic TranceCycle75레벨 51
20Yo Creo Que Si ~Live House Version~[P2]Live House VersionBEXTER미션 Russian Roulette
21Your Own Miracle ~Disco House Mix~[P2]Disco HouseMakou레벨 71 히든곡
22ZET[P2]RockBEXTER미션 Mental Storm
2004 DJMAX ONLINE Original sound TRACK
#곡명장르작곡자해금 조건
01A.ITechnoForte Escape레벨 0
01Again SunshineAni PopForte Escape레벨 51
02Astro FightFunky StompForte Escape레벨 1
03Aurora BorealisDrum'N BassElectronic Boutique레벨 51
04Brave it OutAgressive FunkBEXTER레벨 21
05Bright DreamAnime HouseM2U레벨 41
06Can We TalkAcid JazzForte Escape레벨 71
07Can We Talk ~Broken Dog Leg Mix~Acid JazzForte Escape레벨 11
08Celestial TearsPiano TranceTsukasa레벨 31
09Chain of GravityMelodic TranceTsukasa레벨 61
10CherokeeTrance Fusionxxdbxx레벨 31
11Chrono BreakersAni PopNieN레벨 41
12Cosmic Elevator[B]Ani PopForte Escape레벨 0
13Damascus[B]70's Funky JazzMakou레벨 51
14Dancin' Planet[B]Hybrid CorePlanetBoom레벨 11
15Elastic StarAcid HouseForte Escape레벨 61
16End of the MoonlightTechno PopForte Escape초기 오픈곡
17Enemy StormHard CoreCROOVE레벨 71
18Eternal Memory ~소녀의 꿈~Fantasy PopM2U레벨 51
19Extreme Z4Break BeatForte Escape레벨 21
20Fallen AngelModern RockDJ Mocha레벨 41
21Feel[B]Acid PopDJ Mocha레벨 71
22FentanestSpiral SequenceEarbreaker & Eszett레벨 31
23For SeasonsEasy ListeningMakou레벨 31
24For the IKARUSAni PopNieN레벨 31
25FTRElectric HouseSupbaby레벨 41
26FuturismElectro FusionForte Escape레벨 21
27Get On TopP-FunkPlanetBoom레벨 11
28Hello PinkyHiFi PopNieN레벨 61
29JBGYellow HipHopCROOVE레벨 71
30Jupiter DrivingTechno Stockxxdbxx레벨 61
31Knowledge SystemTechnoForte Escape레벨 71
32KUDATechno CoreGonzo레벨 41
33Let GoHip Hopxxdbxx레벨 1
34Let's Go BabyHipHop3rd Coast레벨 51
35Light HouseHappy Corexxdbxx레벨 1
36Long VacationSchool HouseESTi레벨 1
37Luv FlowR&B Medium3rd Coast레벨 31
38Memory of BeachDance PopM2U초기 오픈곡
39Mess it UpElectro Big BandNauts레벨 1
40Midnight BloodOriental TranceNieN레벨 11
41MilesElectro FusionElectronic Boutique초기 오픈곡
42My AliasEmocoreDayz레벨 51
43NB RangerScream FunkM2U초기 오픈곡
44Never SayJungle PopND Lee레벨 11
45OBLIVIONDramatic TranceESTi레벨 0
46One the LoveBeer Housexxdbxx레벨 61
47Out LawNu SkoolCROOVE초기 오픈곡
48Phantom of SkyFantasy PopM2U레벨 21
49Ray of IlluminatiEuro DanceESTi레벨 51
50Real Over DriveNieN초기 오픈곡
51REDSpanish R&BCROOVE레벨 31
52River FlowPlanetboom레벨 11
53Road Of DeathHard CoreNieN레벨 51
54Rock Or DieHard CoreNieN레벨 61
55Rolling On the DuckHard CoreNieN레벨 31
56Save My DreamAcid DanceForte Escape레벨 1
57School SomedayFusionElectronic Boutique레벨 21
58SeekerMelodic TranceM2U초기 오픈곡
59SINDrum'n BassESTi초기 오픈곡
60Space of SoulM2U레벨 71
61StarFishT echno CorePlanetBoom레벨 61
62Sunny SideBright RnBCROOVE초기 오픈곡
63Super Lovely레벨 1
64Triple ZoeProgressive RockForte Escape레벨 41
65Urban NightUrban HouseElectronic Boutique레벨 71
00Ya! Party!레벨 11
66Yellowberry[B]Lounge JazzForte Escape레벨 41
00Yo Creo Que Si레벨 31
67바람에게 부탁해Fantasy R&BForte Escape초기 오픈곡
68복수혈전Hard CoreND Lee레벨 11
69아침형 인간80's 8bitND Lee초기 오픈곡
70피아노 협주곡 1번Classic RemixWavFactory레벨 11
2005 DJMAX PORTABLE1 Original sound TRACK
#곡명장르작곡자해금 조건
01BlythESynth DnBM2U초기 오픈곡
02HAMSINTranceMakou레벨 21 히든곡
03Ladymade StarSpace Idol PopESTi초기 오픈곡
04OBLIVION ~Rockin' Night Style~RockNieN레벨 51 히든곡
05SIN ~The Last Scene~DnBESTi미선 Panaxism
06바람에게 부탁해 Live MixLive PopForte Escape레벨 41 히든곡
2006 DJMAX PORTABLE2 Original sound TRACK
#곡명장르작곡자해금 조건
01Brain StormJunknoCROOVE레벨 21
02Brandnew DaysPop RockPlanetBoom레벨 0
03DIVINE SERVICEEthnic TechnoElectronic Boutique레벨 71
04Dream of YouSweet JazzMakou레벨 71
05HigherEpic HouseSupbaby레벨 41
06Lost n' foundElectronic Popsbermei.inazawa레벨 1
07MemoirsFantasyM2U레벨 31
08NB Rangers -Returns-Progressive MetalNieN레벨 31
09NB POWERAni RockNieN초기 오픈곡
10NightmareDnBM2U레벨 71 히든곡
11Right NowGospel R&BMakou레벨 61
12SQUEEZEEuro BeatOriental ST8레벨 61
13Sunset RiderSchool RockNauts초기 오픈곡
14SyrianaUrban PunkBEXTER초기 오픈곡
15White BlueTrancezts레벨 0
00Your Own MIRACLE레벨 71
17설레임Cute PopND Lee초기 오픈곡
18태권부리Happy Corexxdbxx레벨 21

