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여자 U-17 축구 국가대표팀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남자 U-17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번 문단을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여자 U-17 축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Women's U-17 National Football Team
코드 KOR
협회 대한축구협회 (KFA)
대륙 연맹 아시아 축구 연맹 (AFC)
지역 연맹 동아시아 축구 연맹 (EAFF)
홈구장 용인미르스타디움 (37,155석, 비공식)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은정 (KIM Eun-Jung)
주장
C
원주은 (WON Ju-Eun)
최다 출전 이현영, 지소연 (15경기)
최다 득점 여민지 (22골)
첫 국제경기 출전 vs 인도네시아 (15:0 승)
대한민국 남해 (2005년 4월 16일)
월드컵 출전 3회, 우승 1회 (2010)
AFC 챔피언십출전 7회, 우승 1회 (2009)

유니폼 원정
상의
파일:나이키 로고.svg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빨간색 로고.svg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

하의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빨간색 로고.svg파일:나이키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
양말

유니폼 골키퍼 1 골키퍼 2 골키퍼 3
상의파일:나이키 로고.svg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svg


파일:나이키 로고.svg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svg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


하의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svg파일:나이키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svg파일:나이키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
양말

1. 개요
2. 소개
2.1. 역사
3. 현 대표팀 및 사령탑
4. 주요 국제 대회별 기록
5. 국가별 전적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17세 이하 대표팀.


2. 소개[편집]



2.1. 역사[편집]


여자 축구 국가대항전이 출범한 것이 2000년대, 대한민국의 여자 축구가 발전한 것은 2010년대이므로 U-17 대표팀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은 편이다. 하지만 이러한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 축구사에 길이 남을 업적을 남긴 대표팀이다.

첫 번째 U-17 월드컵 출전은 2008 FIFA U-17 여자 월드컵이었다. 김용호 감독이 이끈 이 팀의 주축 멤버는 지소연, 이영주, 이민아, 서현숙 등이었고 무려 브라질과 잉글랜드를 잡고 8강에 진출했다. 한국 여자축구가 FIFA 주관 대회에서 처음으로 토너먼트 진출에 성공한 대회였다.

이어서 최덕주 감독이 이끈 대표팀은 2010 FIFA U-17 여자 월드컵 트리니다드 토바고에서 여민지, 장슬기, 신담영, 이소담 등의 활약으로 결승에서 일본을 꺾고 우승을 차지해 대한민국 축구 역사상 처음으로 FIFA 주관대회 우승이라는 업적을 일궜다. 또한 여민지는 골든부트(득점왕)와 골든슈를 차지했다.

2010년 이후 줄곧 예선 격인 AFC U-16 여자 챔피언십에서 떨어지며 3회 연속 본선 무대를 밟지 못했다. 그러나 허정재 감독이 이끄는 U-17 대표팀이 2017 AFC U-16 여자 챔피언십에서 2위에 오르며 2018 FIFA U-17 여자 월드컵 우루과이 본선 티켓을 획득, 8년만에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강지연, 곽로영, 황아현, 조미진여민지 세대와 비견될 만큼 좋은 선수들로 구성되어 8년만의 본선 진출과 동시에 두 번째 우승까지 바라볼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왔으나, 막상 뚜껑을 열자 1무 2패(vs 스페인 0-4 패, vs 캐나다 0-2 패, vs 콜롬비아 1-1 무)로 조별리그에서 허무하게 탈락했다.[1]

2019 U-16 챔피언십에서는 인창수 감독이 이끈 팀이 토너먼트 진출에 실패하며 다시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이후 코로나19로 모든 국제대회가 취소되어 사실상 운영되지 않는 상태로 있다가 2022년 11월 김은정 감독이 부임하면서 다시 2024 U-17 월드컵을 목표로 팀이 꾸려졌다.

3. 현 대표팀 및 사령탑[편집]


현 대표팀 김은정호
현 사령탑 김은정
계약기간 2024 FIFA U-17 여자 월드컵
참가대회 및 성적 없음


4. 주요 국제 대회별 기록[편집]



4.1. FIFA U-17 여자 월드컵[편집]


연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
뉴질랜드 20088강6420287
트리니다드 토바고 2010[2]우승164111814
아제르바이잔 2012진출 실패
코스타리카 2014
요르단 2016
우루과이 2018조별리그301217
인도 2022진출 실패
칠레 2024
합계우승 1회3/7[3]106132621

2008년에 시작되어 2018년 대회까지 4회 개최된 FIFA U-17 여자 월드컵에서 우리나라 청소년 대표팀은 본선 무대에 총 3번 진출하였으며 이 대회에서 FIFA 주관의 메이저 대회에서 첫 우승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B조, D조에 속한 적 있다.

4.2. AFC U-17 여자 아시안컵[편집]


연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
대한민국 20054강4위5302268
말레이시아 20074강3위411267
태국 2009우승1위5410232
중국 20114강4위521277
중국 2013조별리그12위200222
중국 2015조별리그5위311184
태국 2017준우승2위5221135
태국 2019조별리그5위310235
인도네시아 2024
합계우승 1회7/732146128840


5. 국가별 전적[편집]


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
중국9243913-4
일본83321517-2
태국7412207+13
북한7115719-12
호주6510133+10
홍콩2200210+21
베트남220060+6
타지키스탄110030+16
인도네시아1100150+15
말레이시아1100130+13
미얀마110080+8
라오스110070+7
필리핀110070+7
이란110050+5
대만110032+1
우즈벡1010000
덴마크220074+3
스페인210125-3
잉글랜드110030+3
독일100103-3
미국3003315-12
멕시코110041+3
트리니다드토바고110041+3
브라질110021+1
콜롬비아1010110
캐나다100102-2
남아공110031+2
나이지리아2101770
뉴질랜드321092+7
1100170+17
북마리아나1100110+11
'''{{{#fff 합계
(31)}}}'''
72

[1] 다만 이때는 축협의 문제가 컸다. 대회 직전 허정재 감독을 U-18 감독으로 빼가는 바람에 코치들이 선수들을 지도한데다 대회를 앞두고는 평가전조차 치르지 못했다. 또한 단장이나 대표팀 선수들을 케어할 인원이 없던 탓에 선수들이 우루과이 현지 음식을 먹어 단체로 컨디션의 문제를 겪어야 했다.[2] 대한민국의 FIFA 주관 첫 메이저 타이틀 획득.[3] 본선 진출 비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9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9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7:51:15에 나무위키 대한민국 여자 U-17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