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트기어 RF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겟앰프드2/스타일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강철전기 C21/기체 목록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코즈믹 브레이크 유니버설/로봇/목록


ナイトギアRF / Knightgear RF

파일:c21나이트기어RFtop.jpg

1. 개요
3.1. 정보
3.2. 설명
3.3. 입수 방법
3.4. 시연, 플레이 영상
4.1. 정보
4.2. 설명
4.3. 입수 방법
5. 관련, 파생 캐릭터
6. 기타



1. 개요[편집]


사이버스텝겟앰프드2코즈믹 시리즈에 등장하는 로봇 캐릭터.

RF는 레이드 프레임(レイドフレーム)의 약자.


2. 겟앰프드2[편집]


파일:GA2_knightgear_raid.png

장착시킨 파츠에 따라 스테이터스가 변화하는 변화무쌍 스타일

데뷔작. 적색 타입녹색 타입과 달리 유일하게 공식 일러스트가 없다. 나이트기어(청) 다양한 파츠(꾸밈 아이템)를 골라서 조립하여 능력치를 강화시킬 수 있는 컨셉의 스타일이다.

일본 겟앰프드2의 서비스 종료 후 아래에 후술할 코즈믹 시리즈에 나이트기어 이식 프로젝트라는 콜라보 이벤트로 출시되었다.


3. 강철전기 C21[편집]


파일:c21나이트기어RFspot.png

ディメンションフライヤーを身に着けたナイトギアがコズミック・ルネッサンスに参戦!複数のビットを空間演算処理を操り、多弾射撃で敵を翻弄する

디멘션 플라이어를 착용한 나이트기어가 코즈믹 르네상스에 참전! 복수의 비트를 공간 연산 처리로 조종, 다탄 사격으로 적을 농락한다.



3.1. 정보[편집]


사이즈XL타입공전총 중량145.0t초기 잠재능력A+

레벨130507090레벨130507090
코스트10652660538071009585EN 회복량164179194201207
HP405056907565850010200EN63508910118401330015860
사격121149182198217격투99127160176193
보행154162170174179보행 제한244.0t249.5t255.5t258.5t267.0t
비행154166178184190비행 제한244.0t249.5t255.5t258.5t267.0t
점프력200220---
물리 방어6083108120-빔 방어110136166180-
화염 방어7093118130-전격 방어110136166180-
안전성99125156170188
슬로우 내성4%8%10%--프리즈 내성4%8%10%--

디멘션플라이어BS@ 메인113~141~176~220~242디멘션플라이어BS@2 서브105~131~164~205~226

스펙큘럼슬러스터BS 메인462~577~722~902~992스펙큘럼슬러스터BS 서브1382~1728~2160~2700~2970

  • 파츠 구성
나이트기어RF LGx1
나이트기어RF BDx1
나이트기어RF HDx1
디멘션플라이어BSx1
디멘션플라이어BS@[BS]x1
디멘션플라이어BS@2[BS]x1
나이트기어RF AMx2

3.2. 설명[편집]


2021년 2월 18일에 출시. 나이트기어 형제중 무장 숫자가 가장 적다.

  • 디멘션플라이어BS@ 메인: 빔라이플. 빔 속성. 양측 비트에서 파란색 빔 라이플을 초고속으로 연사한다.
  • 디멘션플라이어BS@2 서브: 건 비트. 빔 속성. 4개의 비트를 소환하여 근처의 적을 공격하게 만든다.

겸사겸사 스페큘럼슬래스터BS도 서술한다. 참고로 무장 이외의 BS 자체의 성능은 디멘션플라이어와 최종 성능이 매우 비슷하다.
이쪽은 이벤트에서 시작형을 10개 모아서 합성하는 것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 스페큘럼슬래스터BS 메인: 빔라이플. 빔 속성. 적을 관통하는 푸른색 전격탄 형상의 빔탄을 발사하는 2연장 사격무기
  • 스페큘럼슬래스터BS 서브: 태클. 빔 속성. 방향키를 누른방향으로 태클하면서 이동한다. PVE보정 +80%

3.3. 입수 방법[편집]


  • 마니모de가챠SP


3.4. 시연, 플레이 영상[편집]




4. 코즈믹 브레이크 유니버설[편집]


파일:나이트기어RF_CBUNI.png

Knightgear frame equipped with a propulsion flight engine. Manipulate the properties of space and confuse the enemy with unexpected attacks!

