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크니스(유희왕 러시 듀얼)

덤프버전 :



유희왕 러시 듀얼테마 일람
[ㅅ]
[ㅇ]
[ㅎ]
[ 각주 ]
● 기준은 러시 듀얼 카드 테마 분류에 포함되는 테마 중 공통 효과 시리즈 분류를 제외한 나머지 테마입니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입니다.



오티스
덱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관련 테마
푸른 눈 · 붉은 눈 · 데몬 · 블랙 매지션 · 로드 · 세븐즈로드 · 로드 매직 · 다크니스
서브 에이스에이스 몬스터
-푸른 눈 덱
푸른 눈의 백룡

붉은 눈 덱
붉은 눈의 흑룡

데몬 덱
데몬 소환

블랙 매지션 덱
블랙 매지션

세븐즈로드 & 다크니스 덱
세븐즈로드 매지션
에이스 진화체최종 몬스터
세븐즈로드 & 다크니스 덱
매지션 오브 다크세븐즈
-



다크니스
한국판 명칭다크니스
일본판 명칭ダークネス
영어판 명칭Darkness (미발매)
속성종족관련 카테고리
어둠[1]마법사족 / 다양[2]효과, 퓨전

1. 개요
2. 상세
3. 카드 목록
3.1. 일반 몬스터
3.1.1. 다크니스 드레이크
3.2. 효과 몬스터
3.2.1. 다크니스 로그
3.2.2. 다크니스 제로로그
3.2.3. 다크니스 포시커
3.2.4. 다크니스 드워프
3.2.5. 다크니스 파파라치
3.2.6. 다크니스 팬터마이트
3.3. 퓨전 몬스터
3.4. 마법 카드
3.4.1. 다크니스 로드
4. 미발매 카드
4.1. 효과 몬스터
4.1.1. 다크니스 산가
4.1.2. 다크니스 삼사라
4.2. 마법 카드
4.2.1. 다크니스 디바인
4.2.2. 다크니스 매직 549
4.2.3. 다크니스 싱귤래리티
4.3. 함정 카드
4.3.1. 다크니스 리본
4.3.2. 다크니스 리스트레인
4.3.3. 다크니스 디스오더
4.3.4. 다크니스 폴트
4.3.5. 다크니스 딜
5. 관련 카드



1. 개요[편집]


유희왕 러시 듀얼의 테마. 유희왕 SEVENS오티스가 사용하는 카드들이다.


2. 상세[편집]


오티스가 사용하는 세븐즈로드와 같은 어둠 속성 / 마법사족을 서포트하는 테마.

어둠 속성 마법사족을 핀 포인트로 서포트하기 때문에, 마스터 오브 세븐즈로드등 세븐즈 카드들과 상당히 궁합이 좋다.

유희왕 고 러시!!에서는 6쿨부터 의미심장한 떡밥을 가지고 등장한다. 사람을 카드화시키는 유적이 빛을 발한 뒤 정체불명의 존재에게 침식된 오도 유아무다크니스 드레이크를 사용한 것을 시작으로, 유디아스 벨갸를 비롯한 인물들이 듀얼을 하면 어느샌가 덱에 끼어든다.[3] 이 테마의 카드와 접촉하면 어두운 기운에 휩싸이면서 흑화하며, 듀얼이 끝나면 다크니스 카드는 사라진다. 예외로 유디아스는 71화에서 다크니스 드워프를 사용할 때 자력으로 흑화를 풀어냈으나, 이후 밝혀진 진실에 따르면 흑화를 이겨낸 게 아니라 애초에 콰이두르가 세뇌를 하지 않은 것이었다.

73화에서는 이 흑화가 단순히 사람을 포악하게 만드는 게 아니라 카드를 통해 누군가가 배후에서 세뇌를 걸고 있는 것이라는 떡밥이 나왔다. 75화에서 밝혀진 그 정체는 바로 콰이두르 벨갸였다.

고 러시의 다크니스 카드들은 모두 콰이두르가 창조한 것으로, 세뇌 기능을 통해 대중들의 이목이 집중된 갤럭시 컵에서 다크니스 카드를 사용하는 유디아스를 우승시키고, 나아가 그렇게 인기를 끌게 된 다크니스 카드를 더욱 적극적으로 퍼트려 모든 생명체를 자신의 장기말로 삼기 위한 카르티오스 계획의 포석이었다.

