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3년 시즌에 대한 내용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2023년 문서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2023년번 문단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2023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 펼치기 · 접기 ]

모기업 관련 정보파일:닛폰햄 로고.svg 닛폰햄
일본시리즈 우승
★★★
1962 · 2006 · 2016
리그 우승
(7회)
1962 · 1981 · 2006 · 2007 · 2009 · 2012 · 2016
퍼시픽리그 전·후기 우승
(2회)
1981후기 · 1982후기
클라이맥스 시리즈2007 · 2008 · 2009 · 2011 · 2012 · 2014 · 2015 · 2016 · 2018
시즌별 요약2023
현역 선수 경력키요미야 코타로/선수 경력
경기장1군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 2군 카마가야 파이터즈 스타디움
과거 고라쿠엔 구장 · 메이지진구 야구장 · 도쿄 돔 · 삿포로 돔
지방 구장 스타루힌 구장(아사히카와) · 오비히로노모리 야구장(오비히로) · 쿠시로 시민구장(쿠시로) · 오션 스타디움(하코다테)
홈 중계 채널파일:가오라스포츠 로고.png
주요 인물감독 신조 츠요시 · 선수회장 마츠모토 고 · 주장 공석
구단 상세 정보역사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응원가 · 유니폼
틀 문서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 선수역대 감독영구 결번1라운드 지명 선수




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엠블럼.svg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엠블럼(유색배경).svg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1]
Hokkaido Nippon-Ham Fighters
北海道(ほっかいどう日本(にっぽんハムファイターズ
구단 법인명㈜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株式会社北海道日本ハムファイターズ)[2]
창단1945년 11월 6일(78주년)
연고지홋카이도 키타히로시마시
구단 연고지 변천도쿄도 (1946~2003)
홋카이도 (2004~)
구단명 변천세네터스 (1946)
도큐 플라이어즈 (1947, 1949~1953)
큐에이 플라이어즈 (1948)
토에이 플라이어즈 (1954~1972)
닛타쿠홈 플라이어즈 (1973)
닛폰햄 파이터즈 (1974~2003)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2004~)
홈 구장고라쿠엔 구장 (1948~1953, 1964~1987)
코마자와 구장 (1953~1961)
메이지진구 야구장 (1962~1963)
도쿄 돔 (1988~)[3]
삿포로 돔 (2004~2022)[4]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 (2023~)
2군 구장카마가야 파이터즈 스타디움 (1997~)
모기업닛폰햄
감독1 신조 츠요시 (新庄剛志)
킷 스폰서미즈노
워드마크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워드마크.svg
마스코트[5]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마스코트.svg
브리스키 더 베어[6] & 프렙 더 폭스 & 폴리 폴라리스 & 커비 더 베어
구단기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구단기.svg
구단 슬로건ファンは宝物(팬은 보물)
FANS ARE OUR TREASURE
역대
한국인 선수
장훈[7] (1959~1975)
백인천 (1962~1974)
주동식[8] (1972~1981)
정문언[9] (1981~1990)
김실[10] (1986~1993)
역대
한국계 선수
카네다 토메히로(김말홍)[11] (1969~1973)
카네이시 아키히토(김소인)[12] (1992~1997)
이와모토 츠토무[13] (1990~2005)
모리모토 히초리(이희철)[14] (1999~2010)
터멜 슬레지[15] (2008~2009, 2012)
역대
한국인 코치
장훈 (1973)[16]
홈 경기 중계 채널
(CS)
파일:가오라스포츠 로고.png
링크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심볼.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일본시리즈 우승 (3회)
1962, 2006, 2016
퍼시픽리그 우승 (7회)
1962, 1981, 2006, 2007, 2009, 2012, 2016
전, 후기 리그 우승 (2회)
1981 후기, 1982 후기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 (4회)
2007, 2009, 2012, 2016
플레이오프 우승 (2회)
1981, 2006
교류전 우승 (1회)
2007
아시아 시리즈 우승 (1회)
2006
포스트시즌 진출 (13회)

1. 개요
2. 구단 역사
3. 홈구장 -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
4. 유니폼
5. 응원가
6. 관중수 추이
7. 팀 컬러
7.1. 드래프트 지명 방식 : 상남자 스타일
7.2. 유쾌한 덕아웃 분위기
8. 이야깃거리
8.1. 라이벌리
9. 선수단
10. 역대 선수
11. 역대 감독
12. 영구 결번
13. 역대 성적
13.1. 단일리그 시대
13.2. 양대리그 분리 이후
1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프로야구단. 연고지는 홋카이도. 모기업은 일본의 식품회사인 닛폰햄이다.

팀 명칭인 파이터즈는 싸움꾼이란 뜻으로 1974년 닛폰햄이 구단을 매입할 당시 팬 공모로 새롭게 개칭한 이름이며, 팀을 줄여서 부를 때는 보통 ハム[17] 혹은 日ハム라 부른다.

