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남자의 철학 수다

덤프버전 : (♥ 0)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ducheolsu.jpg
1. 개요
2. 출연진
3. 방송 에피소드


블로그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팟빵



1. 개요[편집]


대한민국 비제도권에서 거의 유일한 철학 팟캐스트로, 줄여서 '두철수'라고 부른다. 인간의 생활상의 이해와 해부를 돕기 위해 주로 20세기와 21세기 철학자를 다루고 있다. 방송은 크게 3부로 나눠지며 1부엔 생애편을, 2부엔 철학자와 상식을 비판하는 주제가 있는 수다편을, 3부엔 철학자를 심도 있게 톺아보는 징후적 독해 심화편을 다룬다. '철학의 힘으로 강렬한 생의 긍정을 톺아보는 유쾌한 방송'으로 만들고, 가볍지만 공허하지 않게 세계와 인간의 심도까지 접근하려는 취지를 가지고 있다. 난해한 철학서에 대한 새롭고 명쾌한 해석을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이 철학을 일상에 붙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한다. 인문학의 부흥을 옹호하되, 자기계발 논리로 차용되는 유사 인문학 매판 자본은 철저히 비판한다.


2. 출연진[편집]


  • 메뚝씨 : 본명 김준산. 제도권 철학에 저항하는 인문학도
『교사 가르고 치다 2009』 출간
『철학 듣는 밤-1권 2016』 출간
『철학 듣는 밤-2권 2017』 출간
『감정계단 2017』 출간
『니체처럼 1220401224 2017』 출간
『니체처럼 2240400404 2018』 출간

  • 똥팔씨 : 본명 김형섭. 철학을 일상에 붙이고자 애쓰는 현직 교사, 애칭 일지매로 칭한다.


3. 방송 에피소드[편집]


두남자의 철학수다
#철학자방송기간비고
1~2(2부)에리히 프롬2016/04/05~2016/04/11
3~5(3부)프리드리히 니체2016/04/18~2016/04/27
6~8(3부)미하일 바흐찐2016/05/02~2016/05/09
9~11(3부)루이 알튀세르2016/05/16~2016/05/22
12~14(3부)미셸 푸코2016/05/30~2016/06/10
15~17(4부)조르주 바타유2016/06/16~2016/06/27
18~19(3부)가라타니 고진2016/07/07~2016/07/13
20~22(4부)기 드보르2016/07/18~2016/07/28
23~25(3부)클로드 레비스트로스2016/08/04~2016/08/11
26~28(3부)장 프랑수아 리오타르2016/08/18~2016/08/25
29~31(3부)이반 일리치2016/09/01~2016/09/08
32~34(3부)모리스 블랑쇼2016/09/22~2016/09/29
35~37(3부)가스통 바슐라르2016/10/06~2016/10/13
38~40(3부)자크 라캉2016/10/20~2016/10/27
번외(13부)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강독2016/06/07~2016/11/21제자들과 함께 하는 강독
41~43(3부)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2016/11/02~2016/11/10
44~46(3부)슬라보예 지젝2016/11/17~2016/11/24
47~49(3부)장 뤽 낭시2016/11/29~2016/12/08
50~52(3부)샹탈 무페 & 에르네스토 라클라우2016/12/13~2016/12/22
53~55(3부)에드워드 사이드2016/12/28~2017/01/05
56~58(3부)프란츠 파농2017/01/10~2017/01/19
59~61(3부)발터 벤야민2017/01/24~2017/02/02
62~64(3부)지그문트 바우만2017/02/14~2017/02/23
65~66(3부)자크 랑시에르2017/02/28~2017/03/11
67~69(3부)게오르그 루카치2017/03/19~2017/04/01
70~72(3부)모리스 메를로퐁티2017/04/09~2017/04/20
73~75(3부)테오도어 아도르노2017/04/26~2017/05/09
76~78(3부)자크 데리다2017/05/19~2017/06/02
79~81(3부)롤랑 바르트2017/06/09~2017/06/23
82~84(3부)막스 베버2017/06/30~2017/07/14
85~87(3부)장 폴 사르트르2017/07/23~2017/08/13
88~90(3부)장 보드리야르2017/08/20~2017/09/03
91~93(3부)피에르 부르디외2017/09/10~2017/09/24
94~96(3부)위르겐 하버마스2017/10/01~2017/10/16
97~99(3부)질 들뢰즈2017/10/30~2017/11/12
100~102(3부)에마뉘엘 레비나스2017/11/19~2017/12/03
103~105(3부)주디스 버틀러2017/12/10~2017/12/24
106~108(3부)안토니오 그람시2018/01/07~2018/01/21
109~111(3부)한스 게오르크 가다머2018/01/28~2018/02/11
112~114(3부)알랭 바디우2018/02/18~2018/03/04
115~117(3부)허버트 마르쿠제2018/03/11~2018/03/24
118~120(3부)버트런드 러셀2018/04/01~2018/04/15
121~124(4부)마르틴 하이데거2018/04/22~2018/05/20
125~128(4부)루쉰2018/05/27~2018/06/17
129~132(4부)로자 룩셈부르크2018/07/03~2018/07/31
133~135(3부)앙리 베르그송2018/08/07~2018/08/21
136~138(3부)한나 아렌트2018/08/28~2018/09/11
139~142(4부)폴 리쾨르2018/09/25~2018/10/16
143~145(3부)놈 촘스키2018/10/23~2018/11/13
146~148(3부)에릭 호퍼2018/11/20~2018/12/04
149~151(3부)칼 슈미트2018/12/14~2019/01/08
152~154(3부)칼 야스퍼스2019/01/15~2019/01/29
155~157(3부)르네 지라르2019/02/08~2019/02/19
158~166(8부)국민TV 공개강연2019/02/26~2019/04/30
158 (1부)두철수 루카치 《소설의 이론》 강독2018/10/23~2018/11/13
159 (1부)두철수 아도르노 《미니마 모랄리아》 강독2018/10/23~2018/11/13
167~169(3부)에밀 뒤르케임2019/05/07~2019/05/21
170~172(3부)알프레드 화이트헤드2019/06/04~2019/06/25
173~175(3부)게오르그 짐멜2019/07/09~2019/0/26
176~178(3부)빌헬름 딜타이2019/08/27~2019/09/10
179~181(3부)표트르 크로포트킨2019/09/24~2019/10/08
182~184(3부)존 듀이2019/10/22~2019/11/08
185~187(3부)앙드레 브르통2019/11/19~2019/12/03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7:32:20에 나무위키 두 남자의 철학 수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