고 러시의 다크니스 카드들은 끼어든 덱의 주류 종족을 그대로 따라가며, 다크니스 트랜잠 크라이시스를 빼고는 퓨전 소환의 소재로 쓰인다는 공통점이 있다.


3. 카드 목록[편집]



3.1. 일반 몬스터[편집]



3.1.1. 다크니스 드레이크[편집]


파일:ダークネス・ドレイク.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다크니스 드레이크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ダークネス・ドレイク,
영어판명칭=Darkness Drak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0, 수비력=1000, 종족=드래곤족,
효과외=마음을 어지럽히는 어둠의 화신. 모든 것을 침식한다.,)]

"소환... 어둠의 화신, 다크니스 드레이크"

오도 유아무, 유희왕 고 러시!!


유희왕 고 러시!! 66화에서 유아무가 사용한 카드. 사람을 카드화시키는 유적을 조사하던 중 유아무가 유적을 만든 사람은 아마도 오티스일 것이라고 말하자 유적이 빛나면서 유아무에게 무언가가 빙의되었고, 그 때 유아무의 덱에 추가된 카드다. 이후의 유디아스 벨갸와의 듀얼에서 레드리부트 인핸스드 부스트드래곤을 소환하는 데 사용되나, 듀얼에서 패배하고 빙의가 풀리자 이 카드도 온데간데없이 사라졌다.

유희왕 고 러시!! 73화에서 유아무가 사용하는 카드로 재등장. 피셔 스카이와 카와이 테루의 기술력으로 분자 레벨 단위로 덱케이스를 개조하여 흑막이 덱에 간섭하지 못하도록 하려 했음에도 불구하고 냥데스타와의 듀얼에서 덱에 들어가있었다.

수록 시리즈
2023-11-11 |
파일:일본 국기.svg

RD/KP15-JP001 | 闇黒のレッドリブート
N
노멀



3.2. 효과 몬스터[편집]



3.2.1. 다크니스 로그[편집]


파일:ダークネス・ローグ.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다크니스 로그,
일어판명칭=ダークネス・ローグ,
영어판명칭=Darkness Rogu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레벨=2, 공격력=700, 수비력=600, 종족=마법사족,
조건=이 카드를 일반 소환한 턴에\, 자신 필드에 이 카드 이외의 몬스터가 없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패의 몬스터 (어둠 속성 / 마법사족) 1장을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자신 필드의 이 카드를 주인의 덱 아래로 되돌린다.)]

실질적으로 어둠 속성 마법사 전용 더블 코스트 몬스터 역할을 하는 카드. 어둠 속성 마법사면 뭐든 특수 소환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최상급을 꺼내게 될 것이다. 조건이 좀 달렸지만 빈 필드에 소환하면 제약이 없다시피 한 수준이고, 특수 소환이기 때문에 성탑의 위기도 피해갈 수 있어 유용하다. 다크니스 제로로그의 조건도 충족시킬 수 있다.

유희왕 SEVENS 91화에서는 오티스오도 유가와의 3차전 듀얼 중 사용.

수록 시리즈
2022-06-04 |
파일:일본 국기.svg

RD/MRP1-JP008 | メガロードパック
SR
슈퍼 레어



3.2.2. 다크니스 제로로그[편집]


파일:ダークネス・ゼロローグ.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다크니스 제로로그,
일어판명칭=ダークネス・ゼロローグ,
영어판명칭=Darkness Zerorogu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레벨=7, 공격력=1500, 수비력=2100, 종족=마법사족,
조건=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 자신 메인 페이즈에\, 자신 묘지에 몬스터(어둠 속성 / 마법사족)가 8장 이상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8 이하)를 전부 파괴한다.)]

묘지에 어둠 속성 마법사가 8장 이상인 상태에서 특수 소환되면 상대 필드의 레벨 8 이하 몬스터를 모두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있다. 일반 소환에 대응하지 않는 점은 아쉽지만, 그래도 일단 한 번 효과를 쓸 수 있는 상황이 갖춰지면 패나 묘지를 일절 소모하지 않기 때문에 상당히 강력하다. 최상급들이 한 턴에 두 마리 늘어서기 쉬운 현 환경에서는 높은 효율도 기대해볼 수 있다. 특수 소환 수단도 범용 카드를 빼고 봐도 세븐즈로드 소서러, 세븐즈로드 위치, 다크니스 로그 등 꽤 많고, 특수 소환이기 때문에 성탑의 위기로 막힐 걱정도 없다.

