댈러스 퓨얼/2019 시즌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댈러스 퓨얼 2019 시즌 스테이지
스테이지 1스테이지 2스테이지 3스테이지 4

댈러스 퓨얼 2019 시즌 팀 순위
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순위승-패승패마진세트 득실
1510-18-8-27
최다 연승3승
최다 연패6패


1. 개요
2. 리그 변동 사항
3. 오프 시즌
3.1. 개요
3.2. 영입
3.3. 방출
4. 시즌 로스터
5. 시즌 성적
5.1. 커뮤니티 카운트다운
5.2. 스테이지 1
5.3. 스테이지 2
5.4. 스테이지 3
5.5. 스테이지 4
6. 시즌 내 변동
6.1. 선수
6.2. 코치 및 운영진
6.3. 게임 업데이트 적용
7. 전적
7.1. 팀별 상대 전적
7.2. 전장별 전적
7.3. 요일별 전적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댈러스 퓨얼 2019 시즌 로스터

댈러스 퓨얼의 2019 시즌에 대해 서술한 문서


2. 리그 변동 사항[편집]


  • 기존 12개 팀에서 신규 8개 팀이 추가되어 총 20개팀이 참여한다.
    • 파리, 애틀랜타, 토론토, 워싱턴 DC가 대서양 디비전, 광저우, 항저우, 청두, 밴쿠버가 태평양 디비전에 참가하는 것으로 확정되었다.
    • 디비전의 수가 크게 늘어나며 대진표 내용이 크게 개편되었다. 각 팀은 정규 시즌 중 동일 디비전의 9팀과는 2회, 타 디비전의 10팀과는 1회 경기를 치르게 된다. 이에 의해 스테이지별 대진표의 차이가 거의 나지 않았던 출범 시즌과는 달리 스테이지별로 매치업이 크게 달라지게 되었다.[1]
  • 투-웨이(Two-way) 시스템을 적용, '투-웨이' 선수는 리그 스테이지마다 최대 4명까지 지정 가능하다. '투-웨이' 선수는 리그팀의 최대 12명 제한 로스터내에 포함되며 오버워치 리그의 선수와 동일한 혜택을 받는다. 또한 컨텐더스 팀의 최대 제한 로스터내에 포함되며, '투-웨이' 선수가 리그의 한 스테이지에서 2번 초과하여 출전하면 컨텐더스 출전 자격을 잃는다. '투-웨이' 선수는 컨텐더스의 한 경기 당 최대 2명이 출전 가능하다. '투-웨이' 선수는 한 주에 리그와 컨텐더스에 동시 출전을 할 수 없다.[2]
    • 컨텐더스에 이미 출전했을 경우 컨텐더스 출전 자격을 잃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한 스테이지에 2번 초과하여 출전할 수 없게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컨텐더스는 2019 시즌 스테이지 1 기준,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시즌 3이다. 이 규정을 리그 측이 제대로 전달하지 못했는지, 보스턴 측이 제대로 확인하지 못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래서 보스턴 업라이징 소속의 카메론 보스워스 선수가 3번째로 출전하려다 불가능한 것을 알게 되어 급하게 박민섭 선수로 바뀌는 해프닝이 있었다. 스테이지1의 투웨이 선수는 전부 2018 컨텐더스 시즌 3에 출전한 선수들이라 전부 제약이 걸려있다.
  • 선수들의 기량을 최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시즌 중 휴식기간을 늘림에 따라 팀당 시즌 총 경기수가 28경기로 줄어들었다.[3] 스테이지 진행은 2018 시즌처럼 한 스테이지당 5주, 총 4 스테이지로 구성된다. 즉, 스테이지당 팀별로 7경기를 진행한다. 매주 2경기 적으면 1경기에서 0경기로 진행 될 예정이다. 이를 보아 출범 시즌의 스케줄이 스테이지 사이 휴식기를 제외하고는 반년 가까이 되는 기간 동안 매주 최소 2경기를 치르고, 상위권 팀은 심하면 하루에도 풀 리그를 3경기씩 치러야 했던 초 강행군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선수들의 부담이 상당히 덜해질 것으로 추정된다.
  • 스테이지 2~3 사이에 긴 휴식기간을 가지고 올스타 매치를 진행한다. [4]