한국에서는 닛폰일본을 강조하는 느낌이 강하다는 이유로 니혼햄이라고도 불린다. 하지만 영문표기(Nipponham)나 실제 발음(닛폰하무)에서 보다시피 잘못된 명칭이다.


2. 구단 역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역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홈구장 -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편집]


2003년 홋카이도로 연고이전 후 삿포로 돔을 제 1홈구장으로 사용했다가 2023년 신구장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로 이전했다. 건설 비용은 무려 600억엔.[18]

기존에 사용하던 홈구장인 삿포로 돔이 시 소유이기에 연간 26억엔을 삿포로시에 지불해야 했고, 경기 종료 때마다 트레이닝 기구를 일일이 치워야 하는 불편함까지 있었다. 게다가 인조잔디[19] 등 주요 시설 보수에 제약이 걸리는 까닭에 닛폰햄은 2016년부터 신구장 이전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계획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를 성공적으로 살려낸 사업총괄본부장 마에자와 켄이 주도했고, 닛폰햄과 기타 프로야구 팀 팬들로부터 폭넓은 지지를 얻었다. 2017년 10월 시점에서는 삿포로시키타히로시마시 두 곳으로 후보지가 좁혀졌으며, 두 시 모두 신구장 유치에 적극적이었다.

이후 키타히로시마시새 구장 건설을 공식 발표하였으며, 2020년에 착공, 2023년에 완공하였다. 공식PV 건설 도중에 온천이 터져서 온천시설을 같이 둘 계획이며, JR 홋카이도에서는 2027년에야 신구장 앞에 역을 만들 계획이라고 한다. 기사

2023년에는 신구장으로 옮기면서 신구장 이외의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20] 원래 도쿄 돔과 홋카이도 지역 곳곳에서 지방구장 경기를 치렀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다.


홋카이도 지방경기의 경우 주로 평일에 개최하며 2013년 조명탑을 설치한 아사히카와시에 있는 스타루힌 구장 이외의 곳은 야간경기가 불가능하다.[22] 한편 스타루힌 구장은 일본프로야구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야간경기 개최 구장으로 기록되었다.

이외에도 홈이 치바현에 있는 2군도 종종 홋카이도에서 2군 경기를 치른다. 보통 1군이 사용하는 구장은 가지 않고 몬베츠, 시베츠, 토마코마이, 네무로 등 1군 경기가 치러지기는 어려운 구장에서 경기를 한다.


4. 유니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유니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응원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응원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관중수 추이[편집]


연도총 관중일일 평균
삿포로 돔
2009년1,992,172명27,699명
2010년1,945,944명27,027명
2011년1,990,338명27,644명
2012년1,858,524명25,813명
2013년1,855,655명25,773명
2014년1,897,789명26,358명
2015년1,959,943명27,221명
2016년2,078,981명29,281명
2017년2,086,410명28,978명
2018년1,968,916명27,731명
2019년1,970,516명27,368명
2020년276,471명4,608명
2021년544,818명7,673명
2022년1,291,495명17,937명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
2023년1,882,046명26,508명


7. 팀 컬러[편집]


현재는 투타 모두 부진한 암흑기에 빠진 팀이지만, 과거는 시기에 따라 팀컬러가 나뉜다.

고라쿠엔, 진구, 도쿄 돔에서 셋방살이를 하던 시절에는 좁은 구장을 사용했기에 이 구장 조건에 맞게 전반적으로 타격이 강점인 팀이었다. 오오스기 카츠오, 장훈, 토미 크루즈,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나이젤 윌슨, 다무라 후지오 등등 수많은 강타자들이 이 팀의 역사를 수놓았다.

이랬던 팀 컬러는 2004년 홋카이도로 이전하며 투수 중심의 팀컬러로 바뀌게 되는데, 새로 옮긴 삿포로 돔이 홈런 테라스 설치 이전의 후쿠오카 돔이나 나고야 돔에 비견되는 넓은 외야와 높은 펜스를 가진데다가, 다목적 구장이라는 점 때문에 파울지역 또한 광활한 전형적인 투수 구장이었기 때문. 특히 넓은 외야 때문에 닛폰햄은 신조 츠요시, 모리모토 히초리, 이나바 아츠노리, 이토이 요시오, 양다이강 등 발이 빠르고 수비력이 좋은 외야수를 위주로 타선을 꾸렸고, 슈퍼 에이스 다르빗슈 유를 중심으로 다케다 마사루, 야기 토모야 등이 뒤를 받쳐주고 다케다 히사시, 마이클 나카무라, 마스이 히로토시 등의 불펜진이 걸어잠그는 단단한 투수진을 갖추어 기동력 좋은 중거리포들의 연속 안타와 도루로 점수를 뽑고 강력한 투수진과 철벽수비로 점수를 내주지 않는 야구를 했다.