단점은 스테이터스. 최상급이면서 공격력이 고작 1500으로, 바닐라 하급 몬스터와도 자폭이 날 수 있는 수치다. 여차할 때 어태커로 활용할 수 있는 여지는 전혀 없다. 그나마 이 카드를 꺼낸다면 대부분 특소일 테니 수비 표시로 꺼내면 상대적으로 낫긴 하지만, 2100이라는 수치도 최상급 상대로는 믿음직한 수치가 아니기 때문에 하급 몬스터 상대로 벽이 되는 정도가 한계다.

유희왕 SEVENS 91화에서는 오티스오도 유가와의 3차전 듀얼 중 사용. 효과로 유가 필드의 로얄데먼즈 헤비메탈채광의 프리마기타나를 파괴하고, 세븐즈로드 매지션과 함께 매지션 오브 다크세븐즈의 퓨전 소재가 되었다.

효과명은 '제로 데스퍼레이션(ゼロ・デスペレイション)'.

스테이터스는 세븐즈로드 매지션과 공수가 반대다.

수록 시리즈
2022-06-04 |
파일:일본 국기.svg

RD/MRP1-JP006 | メガロードパック
R
레어



3.2.3. 다크니스 포시커[편집]


파일:ダークネス・フォーシーカー.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다크니스 포시커,
일어판명칭=ダークネス・フォーシーカー,
영어판명칭=Darkness Fource Seeker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1100, 수비력=600, 종족=마법사족,
조건=자신 묘지에 레벨이 다른 몬스터(어둠 속성 / 마법사족)가 3장 이상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 4장을 묘지로 보낸다. 이 턴에\, 자신은 몬스터(어둠 속성 / 마법사족)로밖에 공격할 수 없다.)]

어둠 속성 마법사족 전용 덱 덤핑 요원. 덤핑 말고 다른 효과는 전혀 없고 스테이터스도 별로지만, 어둠 속성 마법사에는 다크니스 제로로그, 매지션 오브 다크세븐즈, 다크 레버레이션 등 묘지의 카드를 다수 요구하는 카드가 많기 때문에 나쁘지 않은 효과다.

수록 시리즈
2022-06-04 |
파일:일본 국기.svg

RD/MRP1-JP007 | メガロードパック
N
노멀



3.2.4. 다크니스 드워프[편집]


파일:ダークネス・ドワーフ.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다크니스 드워프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ダークネス・ドワーフ,
영어판명칭=Darkness Dwarf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0, 수비력=0, 종족=갤럭시족,
조건=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갤럭시족)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이 카드를 포함하는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소재로 묘지로 보내고\, 몬스터(어둠 속성)를 퓨전 소환한다.)]

필드의 갤럭시족 묘지로 보내면 이 카드를 소재로 어둠 속성 퓨전 몬스터를 퓨전 소환할 수 있다.

사실상 필드의 모든 몬스터를 퓨전으로 만들어주는 이것만 보면 강력한 효과이다.

하지만 어둠속성 갤럭시족은 빛속성과 달리 반대쪽 소재가 자유로운 퓨전 몬스터가 없다보니 현재는 선택지가 밑의 둠즈 자이언트와 다크니스 오블리비언 밖에 없다. 일단 둘다 성능이 좋고 특히 둠즈 자이언트는 이 카드만 쓰면 왠만한 몬스터와는 퓨전할 수 있다. 앞으로의 추가 지원이 기대되는 카드.

사용자는 유디아스 벨갸. 유디아스의 카드답게 갤럭시족을 서포트한다. 유디아스는 자체 퓨전 효과를 통해 갤럭티카 오블리비언과 이 카드를 퓨전, 다크니스 갤럭티카 오블리비언을 소환하였다. 다만 세뇌된 상태는 아니었다.

수록 시리즈
2023-11-11 |
파일:일본 국기.svg

RD/KP15-JP003 | 闇黒のレッドリブート
R
레어



3.2.5. 다크니스 파파라치[편집]


파일:ダークネス・パパラッチ.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다크니스 파파라치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ダークネス・パパラッチ,
영어판명칭=Darkness Paparazzi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레벨=2, 공격력=800, 수비력=800, 종족=마법사족,
조건=자신의 덱의 카드가 10장 이상이고\,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5 이상 / 마법사족)가 있을 경우\, 자신 묘지의 같은 속성을 가진 몬스터(마법사족) 3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은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이상)의 수]만큼 드로우한다.)]