  • 타이틀 매치의 이름이 스테이지 플레이오프로 변경되었다. 1,2,3 스테이지는 플레이오프를 진행하며 4스테이지는 플레이오프를 진행하지 않는다.# 스테이지 플레이오프에는 상위 8개의 팀이 진출한다. 각 디비전의 1위가 스테이지 순위에 따라 우선적으로 1, 2번 시드를 갖는다. 목요일부터 일요일까지 4일간 경기가 5판 3선승제의 8강전과 7판 4선승제의 4강, 결승전을 진행한다.
  • 스테이지 플레이오프의 순위가 해당 스테이지의 최종순위가 되며 1,2,3 스테이지의 스테이지 플레이오프 순위를 누적한 결과로 정규시즌의 순위가 결정된다.[5] 즉, 기존의 타이틀매치가 플레이오프 진출과는 전혀 연관이 없었다면 스테이지 플레이오프는 스테이지의 최종 순위를 가리는 매치로 변경되어 스테이지 플레이오프의 성적이 좋은 팀이 시즌 플레이오프에도 진출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따라서 스테이지 플레이오프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 타이틀 매치가 스테이지 플레이오프로 이름이 변경됨에 따라 플레이오프의 명칭도 시즌 플레이오프로 변경되었다. 출범 시즌보다 2팀 많은 8개의 팀이 시즌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정규 시즌 상위 6팀은 자동으로 진출하며 나머지 두 자리는 스테이지 4 종료 이후 정규 시즌 순위 7위부터 12위까지의 6팀이 플레이-인 토너먼트를 펼쳐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두 팀이 차지한다. 플레이-인 토너먼트는 단판 승부, 5판 3선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 경기 화면에서 팀 이름 밑에 로스터에서 체력과 함께 CC기를 맞았을경우 효과가 나타나는게 추가가 되었다.[6] 대신 폭주하고 있을때 프로필이 불타는 효과는 없어졌다.[7]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오버워치 리그 2019 시즌 문서의 r135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오버워치 리그 2019 시즌 문서의 r135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 오프 시즌[편집]




3.1. 개요[편집]


  • 2018년 8월 1일 ~ 9월 8일까지 기존팀 선수들의 재계약, 산하 아카데미 팀 선수와 계약, 트레이드가 가능하다.

  • 2018년 9월 9일부터 계약되지 않은 모든 선수들은 자유 계약 선수가 된다.

  • 2018년 9월 9일 ~ 10월 7일까지 신규 8개 팀만 자유 계약 선수와 계약할 수 있다.[8]


3.2. 영입[편집]


선수포지션이전 소속영입방식영입날짜비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loser
정원식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SUPPORT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현금 트레이드2018.10.16
파일:스웨덴 국기.svg cocco
크리스티안 욘손
코치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신규영입2018.09.05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TANK
파일:미국 국기.svg ZachaREEE
재커리 롬바도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DPS파일:phi_univ_logo.png신규영입2018.12.03
파일:핀란드 국기.svg rCk
리차르드 카네르바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TANK파일:Team_Gigantti_logo.png신규영입2018.11.11

3.3. 방출[편집]


선수포지션이후 소속방출방식방출날짜비고
파일:스웨덴 국기.svg Peak
엠마누엘 우조니
코치무소속계약 종료2018.09.08
파일:스웨덴 국기.svg Chipshajen
세바스티안 비드룬드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SUPPORT무소속계약 종료2018.09.04
파일:스웨덴 국기.svg cocco
크리스티안 욘손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TANK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은퇴2018.09.04코치 전향
파일:미국 국기.svg Seagull
브랜든 라니드
파일:overwatch_role_icon_flex.pngFLEX무소속은퇴2018.08.08스트리머 전향


4. 시즌 로스터[편집]


  • 시즌 시작 직후의 로스터로 이후의 변동 사항에 대해서는 하술.
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
소유주
마이크 러페일 /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nvyus_Logo.png
단장감독매니저
TazMo (맷 테일러)Aero (아론 앳킨스)Violet (김동환)
코치
Jayne (저스틴 콘로이)Tikatee (루이스 르벨-웡)
Vol'Jin (강민규)Cocco (크리스티안 욘손)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DPS
파일:프랑스 국기.svg 5.aKm파일:핀란드 국기.svg 13.Taimou파일:미국 국기.svg 22.ZachaREEE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9.EFFECT
딜랑 비녜티모 케투넨재커리 롬바도황현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TAN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OGE파일:핀란드 국기.svg 34.rCk파일:태국 국기.svg 7.Mickie
손민석리차르드 카네르바뽕폽 라따나생촛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SUPPORT
파일:스페인 국기.svg 9.HarryHook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7.Closer파일:프랑스 국기.svg 24.uNKOE
파일:crwn.png 호나탄 테헤도르 루아정원식뱅자맹 셰바송


5. 시즌 성적[편집]




5.1. 커뮤니티 카운트다운[편집]


커뮤니티 카운트다운 2일차 1경기 (2019. 02. 11.)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파일:오버워치 점령 후 호위.png파일:오버워치 거점 점령.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부산
파일:눔바니 국기.svg
눔바니
파일:이집트 국기.svg
아누비스 신전
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1322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2211

논란속에도 기어코 수수께끼의 영웅으로 진행되었다.