아래는 6월 4일 이후로 업데이트된 메트로 프로젝트 곡 리스트이다.

트릴로지의 특성상 해금 방법을 명확히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14] 아래의 해금 방법은 확실하지 않으며, 커뮤니티에 검색해 보면 해금 방법에 대한 각종 억측이 난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콤보 해금곡이나 8월 31일에 업뎃된 3곡은 아래의 해금 조건이 거의 확실하나,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 I want You, SON OF SUN, Fate는 아직도 정확한 해금 조건이 확인되지 않았다. 만일 아래의 방법으로 곡이 해금이 되지 않는다면 커뮤니티에 검색해서 다른 방법을 찾아보는 것을 추천한다.

#곡명작곡자해금 조건
2010년 6월 4일자 업데이트곡
01First KissBJJ기본 제공
02I want YouLin-GMX 패턴 1개의 정확도 92% 이상
03Sweet Shining Shooting StarCROOVE프리스타일 40000콤보 돌파
04FermionMakou프리스타일 70000콤보 돌파
05SON OF SUNHosoe Shinji아무 패턴 1개의 정확도 99% 이상
2010년 8월 31일자 업데이트곡
06SuperSonicPlanetBoomSC 패턴 1개의 정확도 90% 이상
07YND LeeSuperSonic 4, 5, 6키 전 패턴 클리어
08RememberLin-GY 4, 5, 6키 전 패턴 클리어
2011년 4월 28일자 업데이트곡
09Heart of WitchReX2011콤보 달성 후 BREAK[15]
10FateSTi아무 패턴 1개의 정확도 99% 이상
11Cypher Gate7 Sequence프리스타일 50000콤보 돌파


6. 미사용곡[편집]


미사용곡
꿈속에서 본 것은Forte Escape미사용곡
Carmen Toreador[16]Classic RemixWavFactory더미 데이터
End of the Moonlight ~Megatonic mix~[M]Techno PopForte Escape더미 데이터
NB Ranger ~Megatonic mix~[M]Scream FunkM2U더미 데이터
Over Your Dreamxxdbxx미사용곡
Soul PhaseForte Escape미사용곡
Yo Max ~Megatonic mix~[M]Hip HopND Lee더미 데이터


7. 패키지 구성품[편집]


  • 소프트웨어 설명서
  • USB Profile Key
  • INSTALL DVD
  • OST CD
    • T-SIDE
    • R-SIDE

DJMAX 시리즈 중에서는 유일하게 일반판에 OST를 동봉한 작품이기도 하다. T-SIDE와 R-SIDE총 2개의 CD로 구성되어 있으며, T-SIDE에는 트릴로지의 신곡과 2007 Live Miracle에서 사용한 곡을, R-SIDE에는 Forte Escape의 리믹스와 인기곡들의 반주, 보컬 샘플 등을 수록했다.

이후 2020년 4월 14일에 DJMAX RESPECT V의 트릴로지 DLC와 함께 해당 OST가 리마스터링 버전으로 DLC로 출시되었다.


7.1. USB Profile Key[편집]


USB Profile Key는 복사 방지를 위해 개발되었다.
게임 실행을 위해서는 PC에 USB Profile Key를 연결한 다음 실행해야 정상적으로 게임을 할 수 있다.
USB는 보안 인증만 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 데이터[17]도 저장한다. 동글은 GrandDog동글을 사용한다.

프로듀서였던 Forte Escape는 이 USB Profile Key 때문에 단가가 높아졌다고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적이 있다.

이 보안 시스템이 당시 최신 기술은 아니었다. USB 토큰을 사용하는 보안 시스템은 과거에 나온 고가의 프로듀싱 프로그램들이 사용했던 것이며, 모두 크래킹당한 바가 있다.

2012년 2월 28일, 해커[18]에 의해 디제이맥스 트릴로지도 뚫린다. 하지만 3년이 지나 뒤늦게 크랙이 만들어졌기에 국산 패키지 게임으로선 이례적으로 선방했다고 평가받고 있다. 다만 트릴로지가 나온지 얼마 안된 2009년도에 누군가가 크랙에 성공했다는 글을 올린 적이 있었는데, 동일인인지는 알 수 없다.

이후 DJMAX RESPECT의 아이캐치에 이 USB 프로파일 키가 나온다. USB를 인증 키로 사용된 작품이므로 제작진에서 이를 상징적인 의미로 여기는 듯하다.