사용자는 고하 유나. 유나의 카드답게 마법사족을 서포트한다. 그녀의 테마인 셀레브로즈유명인 컨셉이듯이 이 카드도 파파라치를 의도로 둔 작명이다. 유나는 셀레브로즈 매지션과 이 카드를 퓨전하여 셀레브로즈 가십 매지션을 소환하였다.

수록 시리즈
2023-11-11 |
파일:일본 국기.svg

RD/KP15-JP009 | 闇黒のレッドリブート
R
레어



3.2.6. 다크니스 팬터마이트[편집]


파일:ダークネス・ファントマイト.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다크니스 팬터마이트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ダークネス・ファントマイト,
영어판명칭=Darkness Phantomit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800, 수비력=0, 종족=환룡족,
조건=자신 묘지의 몬스터(환룡족) 2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9 이하) 1장을 고르고 뒷면 수비 표시로 한다. 그 후\, 상대는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넘기고\, 서로 확인한다. 상대는 넘긴 카드를 좋아하는 순서대로 덱 위로 되돌린다.)]

다크니스 바쿠하무트와 조합하면 원하는 상대 몬스터를 제거 범위에 넣으면서 파괴할 수 있는 카드의 수를 미리 파악할 수 있다. 다만 상대가 순서를 정해서 그냥 덱 위로 돌리기 때문에 딱히 이 카드가 파괴할 카드 수를 올려주진 않는다. 시에스타토레로 같은 사용법도 가능하다. 원작에서는 레벨 8 이하까지만 지정할 수 있었다.

사용자는 무츠바 아사카. 아사카의 카드답게 환룡족을 서포트하며, 폭파 작업을 모티브로 삼은 그녀의 테마 환괴답게 다이너마이트를 의도로 둔 작명이다. 아사카는 환괴룡 바쿠하무트와 이 카드를 퓨전하여 환괴용룡 다크니스 바쿠하무트를 소환하였다.

수록 시리즈
2023-11-11 |
파일:일본 국기.svg

RD/KP15-JP010 | 闇黒のレッドリブート
R
레어



3.2.7. 다크니스 트랜잠 크라이시스[편집]




3.3. 퓨전 몬스터[편집]



3.3.1. 다크니스 갤럭티카 오블리비언[편집]




3.3.2. 다크니스 둠 자이언트[편집]


파일:ダークネス・ドゥーム・ジャイアント.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퓨전=, 효과=,
한글판명칭=다크니스 둠 자이언트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ダークネス・ドゥーム・ジャイアント,
영어판명칭=Darkness Doom Giant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레벨=7, 공격력=2500, 수비력=0, 종족=갤럭시족,
소재="다크니스 드워프" + "몬스터(빛 속성\, 어둠 속성 / 갤럭시족)",
조건=없음,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몬스터(레벨 7\, 8 / 갤럭시족) 1장 또는 "퓨전"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추가로 이 턴\, 몬스터(레벨 8 / 갤럭시족)를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할 경우\, 앞면 표시의 이 카드는 2장 또는 3장분의 릴리스로 할 수 있다.)]

주로 어둠 속성 갤럭시를 서포트해주는 퓨전 몬스터. 일단 효과 자체에는 속성 제약은 없고 소재로 빛 속성도 쓸 수 있으나, 추가 릴리스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레벨 8에는 대부분 어둠 갤럭시가 포진되어 있다.

레벨 7~8 갤럭시를 회수한 뒤 레벨 8 한정으로 최대 3장까지의 릴리스가 되어주는 점에서 같은 팩의 다크니스 트랜잠 크라이시스와 대놓고 같이 쓰라고 나온 카드이다. 또한 회수 대상에 퓨전도 들어가 있고 릴리스 분량이 3장으로 고정된 게 아니라 2장도 될 수 있다는 점에서는 기간토마키아, 테오고니아라는 무거운 퓨전 몬스터를 운용하는 보이드베르그와의 조합도 고려되었다고 할 수 있다.

사실상 드워프 하나만으로는 이득을 보는 게 갤럭티카 오블리비언을 투입한 갤럭시 덱뿐이기 때문에, 그 수혜 범위를 어둠 갤럭시까지 늘려주기 위해서 나온 듯한 카드이다.

