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믹 퍼핏/OCG화되지 않은 카드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기믹 퍼핏


1. 개요
2. 효과 몬스터
2.1. 기믹 퍼핏-베이비 페이스
2.2. 기믹 퍼핏-스케어크로우
2.3. 기믹 퍼핏-킬러 나이트
3. 마법 카드
3.1. 어택 기믹
3.2. 데스티니 스트링스
3.3. 자동기계의 패
3.4. 기믹 실드
3.5. 트라이앵글 기믹 박스
3.6. 기믹 벤젠스
4. 함정 카드
4.1. 리페어 퍼핏
4.2. 기믹 박스
4.3. 엔젤 스트링스



1. 개요[편집]


기믹 퍼핏 문서에서 OCG화 되지 않은 카드 관련 내용을 분리한 문서


2. 효과 몬스터[편집]



2.1. 기믹 퍼핏-베이비 페이스[편집]


파일:external/uploads1.yugioh.com/Gimmick-Puppet---Babyface.jpg

한글판 명칭기믹 퍼핏-베이비페이스
일어판 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ベビーフェイス
영어판 명칭Gimmick Puppet Princess
효과 몬스터
레벨속성종족공격력수비력
1기계족00
전투에 의해서 파괴된 이 카드가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고, 이 카드를 전투에 의해서 파괴한 몬스터가 상대의 묘지에 존재할 경우,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이 카드를 게임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이 카드를 파괴한 몬스터 1장을 상대 묘지에서 상대 필드 위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토도로키 타카시&타케다 테츠오와의 듀얼에서 1장을 세트해 두나 테츠오의 양철의 대공의 효과로 공격 표시가 되어 전투 파괴당했을 때 리페어 퍼핏으로 덱에서 이 카드를 1장 더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직후 양철의 대공의 효과로 또 공격 표시가 되고 토도로키의 백신게일의 공격을 받자 기믹 박스로 전투 데미지를 막는다.

자이언트 킬러의 효과로 파괴된 양철의 대공과 백신게일을 각각 자기 효과로 되살린다.

의외로 일러스트는 꽤 정상적으로 생겼고, 빛 속성이다. 하지만, 속성도 따로 놀고, 레벨도 1인데 조정 효과도 없어서 썩 좋진 않다.

그나마 있는 효과 역시 발동 조건이 엄청 까다로우면서 실속이 전혀 없다. 전투에 의해 파괴되어야 한다는 시점부터 상대에게 의존하거나 공격력이 0인 이 몬스터를 상대에게 들이박아야 하기 때문에 많은 리스크를 감수해야 하며, 거기에 이 카드를 전투로 파괴한 몬스터가 상대 묘지에 있어야 하므로 상대가 그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기를 기다리거나, 따로 상대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야 한다. 이런 고생을 해서 발동 조건을 해결해도 발동할 수 있는 효과는 상대 몬스터를 아무런 디메리트 없이 상대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는 것. 기본적으로 이쪽이 크게 손해만 보는 효과다. 원작처럼 다른 카드와의 콤보를 생각하기엔 효과 발동 조건이 복잡해서 어렵다.

파일:gimmick puppet princess.jpg
유희왕 VRAINS 99화에서 아바타로 깜짝 출연했다.


2.2. 기믹 퍼핏-스케어크로우[편집]


파일:external/uploads2.yugioh.com/Gimmick-Puppet-Scarecrow.jpg

한글판 명칭기믹 퍼핏-스케어크로우
일어판 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スケアクロウ
영어판 명칭Gimmick Puppet Scarecrow
효과 몬스터
레벨속성종족공격력수비력
4어둠기계족8002000
앞면 공격 표시의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의 공격 대상으로 선택되었을 때, 이 카드는 앞면 수비 표시가 된다. 이 카드가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상대는 이 카드 이외의 몬스터를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
토도로키&테츠오와의 듀얼에서 일반 소환하여 레벨 크로스로 레벨을 8로 불린 후 자이언트 킬러의 엑시즈 소재로 사용한다. 허수아비답게 어그로를 끄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2.3. 기믹 퍼핏-킬러 나이트[편집]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8c4cd104.jpg