200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 중반에는 타격 또한 좋아지며 10년 가까이 퍼시픽 리그의 강팀으로 군림했다. 2000년대 후반에는 단연코 독보적인 퍼시픽 리그 최강팀이었으며, 2010년대에는 소프트뱅크 호크스가 치고 올라왔음에도 파이터즈 역시 호크스와 항상 리그 우승을 놓고 다퉜다. 이 기간 동안에는 세대교체도 잘 되어 다르빗슈가 가니 오타니 쇼헤이가 오고 이나바가 가니 나카타 쇼가 오는 식으로 오랜 시간 강팀으로 군림했다.

그러나 2016년 오타니가 이끈 우승을 마지막 불꽃으로 암흑기에 빠져들었다. 잇따른 드래프트 1픽의 실패와 팜의 황폐화, 메이저 리그로 진출한 오타니와 아리하라, FA로 떠난 양다이강이나 레어드, 불미스러운 일로 방출된 나카타와 니시카와 등 유출되는 전력에 비해 세대 교체가 진행되지 않았고, 이 참에 리셋버튼 한번 누르자는 팀의 리빌딩 기조로 인해 노쇠화가 온 베테랑들을 대거 방출하며 경험이 부족한 어린 선수들로 팀을 운영하고 있다.

삿포로 이전 이후로는 넓은 투수구장 탓에 장타자 육성에 어려움을 겪는 팀이었으나, 2023년 상대적으로 좁은 편인 에스콘 필드로 이전 후 타자들이 단체로 잠재력이 만개하기 시작해 기존의 이토 히로미를 필두로 수준급의 투수진에 더해 만나미 츄세이, 노무라 유키, 키요미야 코타로 등 젊은 타자들이 잠재력을 뽐내고 있어 다시금 비상할 희망이 보이고 있다.

7.1. 드래프트 지명 방식 : 상남자 스타일[편집]


연고지 이전 이후에 참가한 신인 드래프트에서 뽑은 1라운더들이 대박을 치는 경우가 많다. 다르빗슈 유, 나카타 쇼, 손수건 왕자 사이토 유키, 아리하라 코헤이 등이 드래프트 1라운더들이다. 또한 메이저리그 스카우터들의 추파를 받았을 정도로 2012 시즌 일본 고교야구의 핫이슈였던 오타니 쇼헤이 역시 이 팀에 지명되어 입단했다.

이처럼 1라운더들이 다른 팀에 비해 대박을 치는 가장 큰 이유는 그해 아마야구 최고 선수로 평가받는 선수를 무조건 지명하기 때문이다. 대졸 최대어가 고졸 최대어보다 평가가 좋은 경우에는 대졸을 지명하기도 한다. 이상한 말로 들릴지 모르겠지만 이는 일본프로야구의 신인 드래프트 1차지명 방식 때문인데, 해당 선수가 2팀 이상의 지명을 받았을 경우 제비뽑기로 팀을 선정하지만 딱 한 팀만 그 선수를 지명했을 경우 무조건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원하는 선수를 제비뽑기를 통해 뽑았다고 해도, 넘어야 할 산이 있다.

일본에서는 특급선수들이 보통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선호하기에[23] 다른 구단에서 A선수를 지목했을때 해당 선수가 "x까 나 요미우리 아니면 안가!"를 선언하고 사회인야구로 가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대표적인 예가 요미우리에 가고 싶어서 2번이나 드래프트에서 지명을 거부한 초노 히사요시.[24] 이렇게 되면 구단들은 1픽을 그냥 날려버리기 때문에 선수가 드래프트 전에 선호하는 팀을 선언하면 다른 팀들은 해당 선수 지명을 피한다. 그러나 파이터즈는 그런거 다 필요없고 잘하면 무조건 "너 내꺼될 준비해!"라며 지명했다.[25] 그리고 최종적으로 지명한 선수들이 못 하더라도 중박은 쳐주는 편이다.

닛폰햄의 경우 일본 최북부의 홋카이도라는 연고지 위치[26]도 그렇고, 강팀이라는 이미지가 약해서 물을 먹는 경우도 있었지만 이런 소신있는 지명 방식 및 체계적인 육성시스템 덕에 1라운더 대박이 자주 나오는 것이기도 하다. 자세한 내용은 로또 전쟁: 일본의 신인지명 이야기라는 글을 참조.

2017년에 또 그렇게 지명했는데 무려 7구단이나 지명을 한 키요미야 코타로를 제비뽑기에 성공하면서 당당하게 데려왔다! 쿠리야마 감독이 추첨픽을 할 때마다 삽질을 해서 GM 보좌인 키다 마사오가 왼손으로[27] 뽑았는데 결과는 대성공.