추진 비행 엔진을 탑재한 나이트기어 프레임. 공간의 속성을 조작하고 예상치 못한 공격으로 적을 혼란시켜라!



4.1. 정보[편집]


  • 초기 성능
타입사이즈코스트최대 코스트HPSTRTECWLKFLYTGH
공중M865945385621102614

  • 파츠 구성
부위타입사이즈코스트HPSTRTECWLKFLYTGH
BD---------
LG---------
HD---------
BS---------
AM---------

  • 무장 구성
이름종류코스트/내장위력범위속도간격
--------
--------
--------

이름코스트비고
레벨 0
캐퍼시티 업 +8020HP 14. 6회
내장무기 강화30최대 코스트 65. HP 15. 2회
브로드 레이더50-
스텔스 시스템40-
레벨 6
레벨 9

  • 필요 경험치
레벨12345678910
2705408101080135016201620189021602430


4.2. 설명[편집]


M사이즈 공중형으로 등장한다. 특이하게도 모든 파츠가 공중형만 장착 가능하다. 또한 콜라보 로봇 캐릭터라서 그런지 나이트기어 형제들은 공통적으로 HD 파츠 폴리곤 편집이 불가능하다.

BD 서브: 리그니션. 방향키와 같이 사용하면 해당 방향으로 대시하고, 그냥 사용하면 뒤로 대시한다. 대시 방향이 카메라를 기준으로 하지 않고 기체가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좌우로 비행하는 도중에 사용하면 뒤로 대시하고, 뒤로 비행하는 도중에 사용하면 앞으로 대시한다. 사용 시 비행 게이지를 50% 회복한다.

디멘션 플라이어 BS@ 메인: 빔 라이플. 위력이 3으로 매우 낮지만 탄수와 연사력이 높다.

디멘션 플라이어 BS@2 서브: 슛 스텝.

종합적인 성능은 매우 약한 편. 빔 라이플과 슛 스텝 모두 명중률이 낮다. 또한 두 무장이 BS에 내장된 게 아니라 BS에 추가로 장착된 파츠에 내장되어 있는데 이 파츠들은 튠 슬롯이 없어서 튠업이 불가능하므로, 튠업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없다. 30RT 값을 못하는 기체이므로 애정이 아닌 이상 비추천.

그나마 쓴다면 BS만 떼다가 프랙탈리스를 잡는 기체를 만들 때 쓸 수 있다. 연사력이 매우 높기 때문. 다만 위력이 낮아 TEC가 40이 되어도 파워 스팟에 대미지를 못 주니 스팟 테러용 기체를 만들 때는 쓸 수 없다.


4.3. 입수 방법[편집]




5. 관련, 파생 캐릭터[편집]





6. 기타[편집]


나이트기어 RF가 착용하고 있는 무기 파츠인 디멘션 플라이어는 원래 겟앰프드2의 액세서리. 나이트기어 이식 프로젝트 때 나이트기어 RF에게 이식할 액세서리 후보중 득표율 1위를 차지하여 선택받은 것이다.

디멘션 플라이어 외에 액세서리 후보는 스페큘럼슬래스터, 프리드 어벤저가 있었다.

위의 목록중 스페큘럼슬래스터는 액세서리 후보 득표율에서는 패배했지만 따로 착용 가능한 BS 파츠로 출시되었다. 메인 무장, 서브 무장 모두 존재. 프리드 어벤저는?

겟앰프드2에서는 다른 형제기(PF, HF)들과는 달리 유일하게 이 녀석을 베이스로 한 지명수배자가 없다.[1]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겟앰프드2/스타일 문서의 r25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겟앰프드2/스타일 문서의 r25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8 01:11:33에 나무위키 나이트기어 RF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BS] A B 디멘션플라이어BS 고정 파츠. 파츠수로 카운트 하지않음.[1] PF는 코만도 기어(B급), 델타 코만도(S급)가 존재하며, HF는 포트리스(A급)가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