수록 시리즈
2023-11-11 |
파일:일본 국기.svg

RD/KP15-JP035 | 闇黒のレッドリブート
N
노멀



3.3.3. 환괴용룡 다크니스 바쿠하무트[편집]




3.4. 마법 카드[편집]



3.4.1. 다크니스 로드[편집]


파일:ダークネス・ロード.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다크니스 로드,
일어판명칭=ダークネス・ロード,
영어판명칭=Darkness Road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없음,
발동효과=이 카드가 필드 존에 앞면 표시인 한\, 서로의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5 이상 / 어둠 속성 / 마법사족)의 공격력은 400 올리고\, 수비력은 1500 내린다.)]

수비력을 극단적으로 낮추는 대신에 공격력을 높은 수치로 올려주는 어둠 속성 마법사족 전용 필드 마법. 어둠 속성 마법사족 대표 어태커인 세븐즈로드 매지션은 정작 단일 속성 덱에서는 효과를 잘 활용할 수가 없는데, 이 카드가 있으면 그 약점을 상당 부분 커버할 수 있다.

능력치 수치는 어느 정도 노린 것으로 보이는데, 400이라는 공격력 상승은 이 효과를 적용받은 매지션과 위치를 블랙 매지션블랙 매지션 걸의 공격력과 같아지게 만든다. 또 1500 수치는 세븐즈로드 매지션의 수비력과 같아 매지션이 이 효과를 적용받을 경우의 수비력은 정확히 0이 된다.

유희왕 SEVENS 90화에서는 오티스오도 유가와의 3차전 듀얼 중 사용. 필드에 계속 남아 공격력을 보조했으나 초마기함 매그넘 오버로드의 효과로 파괴되었다. 다만 세븐즈로드 자신도 이 카드의 효과를 받고 있던 상황이라 공격력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데도 다른 세트 카드 외에 이 카드를 파괴한 이유는 불명.

수록 시리즈
2022-06-04 |
파일:일본 국기.svg

RD/MRP1-JP020 | メガロードパック
N
노멀



4. 미발매 카드[편집]



4.1. 효과 몬스터[편집]



4.1.1. 다크니스 산가[편집]


파일:DarknessSanga-JP-Anime-SV.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다크니스 산가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ダークネス・サンガ,
영어판명칭=Darkness Sanga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레벨=3, 공격력=700, 수비력=0, 종족=마법사족,
조건=덱 맨 위의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이 턴\, 이 카드가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이 카드는 배틀페이즈 중 3번 공격할 수 있다.)]


4.1.2. 다크니스 삼사라[편집]


파일:DarknessSamsara-JP-Anime-GR.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다크니스 삼사라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ダークネス・サンサーラ,
영어판명칭=Darkness Samsara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0, 수비력=0, 종족=파충류족,
조건=자신 묘지의 몬스터(파충류족)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이상) 1장을 고르고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공격 표시는 앞면 수비 표시로\, 수비 표시는 앞면 공격 표시로 한다). 이 턴\, 자신은 몬스터(파충류족 이외)로 공격할 수 없다.)]

사용자는 히라모리 미츠코. 미츠코의 카드답게 파충류족을 서포트하며, 3을 좋아하는 그녀답게 이름에 삼(サン)이 들어가 있다. 미츠코는 엘리트 비밀수사관 미스터리와 이 카드를 퓨전하여 비밀수사장관 미스포츈을 소환하였다.


4.1.3. 다크니스 조인테크 타이란트[편집]




4.2. 마법 카드[편집]



4.2.1. 다크니스 디바인[편집]


파일:DarknessDivine-JP-Anime-SV.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다크니스 디바인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ダークネス・ディバイン,
영어판명칭=Darkness Divin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의 묘지에 몬스터(어둠 속성 / 마법사족)가 4장 이상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공격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1000 내린다.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 어둠 속성 / 마법사족)가 있을 경우\, 추가로 자신은 1장 드로우 할 수 있다.)]


4.2.2. 다크니스 매직 549[편집]


파일:DarknessMagic549-JP-Anime-SV.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다크니스 매직 549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ダークネス・マジック549,
영어판명칭=Darkness Magic 549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상대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이상)가 있고\, 자신 묘지의 몬스터가 몬스터(어둠 속성 / 마법사족)뿐일 경우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자신 묘지에 카드명이 다른 몬스터(어둠 속성 / 마법사족)가 4장 이상 있을 경우\, 추가로 자신은 1장 드로우할 수 있다.)]

유희왕 SEVENS 91화에서는 오티스오도 유가와의 3차전 듀얼 중 사용.