1대1 아나 한방전 4차전
선수12345678승점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 Rawkus5
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 Closer3

정말 아무거나 한 대 맞으면 끝나는 게임이라 이 경기만 두 선수의 합의하에 수면총만 쓰기로 했고, 다른 경기보다 재밌다는 호평을 받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오버워치 리그 2019/커뮤니티 카운트다운/경기 진행 문서의 r10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5.2. 스테이지 1[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댈러스 퓨얼/2019 시즌/스테이지 1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3. 스테이지 2[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댈러스 퓨얼/2019 시즌/스테이지 2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4. 스테이지 3[편집]


메인탱을 트릴로 변경. 이로 인해서인지 전체적인 팀의 기량도 확 줄어들었다. 영어가 능숙한 메인탱이라는 부분을 멀리보고 트릴을 기용한다는 분석이 중론.
지난 스테이지때 출전하지 않았던 해리훅과 타이무가 출전을 했다.

5.5. 스테이지 4[편집]


영 좋지 않는 딜러진을 가지고 시즌 플레이오프에 탈락했다.
탈락후에는 그동안 출전하지 않았던 미키가 출전하고 있다.


6. 시즌 내 변동[편집]




6.1. 선수[편집]




6.2. 코치 및 운영진[편집]




6.3. 게임 업데이트 적용[편집]




7. 전적[편집]




7.1. 팀별 상대 전적[편집]


댈러스 퓨얼 2019 시즌 팀별 상대 전적
* 기존 팀은 출범시즌 우승/준우승 우선, 그 외는 순위순, 신규 팀은 이름 가나다순 정렬.
디비전전적승패 마진세트 득실우열잔여경기
태평양LA 발리언트0승 0패00백중세2경기
LA 글래디에이터즈0승 0패00백중세2경기
상하이 드래곤즈1승 0패11우세1경기
샌프란시스코 쇼크0승 1패-1-4열세1경기
서울 다이너스티1승 0패12우세1경기
광저우 차지0승 1패-1-4열세1경기
밴쿠버 타이탄즈0승 0패00백중세2경기
청두 헌터즈1승 0패00백중세2경기
항저우 스파크0승 0패00백중세2경기
태평양 디비전 합계2승 2패0-5백중세14경기
대서양런던 스핏파이어0승 0패00백중세1경기
필라델피아 퓨전1승 0패12우세0경기
뉴욕 엑셀시어0승 0패00백중세1경기
보스턴 업라이징0승 0패00백중세1경기
휴스턴 아웃로즈0승 0패00백중세1경기
플로리다 메이헴0승 0패00백중세1경기
애틀랜타 레인0승 0패00백중세1경기
워싱턴 저스티스0승 0패00백중세1경기
토론토 디파이언트0승 0패00백중세1경기
파리 이터널0승 0패00백중세1경기
대서양 디비전 합계1승 0패12우세9경기
총계3승 2패1-3순위: 8위23경기
스테이지 파이널0승 0패00

  • 분류 기준
    • 남색은 압도(3경기 이상, 80%≤승률)를 뜻한다.
    • 청색은 절대우세(2경기 이상, 70%≤승률)를 뜻한다.
    • 하늘색은 우세(55%≤승률)를 뜻한다.
    • 녹색은 백중세(45%≤승률<55%)를 뜻한다.
    • 주황색은 열세(승률<45%)를 뜻한다.
    • 적색은 절대열세(2경기 이상, 승률<30%)를 뜻한다.
    • 갈색은 압살(3경기 이상, 승률<25%)을 뜻한다.
    • 스테이지 파이널 성적은 총합 반영하지 않고, 스테이지 파이널 전적 란에 따로 반영한다.