7.2. T-SIDE[편집]


T-SIDE / tempored & tributed
#곡명장르작곡자비고
01Over Your Dreamxxdbxx오프닝곡
02바람에게 부탁해 InterludeForte Escape
03바람의 기억RnB FantasyForte Escape
04Catch YouCute PopForte Escape
05StreetlightLight PopNauts
06My JealousyLounge 2Step3rd Coast
07NB GirlsPop RockNieN
08The OneHappy 2StepPaul Bazooka
09Mind ControlModern Hard RockNieN
10STOPBig Band House3rd Coast
11Talk! Talk!Happy Corexxdbxx
12VentilatorPsychedelic TranceCycle75
13Someday90's popNieN
14Mind Control (Long Ver.)Modern Hard RockNieN
15NB Girls (Long Ver.)Pop RockNieN
16STOP (Long Ver.)Big Band House3rd Coast
17My Jealousy (Original Ver.)Lounge3rd Coast이 곡의 오리지널 버전
18Hello Pinky (2007 Live miracle Part 2-1)HiFi PopNieNForte Escape가 편곡한 버전
19Memory of Beach (2007 Live miracle Part 2-2)Dance PopM2UForte Escape가 편곡한 버전
20Eternal Memory ~소녀의 꿈~ (2007 Live miracle Part 2-3)Fantasy PopM2UForte Escape가 편곡한 버전
21꿈속에서 본 것은Forte Escape엔딩곡


7.3. R-SIDE[편집]


개발과 관련된 다른 작업들이 산더미 처럼 쌓여있었기 때문에 좀더 시간을 두고 완성도 있게 마무리를 못한 게 좀 아쉽긴 하지만 비쥬얼에 얽매이지 않고 그동안 해보고 싶었던 장르나 스타일을 맘껏 해 볼 수 있었다는 즐거움이 있었던 거 같다.
리믹스 트랙과 함께 인기곡들의 MR과 오리지날 보컬 소스를 공개하여 유저들로 하여금 참여하는 OST를 표방했다는 면에서 나름 의미가 있었다. 특히 차후 리믹스 이벤트를 통해 당선된 작품들을 보면 디제이맥스 유저들도 충분히 숨은 인재들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Forte Escape, 개인 블로그 中 #


R-SIDE / reformed & your style
#곡명장르작곡자비고
BEATROTONIC COOL MIXES
01바람의 기억 (mellowtonic MIX)RnB FantasyForte EscapeForte Escape의 리믹스
02Let's Go Baby (ACID HOUSE MIX)Hip-Hop3rd CoastForte Escape의 리믹스
03Elastic Star (Funktronic reformation)Acid HouseForte EscapeForte Escape의 리믹스
04End of the Moonlight (Club techtrain MIX)Techno PopForte EscapeForte Escape의 리믹스
05Ya! Party! (DnB FREAKS)Candy PopForte EscapeForte Escape의 리믹스
06Stop (Vapor trail twisted MIX)Big Band House3rd CoastForte Escape의 리믹스
07One the Love (tropica pinacolada MIX)Beer Housexxdbxxxxdbxx의 리믹스[19]
08Yo! MAX (nevertheless stay forever MIX)R&BND LeeForte Escape의 리믹스
INSTRUMENTAL LEGENDARIES[20]
09바람에게 부탁해RnB FantasyForte Escape
10바람에게 부탁해 Live MixLive PopForte Escape
11Ladymade StarSpace Idol PopESTi
12End of the MoonlightTechno PopForte Escape2004년 버전
13NB POWERAniRockNieN
14Space of SoulSymphonic HouseM2U
15태권부리HAPPY CORExxdbxx[21]
VOCAL SPECIES[22][23]
16바람에게 부탁해RnB FantasyForte Escape
17End of the MoonlightTechno PopForte Escape
18Ladymade StarSpace Idol PopESTi
19Let's Go BabyHip-Hop3rd Coast


8. 발매 후 평가[편집]



8.1. 시스템[편집]


DJMAX 온라인에서는 거의 모든 곡에 이지, 노멀, 하드 세 패턴은 기본적으로 있었고 SC와 MX도 상당수 곡에 있었다. 이에 비해 DJMAX 포터블에서는 노멀 채보만 기본적으로 있고 하드나 MX는 곡에 따라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한 등 수록 패턴 수가 상당히 적었다.[24]

DJMAX 트릴로지는 온라인이 아닌 포터블의 설정을 따라서 각 곡에 노멀 채보 하나씩만 있고 하드, MX, SC는 곡에 따라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 물론 열악한 개발 환경에서 119곡 전곡에 4키, 5키, 6키, 7키, 8키 각각 노멀, 하드, MX, SC를 만들 수는 없었겠지만 DJMAX 온라인 시절 SC가 있었던 인기곡인 OblivionAstro Fight 등의 곡에 중레벨 채보 하나밖에 없는 건 온라인 유저로서는 아쉬운 부분이다.

포터블 시리즈와는 피버의 지속시간 개념이 다른데, 포터블 시리즈의 경우 한 번 피버를 발동하면 10초간 유지되며 지속시간이 줄어드는 경우는 브레이크를 낼 경우밖에 없는 데 비해 트릴로지의 경우 지속 시간이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노트를 처리할 때의 정확도에 반비례해 지속 시간 게이지가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25] 예를 들어 MAX 100%를 내면 지속 시간 게이지는 거의 줄지 않고 피버 충전 게이지가 늘어나지만, MAX 70%, MAX 40% 등 낮은 수치를 내면 충전 게이지는 전혀 늘지 않고 지속 시간만 푹푹 줄어든다. 특히 MAX 1%를 내면 지속 시간이 뭉텅 떨어져 버리고, BREAK를 내면 아예 반 이상 깎여 버린다.

