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 프로덕션

덤프버전 : (♥ 0)


정식명칭주식회사 네오(Neo Production)
업종명공연 기획업
사업장 소재지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길 55 (대학빌딩) 6층 (우 : 03086)
대표자이헌재
공식 채널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공식 트위터(네오 마케팅)
공식 온라인 판매처

1. 개요
2. 대표 작품
3. 여담
4. 3회 이상 출연 배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공연 제작사.


2. 대표 작품[편집]


연도네오(범네오 포함) 제작
2013글루미데이 / 사의찬미[1]
2014비스티보이즈 / 비스티[2]
도로시 밴드
2016배니싱
어쩌면 해피엔딩[3]
2017슬루스
2018트레인스포팅
2019경종수정실록
2020미스트
샤이닝
2021마지막 사건
와일드 그레이
일리아드
더 라스트맨
2022웨스턴 스토리
2023일라이
타오르는 어둠 속에서
사칠

3. 여담[편집]


  • 매우 잘 퍼주기로 유명하다. 대부분의 네오극들은 매일 포토카드 한 장이라도 관객들에게 증정하기도 하고, 트레인스포팅이 공연될 때는 '동그란 거 데이'엔 영상과 OST를, '네모난 거 데이'엔 악보집, 포토북, 프로그램북 등 다양한 상품들을 증정하기도 했다.
  • 김종구정민, 홍승안이 소속 배우 수준으로 자주 네오극에 출연한다.
  • '더웨이브', '웨이브 스튜디오', '뉴프로덕션'을 운영한다. 다른 제작사들과는 달리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것들이 많아서 제작사 대표인 이헌재의 별명이 '네수르'다. 공식 계정에서도 쓰는 별명이다.
  • 네오극들은 대부분 서사 쪽으로 탄탄하지는 못하다고 평받지만, 배우들이 미친듯이 서사를 채워넣고 매 공연마다 애드립을 다양하게 바꿔오기 때문에[4] 거기에 한 번 꽂히면 회전문을 무한히 돌게 된다.
  • 재관람혜택 증정이나 OST, DVD의 발매가 느리다. 사의 찬미 오연의 경우에는 스튜디오 OST 발매 소식을 낸 지 대략 1년 만에 냈으며[5], 샤이닝의 증정 영상은 총막한 지 반 년만에 증정 가능 소식을 알렸다. 보통 밀린 것들을 한 번에 공지하기 때문에 갑자기 네오극들의 공식 계정에서 알림이 몰려올 때가 있다. 그렇다는 건 드디어 존버 성공했다는 뜻이니 기뻐하도록 하자. 2023년 현재, 드디어 비스티 2020년 판 DVD 판매예정 공지가 올라왔다.

4. 3회 이상 출연 배우[편집]


배우네오 제작범네오[6] 제작출연극 개수
※네오 계열 제작사가 아닌 타 제작사 제작은 포함하지 않는다.
김종구비스티, 사의 찬미, 슬루스, 배니싱, 트레인스포팅경종수정실록, 미스트, 마지막 사건, 일리아드, 웨스턴 스토리10개
정민도로시 밴드, 비스티, 사의 찬미, 배니싱, 트레인스포팅경종수정실록, 미스트, 마지막 사건, 와일드 그레이, 더 라스트맨10개
홍승안비스티, 트레인스포팅, 사의 찬미경종수정실록, 마지막 사건, 와일드 그레이, 일라이, 타오르는 어둠 속에서8개
에녹사의 찬미, 배니싱경종수정실록, 샤이닝, 와일드 그레이, 웨스턴 스토리6개
정동화비스티, 슬루스, 사의 찬미경종수정실록, 더 라스트맨5개
주민진배니싱, 비스티, 사의 찬미경종수정실록, 더 라스트맨5개
배나라사의 찬미, 배니싱와일드 그레이, 웨스턴 스토리, 일라이5개
김찬종배니싱, 비스티, 사칠마지막 사건4개
고상호사의 찬미, 비스티, 트레인스포팅-3개
기세중배니싱일라이, 와일드 그레이3개
김려원사의 찬미미스트, 더 라스트맨3개
노윤배니싱일라이, 타오르는 어둠 속에서3개
박정원비스티경종수정실록, 타오르는 어둠 속에서3개
성태준사의 찬미경종수정실록, 샤이닝3개
손유동트레인스포팅, 비스티미스트3개
신성민글루미데이경종수정실록, 웨스턴 스토리3개
정문성어쩌면 해피엔딩, 슬루스, 사의 찬미-3개
홍기범비스티, 사칠일라이3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9 08:32:13에 나무위키 네오 프로덕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5년 삼연부터 '사의찬미'로 극명 변경[2] 2016년 트라이아웃부터 '비스티'로 극명 변경[3] 현재 CJ E&M에서 판권을 소유하고 있고, 초연에 대명과 공동 제작한 것이기 때문에 대표 작품이라고 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는 편. 배니싱이나 비스티는 곧바로 네오작이라고 떠올리는 편이나 어햎은 네오작이라고 떠올리는 덕들이 별로 없기도 하다.[4] 특히나 비스티가 그런 편이다.[5] 많은 연뮤덕들이 늦은 발매 때문에 VS 놀이를 하곤 했다. 예를 들어 'OO극 캐스팅 발표 VS 사찬 OST 판매 소식'으로 어떤 게 더 빠를지 글을 올리면 사찬이 더 느릴 거라는 의견이 대다수였고, 대부분 현실이 되었다..[6] 뉴프로덕션, 더웨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