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죽여줘(영화)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킬 미 나우

나를 죽여줘 (2022)
Kill me now
파일:영화_나를_죽여줘_포스터.jpg
장르
드라마
감독
최익환[1]
각본, 각색
최익환, 손태겸
원작
브레드 프레이저 극본의 연극 킬 미 나우
제작
김진수[2], 윤철민, 전려경, 최익환
주연
촬영
추경엽
조명
추경엽
편집
왕성익
음악
김선
미술
이하나
의상
서가현
분장
서가현
동시녹음
서지훈
음향
박주강
무술
권지훈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영화사이다, 환상의 빛(공동제작)
투자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영화사이다, 쏠레어파트너스(공동제공), 트리플픽쳐스(공동제공)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트리플픽쳐스(극장 배급), 질리언뷰(디지털 배급)
개봉일
파일:jiff_logo.png 2021년 4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10월 19일
화면비
1.85:1
상영 시간
119분
대한민국 총 관객 수
상영 등급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5. 원작과의 차이
6. 삽입곡
7. 평가
8. 흥행
8.2. 기타 국가
9. 수상
10. 기타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드라마 영화. 한국에서는 2022년 10월에 개봉했다. 감독은 최익환이고, 장현성, 안승균, 이일화, 김국희, 양희준 등이 출연했다. 브레드 프레이저 극본의 연극 킬 미 나우가 원작이다. 초기 제목은 '마이썬'이었고, 정식 개봉 시에 '나를 죽여줘'라는 제목으로 개봉했다.


2. 예고편[편집]


전주국제영화제 버전 예고편티저 예고편
30초 예고편메인 예고편


3. 시놉시스[편집]


"나한텐 심각한 장애를 가진 아들이 있어"

작가로서의 삶을 포기한 채 선천적 지체장애를 가진 아들 현재를 돌보고 있는 민석. 소년에서 성인이 되어가는 현재가 장애인 활동지원사인 기철과 독립을 꿈꾸며 민석과 갈등을 빚게 된다. 그러던 어느 날 예기치 못한 사고로 민석의 몸에 이상이 생긴 것을 알게 되고, 현재와 가족들의 일상이 변하게 되는데….

"아빠는 점점 죽어가고 있어…."

올 가을, 보통의 평범한 일상이 힘든 모든 이들을 위한 영화가 온다!

#장애 #성(性) #존엄사 #가족

출처: 다음 영화



4. 등장인물[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아들 현재를 돌보는 아버지. 원작의 제이크 스터디. 현재가 태어나기 전 '봄으로 흐르는 강'이라는 제목의 소설을 내고 꽤나 잘 나갔지만, 아들이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지라 돌보는 와중에 글쓰기는 접게 된다.

선천적 지체장애를 가진 아들. 원작의 조이 스터디. 거동이 불편하고 말이 좀 어눌하지만 인지는 일반인과 똑같은 수준이다. 기철과 함께 독립하고 싶다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

민석의 애인. 꽃집을 운영하고 있다. 원작의 로빈 디토나. 남편은 육군에서 복무하는 군인이지만, 민석을 보기 위해 자주 군부대 밖으로 외출한다.

민석의 동생. 원작의 트와일라 스터디. 버스 기사로 일하면서 오빠와 조카를 돌보느라 자신의 사생활을 돌볼 겨를이 전혀 없어 욕구불만이 있는 상태다.

태아알코올증후군에서 비롯된 정신장애가 있는 장애인 활동지원사. 원작의 라우디 에이커스. 대물이라는 것에 자신감이 넘치고, 어떻게든 여자와 자보려는 호색한.

※ 원작 인물에 대한 정보는 아래 링크 참조.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킬 미 나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원작과의 차이[편집]


  • 배경이 한국이고, 모든 인물은 한국인으로 설정되었다.
  • 원작에서 제이크 스터디가 쓴 책의 제목은 '춤추는 강'이고, 영화에서는 '봄으로 흐르는 강'이다. 단, 원작의 '모든 아이는 완벽한 존재다.' 문장은 영화에서도 그대로 나온다.
  • 원작에서 아마추어 작가로 글쓰기 수업에서 제이크 스터디와 만남을 이어가는 로빈 디토나와는 달리, 수원은 꽃집을 운영하고 있다.