또한, 피버가 높아질수록 배속이 빨라진다. 이동안은 배속 조정을 할 수 없다.

즉, 정확도를 안정적으로 높게 낼 수 있는 코어 유저들은 중간에 노트가 적게 떨어지는 구간이 있더라도 관계없이 풀피버를 낼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일반 유저들은 MAX 1% 한두 개만 나오면 바로 피버를 연결하지 못할 정도로 게이지가 떨어져 버리니 저레벨 곡들도 피버 X5를 한 번 보기도 힘든 지경이 되어 버린다. 또한 유저가 직접 피버 버튼을 눌러야 해서, 자동적으로 적용되는 피버 시스템에 비해 많은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네트워크 대전은 1:1만 가능하며 그 동안 나머지 사람들은 관전을 하며 수다를 떨어야 한다. 서로 친목을 다지라는 펜타비전 측의 배려가 아닐까 싶으나[26] 사람이 적어서 방마다 2~3명이 고작이다. 20개나 있는 채널 수가 무색해질 정도. 참고로 일본인들이 모여서 플레이하기도 하는데 일본어는 깨져서 볼 수 없다. 채팅의 욕 필터링이 극악인데, 바보, 망가, 로리타[27], 18, 19 등등의 수많은 금지단어들이 있다. 예를 들어 망가졌다를 입력하면 **졌다라고 표시된다, 심지어 빌리 헤링턴 마저도.. 이는 같은 펜타비전 제작 게임인 S4리그 역시 마찬가지다.

인타이어 컨트롤은 초보자들에게는 오히려 방해만 되는 시스템인데다가 오류도 많아서 이용자들의 불만이 많았다. 아래의 키 어시스트와 달리 이 시스템은 패치로 삭제된 적이 없었다.

키 어시스트는 초보자들 입장에서는 도움이 되는 편에 속했으나, 이것이 오작동해서 맞는 키를 눌러도 다른 것이 눌리는 등의 이상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28]가 자주 발생하곤 했다. 원래 이 시스템은 끌 수 없었으나, 이후 패치를 통해서 끌 수 있게 되었고, 그 결과 대부분의 유저들이 이것을 끄고 플레이하게 되었다. [29]


8.2. 업데이트[편집]


게임 내용 자체는 호평을 받았지만 버그가 많았다. 출시 당시 그 정체는 소프트맥스보다 심한 버그의 향연이었다. 심지어 일부 PC에서 발매 후 3일이 지나도록 실행이 되지 않는 현상이 지속되기도 했다. 후에 잦은 패치를 통해서 어느정도 수정되었으며 결국 1.17버전을 2주만에 이뤄버렸다.[30][31] 1.16 패치때 파일이 언팩되어서 패치되어 각종 해금 정보가 유출되었고 1.19 패치후엔 데이터 리셋시 각종 장비와 곡이 자동으로 해금되는 사태가 생겼다. 이 여파로 저렙 유저가 고렙 장비를 끼고 양민을 바르는 등 네트워크 대전 막장화가 급격히 진행되었다.

2009년 4월 27일에 1.23패치가 이루어졌으며, 대부분의 문제점이 보완되었다. 또한 피버 옵션 아이템에 대한 대대적인 하향조치가 이루어졌으며, 트릴로지 컨트롤러인 뮤즈온의 발매에 따라 키보드 인터페이스가 추가되었다. 그런데 게임 내에 뮤즈온 광고가 뜬다. 그리고 2009년 4월 27일 이후로 업데이트가 아예 끊겼다.


8.3. 업데이트 재개[편집]


2010년 5월 메트로 프로젝트의 수록곡 5개를 업데이트 한다는 소식이 올라오고 2010년 6월 4일, 업데이트 무기한 중단 후 402일만에 업데이트 되었다. 업데이트된 곡은 First Kiss, Sweet Shining Shooting Star, I want You, Fermion, 그리고 SON OF SUN.[32]

게임 엔진이 DMP2의 엔진을 개량한 엔진[33]이어서 메트로 프로젝트의 수록곡들을 추가한다는 말에 처음에는 반응이 좋지 않았으며[34] 실제로도 동영상에 스캔라인이 삽입되어 용량을 의도적으로 낮춘 버전을 사용했다. 기대감에는 못미치지만 대체적으로 수긍은 하고 있는 듯하다.

다만 First Kiss를 제외한 나머지곡들은 특정 조건을 만족시켜야 할 수 있어서 별도의 해금작업을 하지 않으면 엑스트라 스테이지 에서만 볼 수 있다.(4스테이지 정확도 평균 99% 이상을 찍어야만 꺼낼 수 있다는 얘기가 된다)

2010년 7월 15일, 펜타비전 공식 트위터에 다음 패치를 계획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펜타비전 공식 트위터에 올라온 글 그리고 8월 31일 2차 곡 패치와 시스템 패치가 되었는데, 배속 추가, 키 어시스트[35] ON/OFF 옵션을 넣었다. 이 패치에 대한 유저들의 반응은 매우 긍정적이었다. 하지만 업데이트된 수록곡 3곡의 해금조건 때문에 일부 부정적인 반응이 있었다.[36] 2011년 초 펜타비전 트위터에 따르면 '아직 몇번의 업데이트 계획이 남아있다'고 밝혔다.