그리고 2018년 드래프트에서도 당초 내야수 최대어인 네오 아키라를 뽑으려고 추첨에 지원했으나 네오는 추첨에서 승리한 주니치 드래곤즈로 갔는데, 어부지리로 고시엔 준우승팀 가나아시 농고의 에이스인 요시다 코세이를 데려왔다.[28]

드래프트 뿐만 아니라 선수 선방, 트레이드 면에서도 사건 사고를 일으키거나 워크에씩 면에서 평판이 나빴던 선수들을 과감히 데려와서 갱생시키는 사례가 많아[29] 아바시리 형무소 <북쪽의 갱생시설>로 불린다. 니오카 토모히로, 하쿠무라 아키히로[30]가 그 좋은 사례다. 그 덕에 선수가 사회면에 나오는 일이 별로 없고[31] 사이토 유키는 오히려 교통사고를 당한 시민의 목숨을 구해내 좋은 쪽으로 화제가 되었다.





다만 최근에는 키요미야 코타로, 요시다 코세이 등을 지명했는데 성장이 더디면서 드래프트 명가라는 명성의 빛이 바래고 있는 중이다. 더구나 그 해 최고의 선수를 뽑는다는 전략으로 1순위 지명에서 네오 아키라[41], 사사키 로키 등을 지명하면서 다른 구단과 경합했다가 추첨에서 패하면서 그 사이에 다른 쓸만한 선수들도 타구단에 뺏기고, 원래 보강이 필요한 포지션이 아닌 다른 포지션의 2티어급 선수들을 1순위로 지명하면서 처음에 구상했던 계획이 어그러지는 등 상남자 스타일 지명의 부정적인 측면이 두드러지는 중이다. FA 등 외부에서 전력을 보강할 생각이 없다면 아마추어 시절의 화제성만 쫓지 말고 히로시마처럼 면밀한 조사를 바탕으로 쓸만한 선수들 단독으로 낚는 틈새전략을 취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도 필요해 보인다. 결국 2020년 드래프트에서는 최대어인 하야카와 타카히사를 포기하고 연고지 출신이며 대졸 투수 중 2-3번째로 평가받던 이토 히로미 단독지명으로 선회했다. 그리고 이토는 첫 시즌부터 선발진에 합류하여 연이어 호투를 펼치며 성공적으로 데뷔했고, 2020 도쿄 올림픽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차출되어 우승에 기여하기도 했다.

여담으로 2023년 콘도 켄스케의 FA 보상 선수로 타나카 세이기를 데려오면서 졸지에 1순위 지명 선수를 데려오게 되었다. 당시 타나카를 놓치고 1순위로 데려온 선수가 2021년 퍼시픽 리그 최우수 중간 계투인 호리 미즈키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타나카에게 나름의 기대를 건 셈. 그리고 그 타나카는 마무리 투수로 47경기 25세이브를 기록하며 프로 첫 풀타임 시즌을 성공적으로 소화해냈다.

7.2. 유쾌한 덕아웃 분위기[편집]


파일:attachment/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1.jpg

파일:attachment/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2.jpg파일:attachment/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3.jpg

괴짜 야구선수로 유명한 신조 츠요시의 영향 때문인지 몰라도 비범한 장난들이 많은 편이다. 그러나 단순한 장난 이상으로 생각해야 할 것이, 홋카이도로 막 이전한 미미한 구단이 존재감을 확보할 수 있었던 데는 이러한 팬서비스가 크게 도움이 되었다. 똘끼의 주범인 신조가 프로야구계에서 팬서비스를 유달리 강조한 선수이기도 했고. 파이터즈 프랜차이즈 역대 모기업 중에 특촬물 제작기업이던 토에이 산하의 야구단이었다 보니 위의 사진처럼 특촬물과 연관지어서 장난치기도 했다.[42]

이후 신조가 닛폰햄 유니폼을 입고 은퇴하고 난 후 모리모토 히초리가 대를 이어가고 있다가 요코하마 베이스타즈로 이적했다. 모리모토 이후 묘한 정신 세계의 외야수 계보는 이토이 요시오가 이었지만, 이토이도 현재는 오릭스 버팔로즈를 찍고 한신 타이거스로 가버렸다.

2022년 신조가 감독으로 부임하며 팬들은 감독부터 선수까지 어떤 개그가 펼쳐질지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워크에씩을 중요시하는 신조의 방침에 따라 심한 개그는 치지 않는 편. 대신 부임 첫 해에는 신조 스스로 <빅 보스>라고 칭하며 시즌을 진행했다. 본인도 아니라고 생각했는지 1년만에 포기하고 자신의 실명으로 돌아와 웃음을 자아내기도.

7.3. 골든 글러브[편집]


팀은 1993년부터 2020년까지 단 한 해도 빼놓지 않고 매년 최소 1명씩 골든글러브 수상자를 배출했었다. 이는 퍼시픽 리그 최장기록. 특히 오가사와라 미치히로(5회 수상)가 거쳐갔고 나카타 쇼가 지켰던 1루수 부문은 무려 수상 16회. 그러나 2021시즌, 아무도 골든글러브를 수상하지 못했고,[43] 28년간의 전통은 과거의 이야기가 되었다.