한글판 명칭기믹 퍼핏-킬러 나이트 (추정)
일어판 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キラー・ナイト
영어판 명칭Gimmick Puppet - Fiendish Knight
효과 몬스터
레벨속성종족공격력수비력
(불명)(불명)기계족(불명)(불명)
(불명)

53화에서 듀얼 코스터에서 듀얼리스트 한 명을 순살한다. 작중에서는 "킬러 나이트"라고 이름을 불리면서 상대를 직공하는 게 등장의 전부이며, 당시 레벨 4에 공격력 1800으로 나오지만, 카드 자체가 등장한 게 아니라서 진짜 레벨과 공격력이 맞는지는 알 수 없다. 자세한 정황이 없어 레벨 조정 효과나 공격력 증감 효과를 받았을지 안 받았을지 모르기 때문. 애초에 "킬러 나이트"라고만 말했기 때문에 "기믹 퍼핏-킬러 나이트"가 맞는지도 알 수 없다.

공격 한 번 한 게 등장의 전부이므로 효과는 아예 알 수가 없다.


3. 마법 카드[편집]



3.1. 어택 기믹[편집]


파일:external/uploads3.yugioh.com/Attack-gimmick.jpg

한글판 명칭어택 기믹
일어판 명칭アタック・ギミック
영어판 명칭Attack Gimmick
일반 마법
"기믹 퍼핏"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선택한 몬스터의 공격력은, 이 턴의 엔드 페이즈시까지 500 포인트 올린다. 또한, 이 턴, 선택한 몬스터가 전투에 의해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 파괴된 상대 몬스터 1장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 라이프에 준다.
III와 태그를 맺은 유마&카이토와의 태그 듀얼에서 자이언트 킬러에게 발동한다.


3.2. 데스티니 스트링스[편집]


파일:external/uploads1.yugioh.com/%E3%83%87%E3%82%B9%E3%83%86%E3%83%8B%E3%83%BC%E3%83%BB%E3%82%B9%E3%83%88%E3%83%AA%E3%83%B3%E3%82%B0%E3%82%B9.jpg
한글판 명칭데스티니 스트링스
일어판 명칭デステニー・ストリングス
영어판 명칭Strings of Destiny
장착 마법
"기믹 퍼핏"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만 장착 가능. 장착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 덱에서 1장 드로우하고, 드로우한 그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1] 묘지로 보낸 카드가 몬스터 카드였을 경우, 공격 대상이 된 상대 몬스터는 파괴되지 않으며, 묘지로 보낸 몬스터의 레벨의 수만큼까지 연속 공격할 수 있다. 묘지로 보낸 카드가 마법 / 함정 카드였을 경우, 공격을 무효로 하고 배틀 페이즈를 종료한다.
57화의 료가와의 듀얼에서 헤븐즈 스트링스에게 장착, No.32 샤크 드레이크를 공격했을 때 레벨 8의 네크로 돌을 묘지로 보내 무려 8연격을 날린다.

하지만 58화의 다다음 턴에서는 마법 / 함정 카드가 묘지로 가는 바람에 발동에 실패, 이후 애니판 시저 암의 효과[2] 코스트로 파괴된다.

다만 58화에서 이 카드의 효과를 발동한 것 자체가 IV의 치명적인 실수였는데, 당시 료가 필드에 있던 유일한 몬스터는 뒷면 수비 표시디프 스위퍼였기 때문. 설령 몬스터가 나와서 연속 공격을 했더라도 이 카드의 효과로 전투 파괴는 불가능했고, 수비 표시라서 전투 데미지도 전혀 넣을 수 없었다. 그야말로 완벽한 헛짓.

당시 IV의 패에 공격력 1200의 시저 암이 있었고, 료가의 남은 LP가 겨우 500이었던 걸 감안하면 다 잡은 승리를 그냥 놓친 격이다. 헤븐즈 스트링스로 디프 스위퍼를 처리하고 시저 암으로 직접 공격하면 끝났을 듀얼이 한 번의 실수로 이상하게 꼬인 셈. 작중에서도 아스트랄의 입을 빌려 이를 지적했다. 다만 작중에서 대놓고 실수라고 언급되었으니 로그상의 오류라고 하기는 어렵고, 당시 IV는 트론의 말에 반쯤 실성한 상태였기 때문에 그 충격으로 제대로 된 판단을 못했다고 보는 것이 옳다. [3]

