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밭종합운동장

덤프버전 : (♥ 0)

파일:한밭운동장배치도.png
경기장 배치도[1]
파일:한밭운동장2019.jpg
2019년 기준 경기장의 전경
파일:대전드림파크2.png
베이스볼 드림파크 조성 사업의 예상 조감도

한밭종합운동장
韓田綜合運動場 / Hanbat Sports Complex

개장1964년 1월
소재지대전광역시 중구 대종로 373 (부사동)
구성대전 한화생명 이글스 파크
한밭체육관, 충무체육관
한밭수영장, 대전광역시 체육회관
입주 구단한화 이글스,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대전 KGC인삼공사
웹 사이트대전광역시시설관리공단

1. 개요
2. 역사
3. 시설 및 입주 스포츠단
3.1. 현존
3.2. 철거
3.2.2. 보조 경기장
4. 교통




1. 개요[편집]


대전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종합 운동장. 주소는 대전광역시 중구 대종로 373 (부사동).



2. 역사[편집]


1959년 대전공설운동장 완공부터 시작해 1964년 1월 주경기장을 포함해 야구, 배구, 농구, 정구, 양궁장을 갖춘 종합 경기 타운을 완공했다. 이후 1970년 충무체육관을 개관해서 현재 대전의 웬만한 스포츠 행사를 다 해결하는 곳이었고, 2022년 기준으로 대전 내에 유일한 종합 운동장이었다.


3. 시설 및 입주 스포츠단[편집]


주경기장, 야구장, 충무체육관, 한밭체육관(1,226석, 최대 2,000명), 수영장(752석, 최대 1,000명), 정구장(252석, 최대 378명 수용), 게이트볼장, 육상 보조 트랙, 보조 경기장이 있다.

최초 입주 프로 스포츠단은 OB 베어스다.


3.1. 현존[편집]



3.1.1. 한밭야구장[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17이글스파크.jpg
한화 이글스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
(Daejeon Hanwha Life Eagles Park)
개장1964년 1월 27일
소재지대전광역시 중구 대종로 373 (부사동)
홈구단OB 베어스 (1982~1984)
빙그레-한화 이글스 (1986~2024(예정))
크기좌측 펜스 98.6m [2]
좌측 중앙 112m
중앙 펜스 122m
우측 중앙 112m
우측 펜스 100m
중앙 펜스 높이 4.0m
좌우 펜스 높이 3.2m
(2013~)
잔디천연 잔디 (1965~1995, 2013~)[3]
애스트로 터프 (1996~2005)
필드터프 (2006~2012)
좌석규모총 13,000석[4][5]
덕아웃1루(홈) / 3루(원정)



3.1.2. 충무체육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충무체육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3. 한밭체육관[편집]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 뒤편에 있는 체육관으로 1974년에 건립했다. 원래는 실내 수영장이었으나 1990년대 초 한밭수영장을 새로 짓기로 결정함에 따라 수영장이던 건물을 다목적 체육관으로 개축했다.[6] 아주 잠시 동안 한국프로농구 경기장으로 사용했던 시절도 있다. 1997년 충무체육관 보수 공사를 진행하던 때에 대전 현대 다이넷이 이곳에서 홈경기를 치른 적이 있다. 다만 그 시절 대전 현대 다이넷의 성적이 워낙에 시궁창이었기에 이를 기억하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다.

국민의당과도 연관이 있는 곳인데 이곳에서 중앙당 창당대회가 열렸고 안철수제19대 대통령 선거 국민의당 후보로 최종 선출된 곳도 이곳이다.


3.1.4. 기타[편집]


이외 시설로는 한밭수영장, 게이트볼장, 대전시체육회관이 있다.

대전 베이스볼 드림파크 조성으로 인해 육상 실내 연습장, 정구 경기장, 씨름장을 2022년 6월에 폐장한 후 철거했다. 정구 경기장은 주차장으로 변경하며 육상 실내 연습장과 씨름장은 도보 및 공원으로 재탄생할 예정이다.

주경기장 내부에 있던 대전시차량등록사업소는 대전시체육회관 1,2층으로 이전했다. 부사119안전센터는 충무체육관으로 임시적으로 이전했으며 추후 대전 중구에 들어서는 대전중부소방서에 통합 이전한다.