그리고 업데이트 예정곡이 공개되었는데 Heart of Witch, Fate, Cypher Gate라고 한다. 그러나 음질이 좋지 않다는 얘기가 나오자, 5월 12일에 다시 패치되었다.

지금까지 패치를 통해 올라간 버전인 1.32버전을 기준으로 그간 발생했던 버그는 전부 해결되어서 더 이상 발생하지 않아 쾌적한 플레이가 가능하다.

2011년 5월 24일을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는 없다.

2008년 12월 출시된 이후 2년 5개월 동안 진행된 사후 관리는 적어도 출시 몇개월도 안돼서 제작진의 해체로 버림받은 DJMAX TECHNIKA TUNE이나 DJMAX RAY보다는 훨씬 낫는 평이 있다.

한 유저가 Xeronion의 트위터에 트릴로지를 스팀에 출시하면 어떻냐고 질문을 했는데, USB 때문에 고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8.4. 네트워크 서비스 종료[편집]


  • 2013년 12월 19일[38]
    • 아무런 공지도 없이[37] 네트워크 연결이 끊겼고 공식 홈페이지도 접속이 되질 않는다. 플래티넘 크루 서비스와 함께 서비스를 종료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비통함을 호소하는 블로그 글
    • 이 여파로 사용자는 설치 후 업데이트를 하기 위해서는 직접 패치 파일을 구해서 업데이트를 적용해야한다. 그리고 USB 프로파일키의 데이터가 오류났을때를 대비해 서버와 연계한 복구 시스템도 있었는데 이것 또한 지원이 끊겼다.
  • 2021년 11월 2일 기준으로 공식 홈페이지 접속 시 패치 파일을 제공하는 페이지가 표시된다. 네오위즈 공식이 아닌 개인이 도메인을 구매해서 관리하는 것이다.


9. 컨트롤러[편집]


뮤즈온이라는 전용 컨트롤러를 같이 판매했다. 리듬게임 컨트롤러 중에는 저렴한 가격이었으나 스크래치의 회전마찰력이 높은 편이고, 노래의 패턴들이 리듬게임 컨트롤러의 키 배치와 어색해서 인기는 없었다. EZ2ON REBOOT 당시 재 발매된 버전은 PS2 입력 포트를 지원했다.[39]

트릴로지의 뮤즈온과 이지투온의 뮤즈온에 할당된 키가 다른데, 겜맥 홈페이지의 고객센터에서 키변경 프로그램인 트리플 매퍼를 이용하면 키 설정을 바꿀 수 있다.


10. 버그[편집]


  • 피버 발동 시 배속이 5.0까지만 늘어난다. 게임 초기에는 최대 배속이 5.0이었지만, 업데이트 후 최대 배속이 늘어나면서 생긴 결과로 보인다.
  • Windows 10에서 전체화면이 안 되거나 수직동기화가 강제로 걸리는 경우가 있다. 해결법은 TR.exe 파일 속성에서 호환성 탭을 들어간 다음 '전체화면 최적화 사용 중지'에 체크해 주면 된다.[40]


11. 여담[편집]


당시 트릴로지에만 들어갈 예정이었던 JealousySTOP메트로 프로젝트 팀에서 가져가서 메트로 프로젝트와 트릴로지에 두 곡이 겹치게 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41][42] 같은 회사 안에서 얼마나 소통이 안 되었는지를 보여주는 부분이다. ponGlow와 Forte Escape 사이의 불화설이 터진 것이 이 때였다.[43]

프로듀서인 Forte Escape가 펜타비전에서 퇴사하고 트릴로지 관련 계획이 펜타비전 내에서 공중분해됨에 따라 사내에서는 흑역사가 되어 버린 것이나 다름없게 되어버렸다. 특히 열악한 제작환경 등이 알려지면서 안 그래도 당시 CE&BS나 테크니카 OST 사건 등으로 심하게 까이던 펜타비전은 더더욱 까였다.참고[44] 2010년 4월 27일 업데이트가 멈춘지 딱 1년 되는 날, 리듬게임 커뮤니티에서는 안타까움을 호소하는데 하필 그날 테크니카2 시그니쳐 콜렉션 발매가 발표된다. 게다가 ponGlow에 의하면 현재 담당 팀이 해체된 상태다. ponGlow에게 질문해도 자기 담당이 아니라는 말만 돌아올 뿐. 그래도 양심은 있었는지'남아 있는 사람들이 책임을 져야 한다'는 내용의 글을 블로그에 올렸다.[45]

2011년 2월 경 트릴로지의 재고가 동이 나, 새 패키지를 구하기가 힘들어졌다. 이때 옥션에 트릴로지 새 제품의 경매가 올라왔는데 원가를 훌쩍 넘긴 7만원에 낙찰되었다.#[46]

2011년 3월 말 기준으로 다시 재출고되었다.

2013년 11월 26일을 마지막으로 생산된 정품 패키지가 모두 팔렸다.[47]

2014년에 프로파일 USB와 설치디스크 DVD만 포함된 정품 벌크 세트가 어느정도 풀렸고, 연말 즈음에 이 마저도 모두 소진되었다.

2017년 4월에 정품 벌크 세트 물량이 다시 풀렸다.