8. 이야깃거리[편집]











8.1. 라이벌리[편집]






9. 선수단[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선수단#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역대 선수[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역대 선수#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홋카이도 시대에 이 팀을 대표했던 선수는 다름아닌 다르빗슈 유.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자주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한국인에게도 친숙한 선수다. 이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로 진출하여 텍사스 레인저스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시카고 컵스를 거쳐 현재는 김하성과 함께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소속이다.

또 한 명을 꼽자면 역시 10년만에 우승을 가져다 준 오타니 쇼헤이. 2015 WBSC 프리미어 12에서 어마어마한 구속과 함께 한국 대표팀을 완벽하게 틀어막아 한국인들에게 큰 인상을 남겼고,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 진출해 투타겸업을 완벽히 해내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우승의 주역이 되며 야구팬 뿐만 아닌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많은 인지도가 생겼다.

이외에 공수겸장 2루수 타나카 켄스케[45], 야쿠르트 스왈로즈에서 이적해온 강타자 이나바 아츠노리, 한국계 카네코 마코토모리모토 히초리, 팀의 수석코치를 역임한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등이 이 팀을 빛냈다.


11. 역대 감독[편집]


||
[ 펼치기 · 접기 ]

1945년~
초대
요코자와
파일:일본 국기.svg
(1946)
2대
가리타
파일:일본 국기.svg
(1947~1948)
3대
이노카와
파일:일본 국기.svg
(1949~1950)
4대
안도
파일:일본 국기.svg
(1951)
5대
이노카와
파일:일본 국기.svg
(1952~1954)
6대
야스이
파일:일본 국기.svg
(1955)
7대
이와모토
파일:일본 국기.svg
(1956~1960)
8대
미즈하라
파일:일본 국기.svg
(1961~1967)
9대
오시타
파일:일본 국기.svg
(1968)
10대
마츠키
파일:일본 국기.svg
(1969~1970)
11대
다미야
파일:일본 국기.svg
(1971~1973)
12대
도바시
파일:일본 국기.svg
(1973)
13대
나카니시
파일:일본 국기.svg
(1974~1975)
14대
오사와
파일:일본 국기.svg
(1976~1983)
15대
우에무라
파일:일본 국기.svg
(1984)
16대
다카다
파일:일본 국기.svg
(1985~1988)
17대
곤도
파일:일본 국기.svg
(1989~1991)
18대
도바시
파일:일본 국기.svg
(1992)
19대
오사와
파일:일본 국기.svg
(1993~1994)
20대
우에다
파일:일본 국기.svg
(1995~1999)
21대
오시마
파일:일본 국기.svg
(2000~2002)
22대
힐만
파일:미국 국기.svg
(2003~2007)
23대
나시다
파일:일본 국기.svg
(2008~2011)
24대
쿠리야마
파일:일본 국기.svg
(2012~2021)
25대
신조
파일:일본 국기.svg
(2022~ )






12. 영구 결번[편집]


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엠블럼(유색배경).svg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영구 결번
||
[ 펼치기 · 접기 ]

No. 100
오코소 요시노리





13. 역대 성적[편집]


­리그 우승[48]
­2위
­3위
B클래스


13.1. 단일리그 시대[편집]


연도정규시즌 순위최종순위팀이름경기수승률
19465위/8팀5위세네터스10547580.448
19476위/8팀6위도큐 플라이어즈11951653.440
19485위/8팀5위큐에이 플라이어즈140597011.457
19497위/8팀7위도큐 플라이어즈13864731.467

13.2. 양대리그 분리 이후[편집]