3.2. 철거[편집]



3.2.1. 주경기장[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한밭종합운동장 주경기장#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17한밭경기장.jpg
한밭종합운동장 주경기장 / Daejoen Hanbat Stadium


3.2.2. 보조 경기장[편집]


2009년 전국체육대회를 개최하기 위해 162억원을 투입하여 기존의 씨름장과 정구장 등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신축했다.[7] 지하에는 450면의 지하 주차장을 새롭게 조성했다.

대전 베이스볼 드림파크 조성 사업으로 인해 2022년 3월 폐장 후 해당 위치는 도보 및 공원으로 조성했다. 다만 기존의 지하 주차장은 존치했다.


4. 교통[편집]


위치가 조금 애매하다. 대전 구도심에서도, 신도심에서도 살짝 벗어난 위치라 대전 시내에서의 접근성이 약간씩 떨어지며 주차 공간도 부족하다. 야구장은 사람이 많이 몰리는 곳인데 구장 변 도로가 좁아 경기 전후로 경기장 주변에 교통정체가 심한 것이 흠이다. 하지만 대전역대전복합터미널에서 직통으로 연결되는 급행2번 버스노선이 있어 외지에서 원정 올 땐 되려 편하다.(아니면 중앙로역 하차 후 으능정이거리 쪽으로 가서 환승하면 된다.) 경기장 주변 상가 재개발이나 충무체육관이 이전한다면 부지를 확보할 수 있어 개축이 가능할 수도 있을 것 같지만 아직까지 미지수다.

시내버스야 노선이 정해져 있으니 어쩔 수 없으나 택시를 타고 갈 때는 서대전네거리에서 대사동 쪽으로 가지 말고 좀 돌더라도[8] 중앙로나 대전고 쪽으로 돌아서 가자고 말하자. 경기 시작 1시간 전 쯤이면 보문산쪽 길은 평일, 주말 안가리고 완전히 꽉 막힌다. 아니면 위에도 있지만 중앙로역에서 내려서 환승을 하던가 20분 가량 걸어가도 된다.

그 외에 둔산동이나 중촌동, 삼성동 등 대전 시내 하천 근처에 사는 사람은 자전거를 타고 가도 좋다. 삼천교를 기준으로 천변 자전거 도로를 타면 30~35분 정도에 종합운동장에 도착한다.[9]

자가용으로 방문하게 될 경우, 2014 시즌까지만 해도 경기시작 20분 전에 구장 내 주차장에 도착해도 느긋하게 자리 찾아 주차할 수 있던 때와 달리 2015 시즌 들어 이글스파크의 매진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주말의 경우 경기 2시간 전에 가더라도 자리를 찾지 못해 뺑뺑이를 도는 경우가 꽤 많아졌다. 만약 구장 주차장이나 주변의 주차공간 자체가 없을 경우 구장 맞은편에 있는 문창초등학교 운동장에 주차할 수 있으니 참고. 게다가 문창초와 구장과는 걸어서 5분 이내 거리이기도 하고 경기종료시 구장 주차장에서 빠져나가는 차와 처음부터 엉킬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5. 베이스볼 드림파크 조성 사업[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대전 베이스볼 드림파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2:58:09에 나무위키 한밭종합운동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09년 전국체육대회 개최 준비 당시 조감도[2] 2014년부터 리모델링으로 좌측 펜스 길이가 1.4m 당겨졌다.(98.6m)[3] 단, 포수 뒤쪽 홈플레이트 부분은 부분적으로 인조잔디를 적용[4] 휠체어 전용 16석 포함. 제2구장을 제외하면 1군 홈 구장 중 좌석규모가 가장 적은 구장이다. 그 다음은 17,000석인 고척 스카이돔.[5] 2011년 12월 리모델링 공사에 착공, 내야 관중석 3층을 증축했다. 2012년 6월, 14,133석 규모로 증축되었고, 2013시즌 이후 리모델링으로 수용인원이 14,133명에서 13,000명으로 또 다시 변했다.[6] 그래서 관중석이 건물의 동쪽과 서쪽에만 있다.[7] 이후 정구장은 인라인 하키장으로 위치를 옮겨 신설했다.[8] 사실 그렇게 도는 것도 아니다[9] 가장 가까운 자전거 주차장은 외야 출입구 쪽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