3.3. 자동기계의 패[편집]


파일:external/uploads4.yugioh.com/Card-of-Puppets.jpg

한글판 명칭자동기계의 패(비공식)
일어판 명칭カラクリの宝札
영어판 명칭Card of Puppets
일반 마법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기믹 퍼핏"이라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파괴한다. 그 후, 자신은 덱에서 카드 1장을 드로우한다.
이름만 봐서는 자동기계 관련 효과로 보이지만 정작 효과는 기믹 퍼핏 전용. 데스 트로이를 파괴하고 덱에서 1장 드로우했다.


3.4. 기믹 실드[편집]


파일:external/img3.wikia.nocookie.net/GimmickShield-JP-Anime-ZX.png

한글판 명칭기믹 실드(비공식)
일어판 명칭ギミック・シールド
영어판 명칭Gimmick Shield(비공식)
장착 마법
"기믹 퍼핏"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엑시즈에만 장착 가능.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을 맞바꾼다. 1턴에 1번, 장착 몬스터의 엑시즈 소재의 수 × 300 포인트 데미지를 상대 라이프에 준다.
자이언트 킬러를 공격 표시로 소환한 뒤 장착하여 공격력 / 수비력을 뒤바꾸고, 낫슈에게 600 데미지를 준다.

자이언트 킬러를 어태커로 쓸 수 있는 카드지만 다른 기믹 퍼핏 엑시즈 몬스터들은 전부 공격력이 수비력보다 높아서 별 쓸모는 없다. 게다가 장착한 다음 턴, 낫슈가 엑시즈 소환한 No.101 사일런트 아너즈 아크 나이트에게 자이언트 킬러가 아크 나이트의 엑시즈 소재로 흡수되어서 정말 별 의미가 없는 카드가 되어버렸다.


3.5. 트라이앵글 기믹 박스[편집]


http://lohas.nicoseiga.jp/thumb/3855793i?

한글판 명칭트라이앵글 기믹 박스(비공식)
일어판 명칭トライアングル・ギミック・ボックス
영어판 명칭Triangle Gimmick Box(비공식)
일반 마법
자신의 묘지에서 몬스터 엑시즈 3장을 선택하여 게임에서 제외하고,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 엑시즈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126화에서 사용. 묘지의 자이언트 킬러, 시리얼킬러, 헤븐즈 스트링스를 제외하고 엑스트라 덱에서 No.88 기믹 퍼핏-데스티니 레오를 특수 소환했다.

이렇게 소환된 데스티니 레오는 아젠트 카오스 포스로 카오스화하여, CNo.88 기믹 퍼핏-디재스터 레오가 된다.

참고로 IV는 이 카드를 패에 들고 있었고, 전 턴에 패닉 셔플로 RUM-아젠트 카오스 포스를 포함한 묘지의 마법 / 함정을 전부 덱으로 되돌리고 셔플한 후였는데 이 카드의 효과로 아젠트 카오스 포스를 뽑았다. 이때 아젠트 카오스 포스를 뽑을 확률은 1/35[4]


3.6. 기믹 벤젠스[편집]


파일:external/fc01.deviantart.net/gimmick_vengeance_by_kai1411-d752jf4.jpg

한글판 명칭기믹 벤젠스(비공식)
일어판 명칭ギミック・ヴェンジェンス
영어판 명칭Gimmick Vengeance(비공식)
속공 마법
몬스터 엑시즈 이외의 카드의 효과에 의해 상대 필드 위의 몬스터 엑시즈 1장의 엑시즈 소재의 수가 변화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의 패가 이 카드뿐일 경우에 상대 필드 위의 몬스터 엑시즈 1장의 엑시즈 소재의 수가 변화했을 때, 이 카드는 상대 턴에도 패에서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 위의 "기믹 퍼핏"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 라이프에 준다.
발동 타이밍이 굉장히 한정적인 카드. 사실상 애니에서 등장한 당시 상황에서만 쓸 수 있는 카드라고 할 수 있다. 이 카드의 효과로 디저스터 레오의 공격력 3500만큼의 데미지를 낫슈에게 주었다.