연도정규시즌 순위최종순위팀이름경기수승률포스트시즌
19506위/7팀6위도큐 플라이어즈12051690.425
19516위/7팀6위10238568.420
19526위/7팀6위10849590.454
19536위/7팀6위12050673.427
19547위/8팀7위토에이 플라이어즈14052862.377
19557위/8팀7위14351893.364
19566위/8팀6위15458924.390
19575위/7팀5위13256733.436
19585위/6팀5위13057703.450
19593위/6팀3위13567635.515
19605위/6팀5위13252782.400
19612위/6팀2위14083525.611
19621위/6팀우승13378523.600일본시리즈 (4-1-2 vs 한신)
19633위/6팀3위15076713.517
19643위/6팀3위15078684.534
19652위/6팀2위14076613.555
19663위/6팀3위13670606.539
19673위/6팀3위13465654.500
19686위/6팀6위13551795.392
19694위/6팀4위13057703.449
19705위/6팀5위13054706.436
19715위/6팀5위130447412373
19724위/6팀4위13063616.508
1973전기 5위/6팀
후기 3위/6팀
5위닛타쿠홈 플라이어즈13055696.444
1974전기 6위/6팀
후기 6위/6팀
6위닛폰햄 파이터즈13049756.395
1975전기 4위/6팀
후기 4위/6팀
6위130556312.466
1976전기 4위/6팀
후기 4위/6팀
5위130526711.437
1977전기 4위/6팀
후기 4위/6팀
5위130586111.487
1978전기 3위/6팀
후기 4위/6팀
3위130556312.466
1979전기 3위/6팀
후기 4위/6팀
3위13063607.512
1980전기 2위/6팀
후기 2위/6팀
3위130665311.555
1981전기 4위/6팀
후기 1위/6팀
우승13068548.557플레이오프 (3-1-1 vs 롯데)
일본시리즈 (2-4 vs 요미우리)
1982전기 4위/6팀
후기 1위/6팀
2위130675211.563플레이오프 (1-3 vs 세이부)
19833위/6팀3위13064597.520
19846위/6팀6위130447313.376
19855위/6팀5위130536512.449
19865위/6팀5위13057658.467
19873위/6팀3위13063607.512
19883위/6팀3위13062653.488
19895위/6팀5위13054733.425
19904위/6팀4위13066631.512
19914위/6팀4위13053725.424
19925위/6팀5위13054733.425
19932위/6팀2위13071527.577
19946위/6팀6위13046795.368
19954위/6팀4위13059683.465
19962위/6팀2위13068584.540
19974위/6팀4위13563711.470
19982위/6팀2위13567653.508
19995위/6팀5위13560732.451
20003위/6팀3위13569651.515
20016위/6팀6위14053843.387
20025위/6팀5위14061763.445
20035위/6팀5위14062744.456
20043위/6팀3위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13366652.504퍼스트 스테이지 (1-2 vs 세이부)
20055위/6팀5위13662713.466
20061위/6팀우승13682540.603세컨드 스테이지 (3-0 vs 소프트뱅크)
일본시리즈 (4-1 vs 주니치)
20071위/6팀우승14479605.568세컨드 스테이지 (3-2 vs 롯데)
일본시리즈 (1-4 vs 주니치)
20083위/6팀3위14473692.514퍼스트 스테이지 (2-0 vs 오릭스)
세컨드 스테이지 (2-4 vs 세이부)
20091위/6팀우승14482602.578세컨드 스테이지 (4-1 vs 라쿠텐)
일본시리즈 (2-4 vs 요미우리)
20104위/6팀4위14474673.525
20112위/6팀2위14472657.526퍼스트 스테이지 (0-2 vs 세이부)
20121위/6팀우승144745911.556파이널 스테이지 (4-0 vs 소프트뱅크)
일본시리즈 (2-4 vs 요미우리)
20136위/6팀6위14464782.451
20143위/6팀3위14473683.518퍼스트 스테이지 (2-1 vs 오릭스)
파이널 스테이지 (3-4 vs 소프트뱅크)
20152위/6팀2위14379622.560퍼스트 스테이지 (1-2 vs 롯데)
20161위/6팀우승14387533.621파이널 스테이지 (4-2 vs 소프트뱅크)
일본시리즈 (4-2 vs 히로시마)
20175위/6팀5위14360830.420
20183위/6팀3위14374663.529퍼스트 스테이지(1-2 vs 소프트뱅크)
20195위/6팀5위14365735.471
20205위/6팀5위12053625.461
20215위/6팀5위143556820.447
20226위/6팀6위14359813.421
20236위/6팀6위14360821.423
NPB 통산 78시즌리그우승 7회1045748275247383.479일본시리즈 우승 3회


14. 둘러보기[편집]


||


닛폰햄 산하 스포츠단
파일:세레소 오사카 엠블럼.svg세레소 오사카
(J리그)
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엠블럼.svg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엠블럼(유색배경).svg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일본프로야구)