DJMAX RESPECT가 나오기 전까지는 프리스타일 모드에서 999,999콤보를 초과할 수 있는 유일한 시리즈였다. 영상 다만 작품의 인지도나 주목도가 상대적으로 낮았기 때문에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다.

DJMAX 초기 개발진의 목표[48]를 2008년 당시의 DJMAX 게임 시스템을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구현해 낸 고집의 산물이라고 봐도 좋을 작품이다. ECS나 피버 시스템을 제외하면 본작과 게임 구조가 가장 닮아있는 DJMAX는 최초 작품인 DJMAX 온라인이다.

Aurora Borealis, Space of Soul, Yellowberry 등 BGA로 인한 리소스 사용량이 다른 곡들보다 많은 곡들은 일부 저사양 환경에서는 프레임 드롭이 발생한다.

온게임넷의 예능 프로그램 켠김에 왕까지 36회에 등장했다. 플레이어는 데프콘. 염따올라이즈 밴드도 와서 잠깐 하다 갔다. 당시 목표는 전곡 클리어였는데, 약 700곡을 다 깨고 가라는 것. 그러나 데프콘은 처음부터 폭사. 결국 데프콘과 옵저버의 협상으로 8key까지만 깨는 것으로 정했다. 2시간 만에 느린 음악에 강하다는 성향을 파악하고 미리듣기로 Oblivion을 골랐는데 배신당하기도 하는 등 각종 폭사 장면이 수없이 나왔다. 나중에는 둘이서 키를 나눠서 플레이하는데 시청자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웃음 요소 폭발. Seeker 플레이할 때는 표정이 압권이었다. 6key까지 다 깨고서 7key로 넘어가야 했는데, 200곡 이상 클리어를 못해서 7key가 해금이 안 됐다. 결국 6key 고레벨 곡 하나 깨고 가기로 최종 목표를 정하고, BlythE를 공략하지만 자리 바꿔도 폭사에 폭사에 폭사... 결국 8레벨 곡인 Sunset Rider를 클리어하는 데 성공, 11시간 39분만에 왕 아닌 것 같은 왕 깨고 귀가했다.

동전을 넣고 플레이하는 오락실용 소형 기체가 있었다. Windows XP를 사용하던 기체였으며 정식으로 승인받았던 기체인지는 알 수 없다.[49]

수직동기화(V-Sync)의 설정에 따라 키 입력 딜레이 차이가 있다. 수직동기화를 켜놓고 하는 사람이 수직동기화를 끄면 키 입력이 예상한 타이밍 보다 더 앞의 타이밍으로 인식 되어서 키감이 너무 가볍다고 느껴지며, 반대로 수직동기화를 꺼놓고 하는 사람이 수직동기화를 켜보면 키 입력이 예상한 타이밍 보다 더 뒤쪽의 타이밍으로 인식 되어서 키감이 너무 무겁다거나 반응속도가 느리다고 느껴진다. 일부 PC에서는 수직동기화를 껐을 때 키 입력이 씹히거나, 심한 인풋랙, 노트와 음악의 싱크가 어긋나는 현상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에는 수직동기화를 활성화해야 일정하고 정확한 출력이 가능하다.

이 게임의 처절한 비하인드 스토리를 당시 프로듀서였던 Forte Escape블로그(아카이브)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 마디로 프로듀서의 다재다능함을 역설적으로 가장 잘 드러낸 작품.

글 게시 후 펜타비전은 혹독한 비난에 시달려야 했고 기업 이미지에 큰 타격을 받게 된다. 이 경우 보통은 기업이 적극적인 대응을 하는데 펜타비전은 무대응으로 일관했다. 프로듀서가 펜타비전의 전신이자 1세대 개발사인 패밀리 프로덕션 때부터 10년 이상 함께 해온 원년 멤버인 점이 작용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사실 게시글도 일방적인 비방의 글이 아니며, 모든 책임은 결국 트릴로지 프로젝트 개발을 승인한 회사 측에 있기 때문에 펜타비전으로서는 대응할수록 상처만 남는다. 그러나 이런 무대응은 암묵적 동의로도 읽혀지므로 펜타비전은 그 후 부정적인 이미지를 끝까지 짊어지고 가야 했다.

DJMAX RESPECT 한정판으로 DJMAX 시리즈의 로고 뱃지를 주는데, 여기에 트릴로지 대신 탭소닉이 있어 공식적으로 흑역사 취급하는 것이 아니냐는 말이 있었다. 게다가 이 때문에 과거 Forte Escape의 발언과 맞물려 DJMAX RESPECT DLC에 트릴로지가 없을 가능성이 생겼다는 우려가 나온 적도 있었다.

이러한 논란은 8월 26일, DJMAX RESPECT U에서 DJMAX RESPECT의 디렉터인 BEXTER도 관련 논란 덕분에 첫 DLC로 트릴로지란 작품을 선택하게 되었다는 언급과 함께 9월 28일에 트릴로지 팩을 출시한다고 예정함에 따라 논란이 불식되었다.

