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 제1선거구(대구)

덤프버전 : (♥ 0)

||
선거인 수70,394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대구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동구 일부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지저동, 동촌동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재우 (재선)




1. 개요[편집]


대구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대구 동구 갑 지역의 북부 지역인 신암동을 관할한다. 한국장학재단의 본사 건물이 이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동대구역 역사와 대구국제공항이 위치해 있는 대구의 교통의 요지 중 한 곳이다.

동구의 보수세가 대구 평균보다 낮긴 하나, 그 것은 안심지구대구신서혁신도시가 있는 동구 제4선거구 쪽 얘기고 이 곳은 오히려 원도심이라 보수세가 대구 평균보다도 높은 텃밭 지역이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동구 제1,2,4,5선거구
제2대노재헌
ta-hash-start=w-663234dbab46dd33830eb04df2e506d1[[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1]
오진필[2]
박철웅
ta-hash-start=w-03fe84f501d9eaaa0b7496941340ec88[[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3]
안원욱
무소속

[4]
동구 제1,2,3선거구
제3대조판상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1999년[5][6]
이곤2000년 6월 9일 ~ 2002년 6월 30일
이덕천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7]
정홍범[8]
동구 제1,2선거구
제4대이덕천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2002년 7월 1일 ~ 2005년 11월 2일[9][10][11]
정홍범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12][13]
동구 제1,3선거구
제5대이윤원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14]
정해용[15]
제6대이윤원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14]
정해용2010년 7월 1일 ~ 2014년 3월 3일[16][15]
제7대강신혁
ta-hash-start=w-9513f53d03692b9c77983d845290c91d[[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14]
윤석준[15]
동구 제1선거구
제8대김재우
ta-hash-start=w-a91e54caf4ae7dcf7a1f13640fa21079[[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17]
제9대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동구 제1선거구
신암1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덕일(金德鎰)14,1942위

ta-hash-start=w-091d584fced301b442654dd8c23b3fc9[[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45.25%낙선
2노재헌(盧在憲)17,1681위

ta-hash-start=w-11ee3b1e66e8ac33731d4c81a4aeabb3[[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54.74%당선
선거인 수53,720투표율
60.97%
투표 수32,758
무효표 수1,396

동구 제2선거구
신암2동, 신천1동, 신천2동, 신천3동, 신천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한영교(韓泳敎)5,7093위

ta-hash-start=w-aa4d2cc997ef93ea84cd37bebe087dd8[[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21.72%낙선
2오진필(吳進弼)9,6771위

ta-hash-start=w-b9784b41e878ae7875813e68f745cb65[[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36.82%당선
3박만권(朴晩權)9,0242위

무소속

34.34%낙선
4이상호(李相浩)1,8654위

무소속

7.09%낙선
선거인 수42,232투표율
64.77%
투표 수27,356
무효표 수1,081

동구 제4선거구
평광동, 불로봉무동, 도동, 지저동, 공산1동, 공산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철웅(朴哲雄)10,4841위

ta-hash-start=w-81524a9d27c1b374381e2985acb1a2bf[[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43.21%당선
2김정호(金定浩)3,2124위

무소속

13.23%낙선
3박윤희(朴允熙)6,6112위

무소속

27.25%낙선
4정홍범(鄭洪範)3,9533위
16.29%낙선
선거인 수36,670투표율
68.84%
투표 수25,245
무효표 수985

동구 제5선거구
입석동, 검사동, 방촌동, 둔산부동, 신평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홍대식(洪大植)8,3442위
36.08%낙선
2안원욱(安垣旭)8,6631위
37.46%당선
3전영청(全永靑)6,1183위
26.45%낙선
선거인 수37,511투표율
63.96%
투표 수23,963
무효표 수838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동구 제1선거구
신암1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효목1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판상(曺判相)15,4771위
53.97%당선
2박미원(朴美媛)2,6444위
9.22%낙선
3김한포(金漢浦)6,4942위
22.64%낙선
4노재헌(盧在憲)4,0573위
14.14%낙선
선거인 수64,820투표율
45.30%
투표 수29,368
무효표 수696

동구 제2선거구
신암2동, 신천1동, 신천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덕천(李德千)18,4011위
68.30%당선
3오진필(吳進弼)8,5382위
31.69%낙선
선거인 수55,518투표율
49.80%
투표 수27,649
무효표 수710

동구 제3선거구
평광동, 불로봉무동, 도동, 지저동, 입석동, 검사동, 공산1동, 공산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홍범(鄭洪範)13,5931위
58.65%당선
3김태호(金台鎬)8,5812위
41.34%낙선
선거인 수50,856투표율
47.02%
투표 수23,917
무효표 수743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동구 제1선거구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신천1·2동, 신천3동, 신천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덕천(李德千)24,6471위
65.55%당선
3이곤(李坤)11,1032위
29.53%낙선
4정열모(鄭烈模)1,8493위
4.91%낙선
선거인 수88,769투표율
43.75%
투표 수38,840
무효표 수1,241

