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록, 100년을 탐험하다

덤프버전 : (♥ 0)

파일:mbc_기억록.png
홈페이지

1. 개요
1.1. 프로그램 소개
2. 방영 목록
2.1. 2018년
2.2. 2019년 상반기
2.3. 2019년 하반기
3. 평가



1. 개요[편집]


3.1 운동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가 공동으로 기획하고 MBC에서 제작된 100부작 캠페인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다. 캠페인 영상으로는 매주 월요일 2편씩 공개되었으며 TV에는 매주 토요일 밤 8시 50분에 방송되었다.


1.1. 프로그램 소개[편집]


'당신은 어떤 나라에 살고 싶습니까?\'

100년 전 그들이 오늘의 우리에게 던지는 100개의 화두.

3.1 운동, 임시정부 수립부터 전쟁과 분단, 산업화와 민주주의까지.

'내가 살고 싶은 나라'를 만들어온 대한민국 100년을 기억하여 기록하다.



2. 방영 목록[편집]



2.1. 2018년[편집]


회차공개 일자주제출연영상
프롤로그2018.12.24'시와 힙합'이 만났을 때비와이#[1]
12018.12.31이름 없는 아무개를 기억해주세요김연아#[2]


2.2. 2019년 상반기[편집]


회차공개 일자주제 인물출연영상
22019.1.7[3]유관순김연아#[4]
32019.1.14김향화신혜선#
42019.1.21김원봉신하균#
52019.1.28남자현이순재#
62019.2.4이회영성동일#
72019.2.11안중근이제훈#
8박자혜김향기#
92019.2.18김상덕손현주#
10윤동주이준익#
112019.2.25김마리아김현주#
12손병희손준호#
132019.3.43.1 만세운동 참가자김소현#[5]
14심훈한현민#
152019.3.11이태영오연서#
16김명시송소희#
172019.3.18조영래정재영#
18이우정이하나#
192019.3.25김상옥송지효#
20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장윤주#
212019.4.1문형순알리#
22홍순창김보라#
232019.4.8김구조진웅#
24조소앙최원영#
252019.4.15함석헌류덕환#
26권찬주김연우#
272019.4.22손정도김동완#
28정정화이원일#
292019.4.29윤봉길저스트 절크#[6]
30방정환이상엽#
312019.5.6문익환정진영#
32강주룡이요원#
332019.5.14윤상원심용환[7]#
34안병하한혜진#
352019.5.21한용운비와이#
36장준하진선규#
372019.5.26전형필정형석#[8]
382019.5.28김경숙최희서#
392019.6.3최운산국카스텐#
40윤희순이성경#
412019.6.10박종철김윤석#
42이한열장준환#
432019.6.17조신성윤다인[9]#
44권기옥고효주#
452019.6.24최은희장영남#
46박차정진종오#


2.3. 2019년 하반기[편집]


회차공개 일자주제 인물출연영상
472019.7.1전태일제바[10]#
48서서평다니엘 린데만#
492019.7.8김병로김병철#
50정세권배두나#
512019.7.15임종국김영옥#
52신채호김강우#
532019.7.22양우조&최선화김슬기#
54장기려조재윤#
552019.7.29이상룡손병호#
56홍범도유해진#
572019.8.5박경식이소연#
58김순애안현모#[11]
592019.8.12여운형손정은#
60광복 74주년: When The Day Comes제이블랙#
612019.8.19김순길박진주#
62김수환김해숙#
632019.8.26김학순김아랑#
64김창숙유병재#
652019.9.2차미리사전효성#
66안창호김설진#
672019.9.9박은식이희준#
68신규식진구#
692019.9.16강우규김칠두#
70최현배최현우#
712019.9.23조만식서장훈#
72이육사이청아#
732019.9.30박경리김선영#
74최민식최불암#
752019.10.7최능진김상중#
76주시경박성훈#
772019.10.14최준정상훈#
78김홍일박기웅#
792019.10.21채의진[12]브로콜리 너마저#
80리영희허일후#
812019.10.28백초월이희문#
82조봉암박원상#
832019.11.4이종욱곽동연#
84김남주권해효#
852019.11.11조명하호사카 유지#
86강은기이승준#
872019.11.18박두성손숙#[13]
88이소선정경미&윤형빈#
892019.11.25박병선서경석#
90다우치 치즈코소유#
912019.12.2이학찬송은이#
922019.12.9최동원허구연#
93정일우성유리#
942019.12.16권정생박연경#
95신영복변진섭#
962019.12.23김광석홍경민#
97김기석, 장석찬, 박동규, 김철홍, 박준우, 박상옥[14]김은희&장항준#
98김염이민정#
992019.12.301919-2019 청년양희은#
100모두의 역사소향#


3. 평가[편집]


유관순이나 김향화는 목적과 부합하더라도 김원봉은 인물선정에 있어 어울리지 않는 평가를 내릴 수 있다. 그의 광복 이후 행적을 논외로 치더라도 인물 선정이 3.1 운동이나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부합하지 않는 인물을 선정했는데, 김원봉은 민족혁명당을 만드는 과정에 있어 임시정부 폐지운동을 전개하기도 하였고, 임정에 합류도 자의에 의한 임정 합류가 아닌 한국광복군 창설과 중국측의 지원 중단과 압력의 사유이기 때문이다.

즉, 독립 운동여부나 개인의 행적이 평가가 안 맞는게 아니라, 프로젝트 자체가 임정 수립 100주년 기념인데 정작 임정에 반했던 인물을 골랐다는게 맞지 않다는 것. 하지만, 임정과 직접적인 관련보다는 임정이 가진 대한의 독립 의지와 관련된 인물을 뽑았다고 보는게 맞다.

여담이지만, 기억록의 독립운동가 역할을 하신 각 배우의 얼굴과 싱크로율이 높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17:12:39에 나무위키 기억·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특별판 - 코레아 우라: 대한독립 만세[2] 송출판에서는 김연아 인터뷰와 유관순편 메이킹 필름이 추가되었다.[3] 2018년 12월 31일자 뉴스데스크에서 선공개되었다. 25분 8초부터.[4] 메이킹 필름[5] 메이킹 필름: 대한의 독립을 함께 외쳐주세요![6] 메이킹 필름[7] 역사학자[8] 메이킹 필름[9] 일루전 아티스트[10] 그래피티 아티스트.[11] 음성부분이 영어로 되어있다.[12] 문경 양민 학살사건 생존자[13] 수어가 포함되어 있다.[14] 2001년 홍제동 화재 사건으로 순직한 소방공무원 6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