2020년 정식 출시된 DJMAX RESPECT V에서 최적화 문제가 다수 발생하자 트릴로지가 재조명받기도 했다. 2008년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Windows 10 64비트에서도 실행이 잘 되는 놀라운 호환성을 보여준다. 참고로 트릴로지는 공식적으로 Windows Vista까지만 지원한다고 되어 있는데[50]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신 OS에서 잘만 돌아간다. 심지어 내장용 인텔 그래픽이 탑재된 사무용 노트북에도 끊김없이 부드러운 플레이가 가능하다. 이렇게 트릴로지가 호환성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것만 봐도 Forte Escape가 얼마나 정성을 들여가며 트릴로지를 개발했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51] 물론 지금에 와서는 ASIO 지원 및 폴링레이트 개편 등등 라이브 서비스를 통한 개편이 대부분 이뤄졌기에 옛날 얘기가 되었다는 의견도 있다.

2013년 12월 당시 22일동안 리듬게임 4개가 줄줄이 서비스를 종료했다. 트릴로지[52], 이지투온[53], 테크니카3[54], 알투비트[55]

같은 시기 ponGlow가 주도한 메트로 프로젝트와는 별개의 작품이다.


12. 스탭롤[편집]


총괄 프로듀서 Forte Escape
사운드 디렉터 Forte Escape
아트 디렉터 Panneh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3 22:10:19에 나무위키 DJMAX Trilogy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싱글 플레이는 서비스 종료와 관계 없이 플레이 가능하다.[2] 유료곡을 하고 싶은 사람은 유료곡 방을 따로 만들어야 했는데, 그러면 유료곡을 플레이할 수 있는 프리미엄 유저들하고만 플레이를 할 수 있었다. 같이 플레이할 수 있는 유저가 제한되는데 이러면 온라인 게임의 의미가 없다.[3] 가장 최신작인 DJMAX RESPECT V에서도 이 모델을 유지중인데, 싱글플레이의 비중을 높인데다 일부 조건에 한해 플레이가 가능하게 해서 이 당시보다는 부정적인 반응이 덜하다.[4] 1편과 2편을 합쳐 20만장 판매 달성. PSP의 복사방지가 매우 허술하고, 디맥이 PSP 필수 소프트 중 하나일 정도라고 불렸다는 것을 볼 때, 실제로 DJMAX Portable을 플레이해 본 사람은 훨씬 많을 듯.[5] PC플랫폼은 게임기보다 복사가 쉬운 환경이고 판매량도 저조하므로 수익이 나지 않는 점이 정리하기로 한 근거다. 실제로 트릴로지 판매량은 높지 않았고 복사방지를 위해 USB락을 추가하여 단가 문제로 수익은 더 떨어졌다.[6] 추후 업데이트로 추가될 예정으로 수록된 2곡이 있었으나, 어째서인지 데이터만 남은 채 업데이트는 되지 않았다. 현재는 플레이 불가하며, 이 두 곡을 빼면 플레이 가능한 곡의 개수는 119곡이다.[7] RAD Video Tools를 이용하여 bik 확장자의 동영상을 만들 수 있다고 한다. 이곳 참고.[8] 박자맞춰서 기어의 일부가 반짝거리는 효과. EZ2AC 기체의 상단 LED와 비슷한 것이다.[9] 일부 곡을 제외하고 보컬곡에는 환호성이 나오고 그 외에 곡에는 환호성이 나오지 않는다.[10] ×3일때 적당히 박수소리와 적당한 환호소리가 들린다면, ×5일땐 아주 떠나갈듯한 환호소리가 들려온다.[11] 코나미의 특허 중 "자동으로 연주되는 배경음에 맞춰서 플레이어가 조작을 한다"는 부분이 있는데, 수동으로 배경음을 연주하는 방식으로 특허를 회피했다.[12] 코나미의 특허 중 "노트와 키가 1:1로 대응한다"는 부분을 여러 키에 대응하게 만들어 특허를 회피했다.[13] 설정에서 BGA를 꺼놓은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M] A B C D E 원곡 1.189배[P2] A B C D E F DJMAX Portable 2 OST 수록[B] A B C D E [14] 해금 방법이 공개된 아이템들은 상술된 1.16 패치 때 실수로 공개된 것이다[15] 더 정확하게는 Free Mode에서 어떻게든 누적 콤보가 2011이 되도록 한 뒤에(즉, 첫 노래에서 2000을 찍고 그 다음 곡에서 11콤보만 추가해서 2011을 쌓은 뒤에) Break를 내도 된다. 절대 2011콤보를 넘어가면 안 된다는 점에 주의. Miles 4K HD에서 노피버로 맥스 콤보를 칠 시 정확히 1000콤보이니 참고.[16] 온라인 시절엔 없었던 BGA까지도 만들어져 수록되어 있다. 제작자는 Narin.[17] 점수, 해금정보 등[18] 이름이나 국적 등의 정보가 전부 알려져있지 않다. 많은 게이머들은 중국에서 나온 크랙으로 추정중이다.[19] 작곡가와의 친분으로 무료로 작업을 부탁할 수 있었다고 한다.[20] MR 버전[21] FE 본인이 일일이 들어가며 가사를 적었다고 한다(...).[22] MR 제거 버전[23] 리마스터 버전에는 수록되지 않았다.