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나폴레옹(영화)

덤프버전 :


리들리 스콧 감독 장편 연출 작품




한국 개봉일까지D189

An Apple Original Film
나폴레옹 (2023)
Napoleon
파일:나폴레옹 메인 포스터.jpg
북미 포스터 ▼
파일:나폴레옹 해외 포스터.png
장르전기, 역사, 전쟁
감독리들리 스콧
각본데이비드 스카파[1]
제작리들리 스콧
케빈 J. 월시
호아킨 피닉스
마크 허팜
출연호아킨 피닉스
바네사 커비
타하르 라힘
촬영다리우스 볼스키
편집클레어 심슨
샘 레스티보
미술아서 맥스
의상데이비드 크로스만
잔티 예이츠
음악마틴 핍스
음향제임스 해리슨
폴 매시
윌리엄 밀러
올리버 타니
레이첼 테이트
제작사Apple Studio
스콧 프리 프로덕션
컬럼비아 픽처스
배급사파일:미국 국기.svg 컬럼비아 픽처스
파일:external/cdn3.iconfinder.com/globe-01-512.png 소니 픽처스 릴리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소니 픽처스 코리아
개봉일파일:미국 국기.svg 2023년 11월 2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12월 6일
화면비2.39:1
독점 스트리밍
Apple TV+

상영 시간158분 (2시간 38분 1초)[극장판]
250분 (4시간 10분)[감독판][2]
상영 타입2D | 4DX | IMAX | ScreenX | Dolby Cinema
제작비1억 3,000만 달러
북미 박스오피스$
월드 박스오피스$
대한민국 총 관객 수 (기준)
상영 등급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R등급 로고.svg

1. 개요
2. 공개 전 정보
3. 포스터
4. 예고편
4.1. 기타 영상
5. 시놉시스
6. 등장인물
7. 평가
8. 흥행
9. 기타



1. 개요[편집]


소니픽쳐스에서 배급하는 영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일생을 그리는 영화이다.


2. 공개 전 정보[편집]



  • 6개의 전투 장면이 등장한다고 한다.[4] #


  • 2022년 1월 촬영을 시작했다.

  • 2022년 1월경 영화 제목이 'Kitbag(킷백)'에서 Napoleon(나폴레옹)으로 바뀌었다. #

  • Production Weekly에 따르면 2022년 1월 17일부터 4월까지 몰타 공화국, 영국, 프랑스에서 촬영을 진행한다고 한다. #


  • 5월 촬영을 끝내고 편집 작업에 들어갔다.

  • 최근 테스트 상영회가 있었고 미리 시청한 이들의 반응은 '명작'이라고 한다. #

  • 리들리 스콧이 호아킨 피닉스는 직감을 믿는 배우라 각본에 끊임없이 의문을 제기했으며 각본을 다시 썼다고 한다. #

  • 2023년 4월 3일 발표에 의하면, Apple TV+ 스트리밍 전 당년 11월 22일에 극장에서 먼저 공개된다. # 극장 배급은 소니 픽처스가 맡는다.


3. 포스터[편집]


파일:나폴레옹 영화 해외 포스터.jpg
파일:나폴레옹 해외 포스터.png
티저 포스터메인 포스터
한국 포스터 ▼

파일:나폴레옹 티저 포스터 최종.jpg
파일:나폴레옹 메인 포스터.jpg
티저 포스터메인 포스터


파일:영화 나폴레옹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포스터.jpg
파일:영화 나폴레옹 조제핀 드 보아르네 포스터.jpg
캐릭터 포스터
한국 포스터 ▼

파일:나폴레옹 보나파르트 포스터.jpg
파일:조제핀 드 보아르네 포스터.jpg
캐릭터 포스터



4. 예고편[편집]


북미 1차 예고편[5]

북미 2차 예고편[6]

국내 티저 예고편[7]

국내 메인 예고편[8]


4.1. 기타 영상[편집]


리들리 스콧 감독의 작품 소개 영상


5. 시놉시스[편집]


스스로 황제가 된 영웅!

1793년 혁명의 불꽃이 프랑스 전역을 밝히기 시작한다.

코르시카 출신의 장교 '나폴레옹'(호아킨 피닉스)은

혼란스러운 상황 속 국가를 위해 맞서며 영웅으로 떠오른다.