동구 제2선거구
효목1동, 효목2동, 도평동, 불로봉무동, 지저동, 동촌동, 공산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정홍범(鄭洪範)-1위
-무투표 당선
선거인 수-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동구 제1선거구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오세호(吳世昊)6,9962위
26.09%낙선
2이윤원(李潤遠)19,8171위
73.90%당선
선거인 수55,811투표율
48.89%
투표 수27,290
무효표 수477

동구 제3선거구
도평동, 불로봉무동, 지저동, 동촌동, 방촌동, 공산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정해용(鄭海容)25,6671위
72.39%당선
6박실용(朴實龍)3,3712위
9.50%낙선
7신상국(申相國)3,1644위
8.92%낙선
8정홍범(鄭洪範)3,2543위
9.17%낙선
선거인 수72,748투표율
50.10%
투표 수36,451
무효표 수995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동구 제1선거구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윤원(李潤遠)11,3511위
45.70%당선
7오세호(吳世昊)9,2172위
37.11%낙선
8김영휘(金永輝)4,2683위
17.18%낙선
선거인 수54,208투표율
47.10%
투표 수25,534
무효표 수698

동구 제3선거구
도평동, 불로봉무동, 지저동, 동촌동, 방촌동, 공산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정해용(鄭海容)-1위
-무투표 당선
선거인 수-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동구 제1선거구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신혁(姜信赫)18,5281위
68.59%당선
4조종철(趙鍾哲)8,4832위
31.40%낙선
선거인 수53,453투표율
52.46%
투표 수28,046
무효표 수1,035

동구 제3선거구
도평동, 불로봉무동, 지저동, 동촌동, 방촌동, 공산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윤석준(尹碩晙)32,5631위
81.93%당선
3최일영(崔日榮)7,1822위
18.06%낙선
선거인 수75,069투표율
54.92%
투표 수41,231
무효표 수1,485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동구 제1선거구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지저동, 동촌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원재(金元載)12,0102위
30.78%낙선
2김재우(金宰佑)19,0681위
48.88%당선
3강신혁(姜信赫)7,9313위
20.33%낙선
선거인 수71,570투표율
56.15%
투표 수40,192
무효표 수1,183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동구 제1선거구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지저동, 동촌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김재우(金宰佑)-1위
-무투표 당선
선거인 수-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후보를 내지 못했다. 얼마 전 대선에서 대구경상북도보다도 윤석열 후보에게 더 높은 득표율을 안기는 압도적인 보수세를 보인데다 전국 단위로도 패했기에 반전 요소도 전혀 없는 상황이다. 특히 이 곳은 원도심 지역이기에 보수세가 특히 강한 지역이다.

국민의힘에서는 사실상 본선에 가까운 경선답게 많은 후보군이 몰렸고, 저번 선거에서 바른미래당 후보로 출마했던 강신혁 전 시의원, 김재우 시의원, 박대진 간의 3자경선이 치러졌으며, 김재우 후보가 승리하며 재선에 도전한다.

다른 정당은 물론 무소속 후보조차 아무도 출사표를 내지 않으며 국민의힘 김재우 후보의 무투표 당선이 확정되었다.


[1] 동구 제1선거구 (신암1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2] 동구 제2선거구 (신암2동, 신천1동, 신천2동, 신천3동, 신천4동)[3] 동구 제4선거구 (평광동, 불로봉무동, 도동, 지저동, 공산1동, 공산2동)[4] 동구 제5선거구 (입석동, 검사동, 방촌동, 둔산부동, 신평동)[5] 시의원직 상실.[6] 동구 제1선거구 (신암1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효목1동)[7] 동구 제2선거구 (신암2동, 신천1동, 신천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2동)[8] 동구 제3선거구 (평광동, 불로봉무동, 도동, 지저동, 입석동, 검사동, 공산1동, 공산2동)[9] 대구 유니버시아드 대회 광고사업자 선정과 관련한 수뢰 혐의로 재판받던 도중 사직.[10] 동구 제1선거구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신천1·2동, 신천3동, 신천4동)[11] 1998년 9월 1일에 신천1동과 신천2동이 신천1·2동으로 통합되었다.[12] 동구 제2선거구 (효목1동, 효목2동, 도평동, 불로봉무동, 지저동, 동촌동, 공산동)[13] 1998년 9월 1일에 도동과 평광동은 도평동으로, 검사동과 입사동은 동촌동으로, 공산1,2동은 공산동으로 통합되었다.[14] A B C 동구 제1선거구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15] A B C 동구 제3선거구 (도평동, 불로봉무동, 지저동, 동촌동, 방촌동, 공산동)[16] 6회 지선 동구청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17]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지저동, 동촌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