카드 일러스트는 No.15 기믹 퍼핏-자이언트 킬러가 일어서면서 한 도시를 파괴하는 모습 붉은 실들이 자이언트 킬러 주변에 붙어 있는 걸 보면은 누군가에 의해 조종하는 듯 하다.

4. 함정 카드[편집]



4.1. 리페어 퍼핏[편집]


파일:external/uploads3.yugioh.com/Repair-Puppet.jpg

한글판 명칭리페어 퍼핏
일어판 명칭リペア・パペット
영어판 명칭Puppet Repair
일반 함정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퍼핏"이라는 이름이 붙은 레벨 4 이하의 몬스터 1장이 전투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와 같은 이름의 몬스터 1장을 자신의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토도로키&테츠오와의 듀얼에서 양철의 대공의 공격으로 파괴된 베이비 페이스를 덱에서 1장 더 특수 소환한다.


4.2. 기믹 박스[편집]


파일:external/uploads3.yugioh.com/Gimmick-box.jpg

한글판 명칭기믹 박스
일어판 명칭ギミック・ボックス
영어판 명칭Gimmick Box
지속 함정
플레이어에게로의 전투 데미지가 발생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그 데미지를 무효로 한다. 발동 후, 이 카드는 몬스터 카드(기계족 / 어둠 / 레벨 8 / 공 ? / 수 0)가 되어, 자신 몬스터 카드 존에 특수 소환한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무효로 한 전투 데미지의 수치가 된다. 이 카드는 함정 카드로도 취급한다.
토도로키&테츠오와의 듀얼에서 베이비 페이스가 백신게일의 공격에 맞았을 때 발동하여 데미지를 차단한다. 다음 턴 자이언트 킬러의 엑시즈 소재로 사용한다.

III와 태그를 맺은 유마&카이토와의 태그 듀얼에서 자이언트 킬러가 CNo.39 유토피아 레이에게 파괴되자 발동해 전투 데미지를 막고 다음 턴 헤븐즈 스트링스의 엑시즈 소재로 사용한다.


4.3. 엔젤 스트링스[편집]


파일:external/uploads1.yugioh.com/Angel-Strings.jpg

한글판 명칭엔젤 스트링스(비공식)
일어판 명칭エンジェル・ストリングス
영어판 명칭Celestial Strings
일반 함정
자신 필드 위의 "기믹 퍼핏"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엑시즈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묘지에서 몬스터 엑시즈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선택한 몬스터 엑시즈와 그 엑시즈 소재를, 이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 엑시즈의 밑에 겹쳐 엑시즈 소재로 한다.
이 효과로 No.73 격롱신 어비스 스플래시를 특수 소환해, 공격력을 9600까지 올리고는 No.4 맹독자포 스텔스 크라겐을 파괴하여 듀얼을 끝낸다.

일러스트에서 자이언트 킬러에게 조종당하는 해골은 육신보살에 그려진 해골인데 정작 이 해골은 기믹 퍼핏과는 전혀 관계도 없고 카드의 효과도 육신보살과 비슷한 점이 전혀 없다.

[1] 57화와 58화의 설명이 다르다. 57화에선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1장 묘지로 보낸다.'라고 하나, 58화에선 '덱에서 1장 드로우하여, 그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라고 한다. 일단 57화의 대사가 중간의 드로우 절차에 대한 설명을 생략했다고 하면 말이 되므로 58화 기준으로 작성한다.[2] 자신 필드의 몬스터에 장착된 장착 카드를 파괴하고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이 카드의 레벨은 배가 된다.[3] 트론은 IV의 역할이 료가를 몰아붙이는 걸로 끝이라며 계속해서 IV의 능력과 지금까지 해온 노력을 부정했고, 이에 IV는 본인에게 운도 능력도 있다는 걸 보여주겠다며 데스티니 스트링스의 효과를 발동했다. 저번 턴과 똑같이 몬스터를 뽑아 증명하겠다는 생각이었겠지만 결과는...[4] IV가 소환했던 험프티 덤프티, 기어 체인저, 섀도우 필러와 발동했던 패닉 셔플 말고는 묘지의 마법 / 함정이 전부 덱으로 되돌아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0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0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22:01:57에 나무위키 기믹 퍼핏/OCG화되지 않은 카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