7.2. 전장별 전적[편집]


댈러스 퓨얼 2019 시즌 전장별 전적
유형전장전적승률우열
쟁탈파일:네팔 국기.svg네팔1승 1패50%백중세
파일:중국 국기.svg리장 타워0승 0패-%백중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부산2승 1패66.7%우세
파일:이라크 국기.svg오아시스0승 0패-%백중세
파일:그리스 국기.svg일리오스1승 0패100%우세
쟁탈 합계4승 2패66.7%우세
점령/호위파일:눔바니 국기.svg눔바니1승 0무 1패50%백중세
파일:미국 국기.svg블리자드 월드0승 0무 0패-%백중세
파일:독일 국기.svg아이헨발데0승 0무 0패-%백중세
파일:영국 국기.svg왕의 길1승 0무 1패50%백중세
파일:미국 국기.svg할리우드0승 0무 1패0%열세
점령/호위 합계2승 0무 3패40%열세
점령파일:러시아 국기.svg볼스카야 인더스트리0승 0무 3패0%압살
파일:이집트 국기.svg아누비스 신전0승 0무 1패0%열세
파일:일본 국기.svg하나무라0승 0무 0패-%백중세
파일:호라이즌 달 기지 깃발.png호라이즌 달 기지0승 0무 2패0%열세
점령 합계0승 0무 5패0%압살
호위파일:미국 국기.svg66번 국도0승 1패0%열세
파일:오버워치 깃발.png감시 기지: 지브롤터0승 0패-%백중세
파일:멕시코 국기.svg도라도2승 0패100%우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리알토1승 1패50%백중세
파일:호주 국기.svg쓰레기촌0승 0패-%백중세
호위 합계3승 2패60%우세
총계9승 0무 12패42.9%세트 득실 -3
스테이지 파이널0승 0무 0패-%

  • 기준
    • 남색은 압도(3경기 이상, 80%≤승률)를 뜻한다.
    • 청색은 절대우세(2경기 이상, 70%≤승률)를 뜻한다.
    • 하늘색은 우세(55%≤승률)를 뜻한다.
    • 녹색은 백중세(45%≤승률<55%)를 뜻한다.
    • 주황색은 열세(승률<45%)를 뜻한다.
    • 적색은 절대열세(2경기 이상, 승률<30%)를 뜻한다.
    • 갈색은 압살(3경기 이상, 승률<25%)을 뜻한다.
    • 스테이지 파이널 성적은 총합 반영하지 않고, 스테이지 파이널 전적 란에 따로 반영한다.
    • 승률은 승/(승+패)로 계산한다.

7.3. 요일별 전적[편집]


댈러스 퓨얼 2019 시즌 요일별 전적
금요일0승 1패(-4)토요일0승 1패(-4)
일요일2승 0패(3)월요일1승 0패(2)
최종 성적3승 2패(-3)
스테이지 파이널0승 0패(0)

  • 분류 기준
    • 청색은 승리가 패배보다 2 이상 많은 경우를 뜻한다.
    • 적색은 패배가 승리보다 2 이상 많은 경우를 뜻한다.
    • 녹색는 승과 패의 차이가 1 이하인 경우를 뜻한다.
    • 스테이지 파이널 성적은 최종 성적에 반영하지 않고, 스테이지 파이널 전적 란에 따로 반영한다.


8.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10:20:10에 나무위키 댈러스 퓨얼/2019 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를테면 이전 시즌부터 줄곧 라이벌 관계였고 매 스테이지마다 꼬박꼬박 한 번씩 맞붙던 뉴욕팀런던팀은 이번 시즌에선 3스테이지에만 2번 경기하고, 나머지 스테이지 중에는 한 번도 경기가 없다.[2] 다만 이 제도는 아카데미 팀을 보유한 리그 팀에게만 적용된다.[3] 하지만 시즌 총 경기수는 오히려 늘어났다. 시즌 1에는 총 경기수가 240경기, 이번 시즌은 총 경기수가 280경기.[4] MLB의 올스타 진행 시스템과 동일하다. 다만 휴식기가 좀 더 길어질 듯 하다.[5] 예를 들어서 1스테이지에 A팀이 1위로 스테이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준우승을 했을 경우에는 1스테이지 최종 순위는 2위로 마감하게 된다.[6] 기절, 냉각, 수면, 치유 차단, 해킹 [7] 한 선수를 1인칭,3인칭 시점으로 볼때 좌측 하단의 프로필의 폭주 효과는 남아있다.[8] 예외적으로 산하 아카데미 선수의 리그팀 승격은 기존 팀도 이 기간동안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