[1] 국립국어원 용례에서는 '닛폰 햄 파이터스'로 표기한다.[2] 현재의 구단 법인은 2003년 8월 설립되었고, 2004년 연초에 기존의 구단 법인인 닛폰햄구단㈜(日本ハム球団株式会社)으로부터 프로야구단 사업 일체를 넘겨받았다. 참고로 현재 구단 법인은 닛폰햄㈜이 필두주주로써 홋카이도 소재의 주요기업들이 출자한 상태이며, 이전의 구단 법인은 닛폰햄㈜이 100% 지분을 보유한 완전자회사 형태로 존재하였다가 프로야구단 사업 일체를 2004년 연초에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에 양도한 후 같은 해 6월에 특별청산 형태로 법인이 청산되었다.[3] 2004년 홋카이도로 연고이전 후 오리지널(그러니까 도쿄 시절의) 파이터즈 팬들을 위해 2004년부터 매년 정기적으로 파이터즈 홈경기를 개최하고 있다. 다만 2023년의 경우 홈구장에서만 개최하기로 발표했다.[4] J리그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와 공용[5] 도쿄 연고 시절에는 야구배트를 든 기사 모양의 로고 마스코트#태양을 모티브로 한 교로탄, 익룡을 모티브로 한 파이티를 사용했으나 홋카이도 연고 이전 후 홋카이도 토착종인 곰과 다람쥐를 모티브로 새로 마스코트를 만들었다.[6] 본명보다 이니셜인 BB로 더 자주 불린다.[7] 일본식 이름은 하리모토 이사오(張本 勳). 재일교포. NPB 역대 최다 기록인 3085안타 기록 보유자. 이외에도 여러 기록을 가지고 있다. 현재까지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있다.[8] 일본식 이름은 우다 토쇼쿠(宇田東植). 재일교포.[9] 일본식 이름은 사토 후미히코(佐藤文彦). 재일교포.[10] 일본식 이름은 타나카 미노루(田中 実). 재일교포.[11] (金田留広). 재일교포 출신의 한국계 일본인. 카네다 마사이치(김경홍)의 친동생.[12] (金石 昭人). 재일교포 출신의 한국계 일본인. 카네다 마사이치(김경홍)의 조카.[13] (岩本 勉). 한국계 일본인.[14] (森本 稀哲). 재일교포 출신의 한국계 일본인.[15] (Turrmel Sledge). 한국계 미국인.[16] 플레잉코치[17] 인터넷에서는 야민정음 식으로 으로 줄여부르기도 한다.[18] 과거 1988년 당시 도쿄돔 건설 비용이 350억엔이었다.[19] 특히 인조잔디의 경우 12구단 중 최악으로 다른 돔구장이 다 쓰는 필드터프가 구장구조로 인해 사용이 불가능하다. 콘사도레는 천연잔디 쓰는데 미칠 노릇. 2016년에 선수회에서 삿포로돔 측에 직접 건의해서 잔디 좀 바꿔달라고 했다.[20] 비용 및 새 구장 적응 문제로 보인다. 2024년 이후에도 이럴지는 미정. 도쿄돔 경기를 매년 4-9경기씩 치러왔고, 홋카이도 도민들을 위해 지방경기를 많이 편성하기 때문에 원상복귀할 가능성이 높다.[21] 시즈오카시 인근에 닛폰햄 공장이 있어 직원 복지 차원에서 개최한다.[22] 덕분에 평일 1시에 경기가 치러지고, 일몰 콜드가 일어나기도 한다.[23] 그러나 2010년대 들어 OB 등의 간섭, 시스템상 문제로 유망주가 크지 못하는 요미우리 2, 3군 육성시스템의 악명이 높아지면서 전보다는 신인 선수들의 선호도가 떨어지는 편. 오죽하면 오카모토 카즈마가 2018년 포텐이 폭발할 때 팬들도 놀랐다.[24] 그러나 초노는 2019년 1월 7일부로 히로시마 도요 카프마루 요시히로의 FA 보상선수로 가게 되어서 오히려 닛폰햄을 비롯한 타팀 팬들이 당황하였다.[25] 롯데는 닛폰햄 전략을 따라하여 쵸노를 강행지명했다가 결국 바비 발렌타인이 감독 자리에서 물러났다. 단 롯데는 쵸노 전에도 오미네 유타처럼 타팀 입단을 희망했던 선수의 강행지명 사례가 있었고, 1991년 코이케 히데오 강행지명 사태 등으로 인해 가네다 마사이치 감독이 해임된 사건이 있었다.[26] 다만 선수육성을 위한 2군 구장은 나리타 국제공항 근처 치바현 카마가야시에 있으며, 2군 홈구장에도 대형 컬러 LED 전광판을 설치하는 등 볼파크화에 공을 많이 들이고 있다. 홋카이도는 가을부터 기후가 쌀쌀해지기 시작해 2군 구장을 세우기가 어려운 편이고, 메이저리그의 북부지구 팀들도 그래서 마이너리그 산하팀을 따뜻한 곳에 둔다.[27] 이 때 아카시야 산마가 왼손으로 뽑으라고 조언했다.[28] 요시다는 2018년 고시엔대회에서 지역예선부터 전국대회 준결승까지 10연속 완투승을 거뒀으나, 혹사의 여파로 결승전에서는 오사카 토인 고교를 맞아 5이닝 12실점 끝에 강판되었고, 원래부터 전국구로 주목받던 선수는 아녔기 때문에(혹사 때문에 지명하지 않은 것 아니냐는 말도 있으나 전반적인 일본 현지의 평은 혹사랑 상관없이 고졸 최대어 수준의 선수는 아니라는 평가가 중론이었다. 좀 완고하고 거만한 일본 고교야구 팬들은 요시다가 혹사 때문에 지명받지 못했다고 하면 다짜고짜 야알못 취급할 정도다.) 