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위브 더제니스

덤프버전 : (♥ 1)







파일:두산위브 더제니스 로고.svg






1. 개요[편집]


파일:attachment/LJI_8327_copy.jpg
해운대 두산위브 더제니스[1]

두산위브 더 제니스(We've The Zenith)두산건설에서 사용하는 초고층 고급 아파트 브랜드이다.

고급화 단지에는 기존 두산위브(We've) 브랜드에 천정, 정점 등의 뜻이 있는 단어인 Zenith를 덧붙여 '두산위브 더 제니스'(We've The Zenith)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2. 상세[편집]


파일:범어동 제니스.png
파일:범일 두산위브더제니스하버시티 점등식.jpg
파일:더제니스 센트럴 여의.jpg
파일:문수로 제니스.jpg
각 지역의 두산위브 더제니스

2005년 대구의 범어동 두산위브 더제니스를 시작으로 2006년 청주 사직동, 2007년 포항, 2008년 해운대 마린시티, 2009년 일산 등에 더 제니스 브랜드를 적용시켰다. 대표적으로 부산광역시해운대 두산위브 더제니스, 대구광역시범어동 두산위브 더제니스, 경기도 고양시일산 두산위브 더 제니스 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해당 지역에서 최상급의 퀄리티를 자랑하는 대표 아파트로 자리매김하여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데 크게 일조하였다.[2][3]

특히 해운대 두산위브 더 제니스는 완공당시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이자 가장 높은 주거용 건축물이라는 각종 타이틀을 거머쥐며 고급 아파트 브랜드라는 이미지를 확실히 각인시켰다.

다만, 최근 들어서는 초고층 아파트나 주상복합이 아닌 일반 아파트에도 더 제니스 브랜드를 사용하고 있다. 후술하겠지만 두산건설의 재정이 악화된 후 더 제니스 브랜드를 남발하며 고급 아파트의 설계 및 구성이라고 보기 어려운 일반적인 신축 재개발 단지들에도 더 제니스 브랜드를 달아주며 브랜드 가치를 떨어뜨렸다는 평가가 있다.

여담으로 두산건설의 특징아닌 특징 중 하나가 입지가 좋지 않은곳에 아파트를 짓는 경우가 제법 있다는 것인데 대표적으로 일산 두산위브 더제니스는 2013년에 입주를 시작했음에도 2021년이 되어서야 일반세대 분양이 겨우 완료되었으며 상가는 아직까지도 공실이 있을만큼 분양률이 저조하였고 이로인해 두산건설이 막대한 손해를 떠안게되었다.[4][5] 추가적으로 일산 두산위브 더제니스의 미분양 세대를 처리하고자 일정기간동안 살아보고 마음에 들면 계약하여 입주하게끔 하는 방식을 채택하기도 하였다.


3. BI/전용색상[편집]


두산위브 더제니스 BI
(2005~)
파일:두산위브 더제니스 로고.svg

PANTONE 448 C
PANTONE 130 2X C


4. 지역별 단지 현황[편집]


두산위브 트레지움, 두산위브 포세이돈 브랜드의 경우 두산위브 문서를 참조할 것.


4.1. 서울특별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청계천 두산위브 더제니스[두산에너빌리티]서울특별시 중구 흥인동627세대2014년 12월


4.2. 부산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해운대 두산위브 더제니스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1,788세대2011년 12월
해운대 동백 두산위브 더제니스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385세대2019년 2월
두산위브 더제니스 하버시티[6]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2,385세대2023년 5월
두산위브 더제니스 센트럴 사하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동1,643세대2024년 9월 (예정)
두산위브 더제니스 센트럴 양정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244세대2024년 11월 (예정)
두산위브 더제니스 오션시티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3,048세대2026년 1월 (예정)


4.3. 대구광역시[편집]




4.4. 인천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두산위브더제니스 센트럴 여의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숭의동1,115세대2025년 6월 (예정)
두산위브 더제니스 센트럴 계양[7]인천광역시 계양구 작전동1,370세대2027년 5월 (예정)


4.5. 광주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금남로 중흥S-클래스&두산위브더제니스[8]광주광역시 북구 임동2,240세대2024년 2월 (예정)


4.6. 울산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신정동 두산위브 더제니스울산광역시 남구 신정동278세대2010년 1월
울산 문수로 두산위브 더제니스355세대2022년 4월


4.7. 경기도[편집]



4.7.1. 고양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일산 두산위브 더제니스고양시 일산서구 탄현동2,700세대2013년 4월


4.7.2. 용인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용인 동백 두산위브 더제니스용인시 기흥구 동백동1,187세대2021년 6월
동백 호수공원 두산위브 더제니스[지역주택조합]378세대2025년 7월 (예정)


4.8. 강원특별자치도[편집]



4.8.1. 원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두산위브 더제니스 센트럴 원주[9]원주시 원동1,167세대2026년 3월 (예정)


4.8.2. 강릉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포남주공1단지 재건축강릉시 포남동821세대미정


4.9. 충청북도[편집]



4.9.1. 청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사직 두산위브 더제니스청주시 서원구 사직동576세대2009년 7월


4.10. 경상북도[편집]



4.10.1. 포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포항 두산위브 더 제니스포항시 장성동1,713세대2010년 12월


4.10.2. 경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황성 두산위브 더제니스경주시 황성동801세대미정


4.11. 경상남도[편집]



4.11.1. 김해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김해 센텀 두산위브 더제니스김해시 주촌면3,435세대2019년 3월
김해 주촌 두산위브 더제니스김해시 주촌면851세대2019년 11월


4.11.2. 양산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두산위브 더제니스 양산 1차양산시 상북면1,368세대2024년 5월
두산위브 더제니스 양산 2차1,155세대미정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두산위브 문서의 r81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두산위브 문서의 r81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8:58:31에 나무위키 두산위브 더제니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두산위브 홈페이지 메인화면에 자리잡고 있는 건축물이다. '제니스'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축물이기도 하다.[2] 마린시티 포세이돈과 범일동 포세이돈의 경우 고층, 고급화 주상복합 아파트임에도 '포세이돈'이라는 단어가 붙었다.[3] 사실 두산건설 자체의 브랜드 베리에이션이 넓다. 대표적으로 부산에서만 적용된 '포세이돈', 오피스텔 브랜드인 '파빌리온', '센티움', 일반 브랜드인 '트레지움', '알프하임' 등 다양하다.[4] 단순히 손해를 본 것이 아니다. 회사가 휘청할 정도였으니 말 다한 셈.[5] 게다가 2008년 세계적인 경제 불황이 겹치면서 용인 행정타운 두산위브의 경우 95%가 미분양이 되는 사태가 겹치면서 더더욱 회사가 어려워졌다.[두산에너빌리티] [6] 좌천·범일구역 통합3지구 도시환경정비사업[7] 작전현대아파트구역 재개발 / 쌍용건설과 공동 시공 [8] 임동(유동) 도시환경정비사업 / 중흥토건과 공동 시공[지역주택조합] [9] 원동남산지구 재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