한편, 사교 파티에서 영웅 ‘나폴레옹’을 만난 '조제핀'(바네사 커비)은

자신의 운명을 바꾸기 위해 ‘나폴레옹’을 선택하고

‘나폴레옹’은 마침내 스스로 황제의 자리에 오르게 된다.

하지만, ‘조제핀’은 계속해서 ‘나폴레옹’을 흔들고,

‘나폴레옹’의 야망은 ‘조제핀’과 끝없이 충돌하는데…

세상을 정복한 영웅 아무것도 갖지 못한 황제,

‘나폴레옹’의 대서사가 펼쳐진다!



6. 등장인물[편집]




7.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
기자·평론가
? / 10
관람객
/ 10
네티즌
없음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나폴레옹+평점|

기자·평론가
? / 10
관람객
/ 10
네티즌
없음 / 10
]]
평점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 10






8. 흥행[편집]




8.1. 대한민국[편집]




8.2. 북미[편집]



9. 기타[편집]











그러나 해당 홍보글은 공개되자 인터넷 커뮤니티에 '영화 보기 싫어지게 하는 홍보'로 알려지며 혹평을 받았는데 영화 본편의 내용도 없고 구닥다리 홍보라는 것이다. 홍보글에는 영화 내용에 관한 설명은 없이 영화의 한 장면에 '스케일 미쳤구형, 극장에서 만나 형'이라는 문구를 넣거나, 또는 호아킨 피닉스가 나폴레옹으로 분장한 채 앉아있는 포스터에 '으아 인기에 취한 드아' 같은 문구를 삽입하는 등 영화 분위기와 동떨어진 문구들을 집어넣어서 많은 사람들의 어이를 상실하게 했다.# 이게 하도 어처구니 없는 마케팅이라면서 웹상에 널리 퍼지는 바람에 "사실 소니 픽쳐스의 노이즈 마케팅이 아니냐?"라고 의심하는 사람들도 있었을 지경이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8 05:29:57에 나무위키 나폴레옹(영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리들리 스콧의 전작 올 더 머니의 각본을 맡았다.[극장판] [감독판] [2] 극장판 개봉 이후 Apple TV+ 통해 공개 예정[3] 등급분류 결정내용: 애정행위를 하는 남자의 전라 뒷모습, 노출없는 성행위 장면 묘사로 선정성의 수위가 다소 높고, 단두대 처형 장면, 전투 장면, 시위하는 군중을 향해 포탄을 발사하는 장면 등 유혈과 신체훼손을 동반한 폭력 장면이 몇 차례 표현되어 폭력성 및 공포의 수위가 다소 높으나 구체적이거나 지속적으로 표현되지 않아 15세이상관람가
(내용정보 표시항목: 파일:영등위_선정성_2021.svg파일:영등위_폭력성_2021.svg파일:영등위_공포_2021.svg)
[4] 예상되는 전투로는 나폴레옹 시대를 대표하는 툴롱(첫 활약), 이집트 원정, 마랭고(알프스), 아우스터리츠(최대 승리), 러시아 원정(결정적 참패), 그리고 워털루(마지막 전투) 등이 있다. 이들 가운데 툴롱, 이집트, 아우스터리츠, 워털루 4개 전투는 예고편에도 등장했다.[5] 예고편 중간에 나오는 곡은 라디오헤드The National Anthem.[6] 예고편 중간에 나오는 곡은 블랙 사바스War Pigs.[7] 북미 1차 예고편에서 40초 정도 자르고 3초 정도 새로운 장면이 삽입된 버전이다.[8] 북미 2차 예고편에서 30초 정도 잘린 버전이다.[9] 다만 파업의 경우 11월 9일 공식적으로 종료되었기에 프로모션은 문제없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10] 나폴레옹 문서의 대중 매체 항목에도 나오지만, 1927년작 무성영화가 본작의 두 배 이상 러닝타임인 330분을 들이고도 그의 일생 전반을 다루지 못했고 프랑스에선 아예 2002년에 좀 더 긴 러닝타임을 확보할 수 있는 드라마로 만들었다.[11] 프랑스 혁명으로 첫 남편인 알렉산드르와 함께 감옥에 갇혀 있다가 테르미도르 반동 당시 갓 빠져나온 상황으로 보인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