아무도 먼저 지명하는 구단이 없었다. 드래프트 전 제 12회 U-18 BFA 야구선수권대회에서도 물빠따의 여파로 두산 베어스에 지명된 김대한에게 쓰리런을 맞은 뒤 득점지원을 1점만 받은 채 그대로 패전투수가 되었다.[29] 삿포로는 계획도시로 도시구조가 미국 대도시와 비슷해 의외로 삿포로역, 스스키노를 제외하면 유흥가도 없는 편이다.[30] 2013년 드래프트 6위 지명으로 입단한 투수. 입단 이전에는 명문 케이오 대학 야구부 주장으로, 실력은 있는데 잦은 규칙위반을 해 근신처분 받을 정도로 행실이 불량해서 팀 메이트 사이에서도 문제아 취급 받았지만 입단 이후로는 이전의 행실불량의 모습과는 180도 달라진 모습을 보여줬다. 그러나 2015년을 빼면 투수로서 좋은 모습을 보인 적이 없었고, 2019년 감독과 GM의 권고를 받아들여 외야수로 전향했지만 그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해 2020년을 마지막으로 은퇴하고 금융회사에 취직했다.[31] 그러나 전직 선수이자 2군 매니저였던 미야모토 켄이 2013년 강간치상혐의로 사회면에 나오는 사건이 발생하였고, 2021년 나카타 쇼가 이구치 카즈토모를 폭행하면서 근신처분을 받고 쫓겨나듯 요미우리 자이언츠로 무상트레이드되는 일마저 터졌다.[32] 당시 교진의 스가노 지명이 8번째 순서로 발표되었다. 그런데 바로 뒷 순서인 닛폰햄에서 지명으로 스가노라는 이름이 나온 것. 교진 제외 11구단 팬들의 박수가 쏟아져 나왔다. 닛폰햄이 제비뽑기까지 승리하자 현장은 교진을 제외하고는 축제 분위기였다.[33] 정확히 말하면 1년 놀았다. 쉬는 동안 연습경기 2번 등판한 게 전부였다고 한다.[34] FA가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데, FA가 되면 이미 전성기가 지난 32세다.[35] 이시카와는 요미우리의 외야 뎁스가 12구단 중 가장 두터워 오히려 트레이드가 독이 된 케이스였고, 결국 2023년 롯데로 갔다.[36] 조금 더 설명하자면, 전년도 우승팀인 라쿠텐은 제비뽑기에 성공해 최대어를 가져갔다. KBO로 말하자면 2007 신인 지명에서 2006 시즌 우승팀 삼성이 양현종을 지명하고, 꼴지팀 기아가 백정현을 지명하게 된 셈. 참고로 이때 라쿠텐이 데려간 최대어가 마츠이 유키.[37] 여담으로 2픽에서 요코하마에게 밀려 빼앗긴 카키타 유타는 1군 기록 없이 입단 4년만에 방출당하면서 최악의 망픽으로 전락했고, 3픽에서 빼앗긴 카지야 렌은 소프트뱅크에 입단하여 입단 4년차인 2018년에 중간계투로 31홀드를 거두며 터졌다.[38] 2004년 9월에는 담배를 피우는 모습이 걸리는 바람에 일본고교야구연맹으로 부터 엄중경고를 받기도 했고, 도박(빠칭코)중독자이기도 했다.[39] 당시 닛폰햄의 지명자 발표는 마지막 순서였다. 바로 앞인 11번째 순서가 요미우리 자이언츠였고, 이들이 2년 연속 스가노 도모유키를 부른 직후에 나온 오타니 지명이었다.[40] 이 때 닛폰햄이 협상과정에서 오타니를 설득하기 위해 만든 보고서는 지금까지도 일본의 스포츠구단 운영 및 마케팅에서 모범적인 자료로 쓰이고 있다.[41] 다만, 네오 아키라는 포지션 변경이 너무 잦은 탓에 타츠나미 카즈요시와 주니치 프런트가 믿음을 주지 못하고 있다.[42] 사실 따지고 보면 큰 연관이 있다고 하기는 어렵다. 토에이가 마지막으로 팀을 운영했던 1972년은 가면라이더 시리즈가 시작한 지 1년이 막 지난 시점이었고 슈퍼전대 시리즈메탈히어로 시리즈는 아직 나오지도 않았다. 재밌게도 위의 탈의 모티브인 비밀전대 고레인저의 최종보스인 흑십자총통을 맡았던 배우 야나 노부오 옹은 원래 그 야구단(토에이 플레이어즈 시절)의 투수 출신 배우다.[43] 사실 이 해에 팀 실책 1위를 찍을 정도로 수비 상태가 매우 부실했다.[44] 키츠네 댄스 그 후가 더 압권인데 The Fox가 엔카 가수 야마우치 게이스케의 곡인 恋する街角랑 리믹스 되어 당시 일부 한국 사람들이 충격 아닌 충격을 먹기도 했다(..)[45]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텍사스 레인저스를 거쳐 2015년 닛폰햄 복귀.[46] 일본시리즈에선 작년에 4승1패로 박살낸 주니치 드래곤즈에게 똑같은 전적으로 박살나면서 주니치의 53년 만의 일본시리즈 V2를 허용했다. 심지어 패배가 결정된 5차전은 합작 노히트 노런까지 당했다.[47] 원래 시구를 할 예정이었으나 시포 예정인 쿠리야마 히데키 감독에게 시구를 양보하고 본인이 포수 마스크를 썼다.[48] 볼드체는 일본시리즈 우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9:32:50에 나무위키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