[24] 이는 다른 PSP 리듬게임인 팝픈뮤직 포터블과 비교해도 적은 것. 팝픈뮤직 포터블에는 거의 모든 곡에 최소 3개에서 최대 9개까지의 패턴이 있다.[25] 단, 이러한 점 덕분에 좋아진 점이 있다면 아무리 적은 노트수를 가진 곡이더라도 풀피버가 가능해졌다는 것.[26] 막판에 네트워크 모드를 급히 넣었다는 제작노트로 미루어볼때 6인 플레이를 검수하고 안정화할 시간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도 추측할 수 있다.[27] 웃긴건 도전 과제 중에 Oblivion을 100회 플레이하면 주는 Gothic Lolita Maniac 라는 게 있었다.[28] 특히 트릴 처리 시 자주 발생했다.[29] 그리고 이걸 유저들은 어나안(어 나 안눌렀는데) 라고 부른다고 한다.[30] 다만 이러한 상황은 뒤집어보면 펜타비전이 메트로 프로젝트에 비해 얼마나 이 게임에 대한 개발 관리를 개차반으로 했는지에 대한 반증이기도 하다.[31] 개발 과정에서 계획에 없던 스펙이 크게 늘어났지만 펜타비전은 스펙 확장을 막지 않으면서 개발 자원 한계를 이유로 추가 지원을 하지도 않았다. 상식적이라면 스펙 확장을 막거나 애초에 개발 계획을 거부하고 메트로 프로젝트만 전념해야 했다. 과정이야 어찌됐던 버그 양산은 결국 회사의 책임이다.[32] SON OF SUN 은 업뎃 초 아이캐치에 블루스크린이 뜨는 버그가 있었으나 몇분만에 패치로 수정이 되었다.[33] 당연히 BGA스크립티드 레이어 애니메이션 방식이다.[34] 메트로 프로젝트 곡은 전부 HD 해상도의 풀 모션 동영상을 BGA로 사용한다.[35] 노트가 떨어지는 라인과 다른 키를 눌러도 맞히게 해 주는 시스템. 하지만 고수들은 오히려 헷갈려했기 때문에 불편을 느끼고 있었다.[36] 게다가 업데이트 되었던 Remember 는 업뎃 초 엄청난 싱크 밀림 현상이 있었다.[37] 설명서에 따르면 서비스종료 30일전에 공지한다고 적혀있지만 네오위즈는 이를 지키지 않았다.[38] 게임 출시 5주년이 되기 딱 5일전이다.[39] PS2버전의 비트매니아를 플레이하는데 사용되었다.[40] 다른 게임들도 같은 방법으로 전체화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41] 그나마 Jealousy는 Forte Escape가 직접 편곡을 해서 My Jealousy로 만들었다. Jealousy는 거의 데모 버전 수준의 완성도였기 때문에 그것을 그대로 게임에 넣기는 힘들었다. 그런데 정말로 그대로 게임에 넣은 메트로 팀은 뭘까…….[42] 다만 원칙적으로 회사 안에서 만들어낸 작업물은 별도 계약이 없을 경우 어디까지나 회사 소유물이며, 완성도에 관계없이 필요에 따라 어떻게 쓰느냐는 회사가 결정한다.[43] ponGlow메트로 프로젝트를 계획할 때 PC플랫폼은 없었고, Forte Escape는 PC게임을 만들고 싶어했다. 상급자인 ponGlow가 계획에 없는 프로젝트 제안을 거절하자 Forte Escape는 펜타비전 대표를 직접 찾아가 승인을 받아낸다. 따라서 메트로 프로젝트의 개발자원이 분리되어 트릴로지를 개발했고 이는 메트로 프로젝트에 악영향을 미쳐서 그 결과... Ponlgow 입장에서는 자신이 진두지휘하는 메트로 프로젝트 개발에 구멍이 뚫린 셈이며 FE가 아무리 원년멤버라도 엄연히 ponGlow가 상급자인 만큼 월권을 저지른 셈이었기에 결코 좋게 볼 수 없었을듯.[44] 트릴로지 계획은 어디까지나 Forte Escape의 계획이었으므로 FE 퇴사 후 자연스럽게 백지화되었다. 제작환경도 FE가 초반 계획을 무시하고 무리하게 스펙을 늘린 것이 원인. 개발을 결정한 프로젝트에 추가 지원을 해주는 것이 옳지 않느냐는 주장도 있을 수 있으나, 대기업조차도 스펙 이외의 지원은 엄격하다. 펜타비전의 잘못은 추가 지원할 여력도 없으면서 스펙 확장 요구를 막지 못한 데 있다.[45] ponGlow는 실제로 트릴로지 개발을 승인하지 않았고 이후 개발에도 손을 대지 않았는데 유저한테 신나게 까였으니 다소 억울한 입장. 물론 본인 의도와 상관 없는 일이 벌어졌더라도 경영진으로서의 책임은 있다. [46] 참고로 해당 경매 종료 후 같은 판매자가 같은 물품을 또 올렸는데 그건 8만원에 낙찰되었다[47] 추정판매량 5만장 미만.[48] 사장되었던 EZ2DJ의 PC온라인게임화[49] 2011 ~ 2013년 경에 충남 아산시에서 확인함.[50] 다만 Windows Vitsa 지원이면 그 이후 OS는 딱히 잘 안돌 이유가 없긴 하다. 굳이 따지면 direct X 버전 호환성 문제뿐[51] EZ2ON REBOOT : R의 최적화 능력과도 어느 정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는 게, FE가 제작을 지휘한 EZ2DJ 시절 버전이 본체 사양 때문에 고생했던 EZ2DJ Platinum이었다. 어느 정도의 노하우는 가지고 있었던 셈.[52] 2013년 12월 19일 서비스 종료[53] 2013년 12월 30일 서비스 종료[54] 2013년 12월 31일 서비스 종료[55] 2014년 1월 10일 서비스 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