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운에서 넘어왔습니다.
대송중수광운
(♥ 0)
1. 개요[편집]
大宋重修廣韻
흔히 줄여서 광운(廣韻)이라고 부른다. 송나라 대중상부 원년(1008) 진팽년(陳彭年) 등이 북송 진종의 명을 받아 만든 운서이다. 전체적으로 절운(切韻)의 증보판이라고 할 수 있다. 음계 분류는 대체로 절운을 따랐으나 수록된 자수가 대폭 늘어났고 각각의 글자에 대한 설명이 추가·개정하였다. 운목은 절운과 비교하여 眞운 중 개음 [u]가 존재하는 글자를 諄운으로 분리하고, 寒운 중 개운 [u]가 존재하는 글자를 桓운으로 분리하고, 歌운 중 개음 [u]가 존재하는 글자를 戈운으로 분리하고 嚴운의 상성과 거성 儼운과 釅운을 추가해서 열세 가지 운이 늘어나 총 206운, 수록된 글자는 2만 6194자이다. 사용된 성모는 학설에 따라 다르지만 37성모설부터 51성모설까지 있다.[1]
광운이 후대에 끼친 영향은 매우 크다. 중고음이 가장 잘 보존된 운서가 절운인데, 이 책의 원본은 산실되어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광운은 오랜 세월 동안 완정된 절운계 운서 중에서는 그나마 절운에 가까운 운서로 통하였다.[2] 또한 후대의 수많은 운서들의 기반이 광운이었기 때문에 중고음 연구에 있어서는 기본이 되는 서적이다. 한국 한자음도 이 광운의 축약본인 운략(韻略)을 재정리한 예부운략에 많이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한국 한자음 연구에 있어서도 빠질 수가 없는 서적이다. 이 때문에 한국 한자음을 연구하는 데도 기본자료가 된다.[3] 다만 편찬된 시기가 송나라 시대였음에도 불구하고 기반이 된 반절은 절운계 반절이었기 때문에 당시의 현실 한자음과는 괴리가 있었다. 때문에 광운 이후로는 절운계 운서는 예부운략을 끝으로 더이상 나오지 않았고, 31년이 지나 1039년에는 현실 한자음을 반영한 집운이 편찬되었다. 워낙에 영향력이 큰 운서였기에 송본광운 등 여러 판본이 존재한다.
2. 구성[편집]
광운은 우선 사성에 따라 상평성, 하평성, 상성, 거성, 입성의 총 5권으로 나뉜다. 평성은 다른 글자들보다 자수가 많기 때문에 상평성과 하평성으로 나뉜다.
![파일:광운목차.png](http://obj-sg.the1.wiki/d/9d/1f/542b0f29ccf03d092f83fc1a3dc5a811b8a1f663b3b72550610d60b921f4cf1f.png)
각 권의 목차에는 운목의 대표자와 번호(파란색), 대표자의 반절(빨간색), 운목의 통용 여부(보라색)[4] 가 기재하였다. 위 목차에서 東운은 德紅東第一獨用이라고 쓰였는데, 東은 'tung'이라고 읽으며 다른 운과 통용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또 冬운 鍾同用이라고 쓰였으니, 鍾운과 통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각 권의 운목 기재순서는 같은 운모끼리 평행하도록 하였다. 평성의 첫 운에 東운, 상성의 첫 운에 董운, 거성의 첫 운에 送운, 입성의 첫 운에 屋운을 두어 한 꿰미를 맞춰놓은 식. 그러나 평성에서는 刪운→山운인데 입성에서는 黠운(山운에 대응)이 鎋운(刪운에 대응)보다 먼저 오는 등 순서가 어긋나는 경우도 있다. 또 어떤 운목은 사성이 고루 갖추지 않았기 때문에 목차가 뒤로 갈수록 번호가 심하게 어긋난다. 예를 들어 '-ong'에 해당하는 운모는 상성이 없기 때문에[5] , 冬·宋·沃의 세 운이 한 꿰미이다.
광운의 목차는 다음과 같다. 편의상 운모가 같은 글자들은 같은 열에 배치하며, 순서가 어긋난 부분은 따로 표시한다.
![파일:광운본문.png](http://obj-sg.the1.wiki/d/ba/a4/74de690f43ac7eb269ff4c65b985c2d8cc349e3ba0b9f602c2a128a9cf853e21.png)
다음으로 본문을 보자. 제일 먼저 번호(빨간색)가 있고, 그 다음 ○(동그라미, 파란색), 그리고 운목의 대표자(보라색)가 있다. 본문에 나오는 번호는 목차의 번호와 일치한다. ○는 소운(小韻)을 구별하는 기호로, 이 아래에 있는 글자들은 발음(즉 성모+운모+성조)이 완전히 같음을 의미한다. 즉 東·菄·鶇·䍶 등등은 발음이 모두 'tung'으로 같고, 同·仝·童·僮 등등은 발음이 모두 'dung'으로 같다는 뜻이다. 각 글자 밑에 작은 글씨로 쓰인 것은 해당 글자의 해설이다. 여기에 각 소운의 대표자에는 반절 발음(노란색)과 동음자의 수(초록색)가 추가로 기재했다. 예를 들어 東 자의 설명에는 德紅切十七이라고 쓰였는데, 발음은 'tung'이고 이 책에는 東과 발음이 같은 글자가 17자 수록되었다는 뜻이다. 또 어떤 글자들은 음이 두 가지 이상인데, 이런 다음자(多音字)에 대해서는 다른 발음(검은색)도 설명하였다.
3. 외부 링크[편집]
한자데이터베이스 송본광운[6]
중국철학전자화 위키 송명본 광운
위키문고 사고전서본 광운
韻典網
[1] 가장 적은 37성모설은 현재의 경순음이 존재하지 않는 대신 후치경음(만기 중고음에서는 권설파찰음) 정치음 莊조(莊母, 初母, 崇母, 生母)(俟母의 경우 당대에 이미 분화가 되었다는 설이 있고 좀 더 후대에 분화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 37성모설은 후자. 38성모설은 전자)가 존재했다는 설이고, 송대에 이미 경순음이 의미분별에 영향을 주었다는 41성모설, 影모 등 후음에 2가지가 있었다는 51성모설 등이 있다. 다만 광운에서는 37성모설이 일반적이고 집운에서는 51성모설이 주류이다.[2] 절운의 당나라 때 판본인 간류보결절운(刊謬補缺切韻)은 20세기가 되어서야 발견되었다.[3] 한국 한자음에 큰 영향을 준 운서로 예부운략, 배자 예부운략, 홍무정운, 삼운통고(예부운략의 축약본) 등이 있는데 이 운서들을 거슬러 올라가면 모두 광운이 나온다.[4] 한시 따위를 지을 때 같은 운으로 취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의미한다. 광운에서 통용되는 운을 한 개의 운으로 취급하면 총 117운이 되는데, 이는 흔히 평수운(平水韻)이라고 하는 106운 체계와 거의 일치한다.[5] 엄밀히 말하면 없지는 않다. 다만 여기에 해당 글자수가 매우 적어서, 腫운에 수록하고 주석을 따로 달았다.[6] 메인에 있는 운도가 잘못된 부분이 있는데 상성 제55范운과 거성 제60梵위치가 바뀌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