6. 삽입곡[편집]


Down by the Sally Gardens(아일랜드 민요)[3]


7.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순위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영화코드|
기자·평론가
전문가평점 / 10
관람객
관람객 평점 / 10
네티즌
네티즌 평점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전문가평점 / 10
관람객
관람객 평점 / 10
네티즌
네티즌 평점 / 10
]]
평점 관람객 평점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네티즌 평점 / 10


















장애의 벽을 허무는 이야기


캐나다 작가 브레드 프레이저의 연극 <킬 미 나우>를 영화화했다. 지체 장애를 가진 아들을 돌보던 아버지가 불치병에 걸리면서 벌어지는 가족의 이야기를 그렸다. 장애인의 성부터 돌봄과 자립, 그리고 존엄사 문제까지 가족극 안에 묵직한 화두를 무겁지 않게 녹여냈다. 주인공 부자뿐 아니라 한 지붕 아래 함께 사는 구성원들의 사연도 주제에 힘을 보탠다. 연극에 이어 아버지를 연기한 장현성을 비롯해 안승균, 이일화, 김국희, 양희준 등 배우들의 열연이 이해와 공감을 끌어낸다.

- 정유미#영화 평론가 (★★★)


배우, 카메라, 연출의 힘으로 무대 위 감흥이 고스란히

- 김수영 (★★★)


아름다운 클로즈업, 겨울을 지나 봄을 그리다

- 이용철 (★★★☆)



8. 흥행[편집]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개봉일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기준일
전 세계(최초개봉일)$(세계누적)(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북미미정미개봉미정
미정미개봉미정
미정미개봉미정


8.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명-명미집계-원-원
1주차20XX-XX-XX. 1일차(수)-명-명-위-원-원
20XX-XX-XX. 2일차(목)-명-위-원
20XX-XX-XX. 3일차(금)-명-위-원
20XX-XX-XX. 4일차(토)-명-위-원
20XX-XX-XX. 5일차(일)-명-위-원
20XX-XX-XX. 6일차(월)-명-위-원
20XX-XX-XX. 7일차(화)-명-위-원
2주차20XX-XX-XX. 8일차(수)-명-명-위-원-원
20XX-XX-XX. 9일차(목)-명-위-원
20XX-XX-XX. 10일차(금)-명-위-원
20XX-XX-XX. 11일차(토)-명-위-원
20XX-XX-XX. 12일차(일)-명-위-원
20XX-XX-XX. 13일차(월)-명-위-원
20XX-XX-XX. 14일차(화)-명-위-원
3주차20XX-XX-XX. 15일차(수)-명-명-위-원-원
20XX-XX-XX. 16일차(목)-명-위-원
20XX-XX-XX. 17일차(금)-명-위-원
20XX-XX-XX. 18일차(토)-명-위-원
20XX-XX-XX. 19일차(일)-명-위-원
20XX-XX-XX. 20일차(월)-명-위-원
20XX-XX-XX. 21일차(화)-명-위-원
4주차20XX-XX-XX. 22일차(수)-명-명-위-원-원
20XX-XX-XX. 23일차(목)-명-위-원
20XX-XX-XX. 24일차(금)-명-위-원
20XX-XX-XX. 25일차(토)-명-위-원
20XX-XX-XX. 26일차(일)-명-위-원
20XX-XX-XX. 27일차(월)-명-위-원
20XX-XX-XX. 28일차(화)-명-위-원
합계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4]


8.2. 기타 국가[편집]




9. 수상[편집]


연도영화제/시상식섹션/부문수상내역비고
2021제42회 더반국제영화제Features남우주연상(안승균), 최고의 스크린플레이
2023제10회 들꽃영화상극영화 감독상(최익환)


10. 기타[편집]




[1] 여고괴담의 조감독, 여고괴담 4 - 목소리의 감독.[2] 출처[3] 영화에서는 인디언수니가 부른 노래가 삽입되었다.[4] ~ 20XX/XX/XX 기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