카드명은 '549(고요쿠)'의 고로아와세와 '욕망(強欲(ごうよく)'의 일본어 발음이 같은 것을 이용한 말장난이다. 애니메이션에서도 카미조 타츠히사가 효과를 듣고 나서 이 부분에 태클을 걸었다. 다만 읽을 때도 고요쿠로 읽지는 않고, 애니메이션 기준 평범하게 고욘큐로 읽는다.


4.2.3. 다크니스 싱귤래리티[편집]


파일:DarknessSingularity-JP-Anime-SV.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다크니스 싱귤래리티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ダークネス・シンギュラリティ,
영어판명칭=Darkness Singularity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없음,
발동효과=자신 패의 몬스터(어둠 속성 / 마법사족) 1장과\, 그 몬스터와 레벨이 같은 묘지의 몬스터(어둠 속성 / 마법사족)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앞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4.3. 함정 카드[편집]



4.3.1. 다크니스 리본[편집]


파일:DarknessReborn-JP-Anime-SV.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다크니스 리본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ダークネス・リボーン,
영어판명칭=Darkness Rebor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어둠 속성)가 상대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때\, 덱 위에서 카드 3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몬스터(어둠 속성)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앞면 공격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턴\, 이 효과로 특수 소환된 몬스터는 전투로 파괴되지 않는다.)]


4.3.2. 다크니스 리스트레인[편집]


파일:DarknessRestraint-JP-Anime-SV.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다크니스 리스트레인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ダークネス・リストレイン,
영어판명칭=Darkness Restrai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어둠 속성 / 마법사족)가 있을 경우\, 상대가 몬스터(레벨 7 이상)를 공격 표시로 일반 소환 / 특수 소환 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공격 표시 몬스터를 전부 뒷면 수비 표시로 한다.)]


4.3.3. 다크니스 디스오더[편집]


파일:DarknessDisorder-JP-Anime-SV.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다크니스 디스오더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ダークネス・ディスオーダー,
영어판명칭=Darkness Disorder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상대 턴에\, 마법 카드가 상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몬스터(어둠 속성 / 마법사족)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앞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상대 필드의 모든 앞면 표시 몬스터의 공격력을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원래 수비력]만큼 내린다.)]

유희왕 SEVENS 91화에서는 오티스오도 유가와의 3차전 듀얼 중 사용.


4.3.4. 다크니스 폴트[편집]


파일:DarknessFault-JP-Anime-SV.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다크니스 폴트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ダークネス・フォールト,
영어판명칭=Darkness Fault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의 앞면 표시 몬스터(어둠 속성 / 마법사족)가 공격을 받는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 시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그 공격을 받는 자신 몬스터는 자신이 고른다. 추가로 이 턴\, 공격이 가능한 상대 몬스터는 공격을 해야만 한다.)]


4.3.5. 다크니스 딜[편집]


파일:DarknessDeal-JP-Anime-SV.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다크니스 딜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ダークネス・ディール,
영어판명칭=Darkness Deal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의 몬스터(어둠 속성 / 마법사족)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어둠 속성 / 마법사족) 1장을 고르고 주인의 덱 맨 아래로 되돌린다. 이 턴\, 몬스터끼리의 전투로 자신이 받는 데미지는 대신에 상대가 받는다.)]


5. 관련 카드[편집]



5.1. 매지션 오브 다크세븐즈[편집]


다크니스 제로로그를 퓨전 소재로 하는 퓨전 몬스터


5.2. 레드리부트 인핸스드 부스트드래곤[편집]


다크니스 드레이크를 퓨전 소재로 하는 퓨전 몬스터


5.3. 비밀수사장관 미스포츈[편집]


다크니스 삼사라를 퓨전 소재로 하는 퓨전 몬스터


5.4. 셀레브로즈 가십 매지션[편집]


다크니스 파파라치를 퓨전 소재로 하는 퓨전 몬스터 1


5.5. 셀레브로즈 가십 위치[편집]


다크니스 파파라치를 퓨전 소재로 하는 퓨전 몬스터 2

[1] 환괴용룡 다크니스 바쿠하무트의 경우 화염 속성[2] 유희왕 SEVENS 관련 카드의 경우 마법사족, 그 외에는 유희왕 고 러시!! 관련 카드들로 사용자의 원래 종족에 맞춰진다.[3] 특수 공정을 거쳐 듀얼 직전까지 분자 단위에서 외부와 완전 차단한 덱 케이스에도 끼어드는데, 이에 유히는 흑막은 우리들의 현재 기술력을 아득히 초월하는 존재라며 충격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