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교통체계관리

덤프버전 :



1. 개요
2. 핵심목적
3. 조건
4. 유형
4.1. 수요감소형
4.2. 수요공급감소형
4.3. 장기교통계획과의 비교
5. 같이보기



1. 개요[편집]


Transportation System Management(TSM)
교통체계관리란 교통을 운영하는 방법 중 하나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교통여건을 조성하기 위하여 교통 수요와 공급을 최적화하는 것을 말한다.


2. 핵심목적[편집]


  • 당면 문제점 해소
  • 국부적 공간의 문제 해결 중심
  • 단기적인 효과
  • 미시적 규모


3. 조건[편집]


  • 계량적일 것
  • 시뮬레이션이 가능할 것
  • 현장에서 성과 점검이 가능할 것
  • 민감할 것
  • 통계적으로 나타낼 수 있을 것
  • 중복을 피할 것


4. 유형[편집]


교통수요관리(TDM) 문서와 함께 볼 것

4.1. 수요감소형[편집]


승용차의 선택 수요를 감소시키는 기법이다.


4.2. 수요공급감소형[편집]


승용차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의 공급을 줄임과 동시에 승용차의 선택수요를 감소시키는 기법이다. 승용차 이용자들의 정치적 반발이 발생할 수 있다.


4.3. 장기교통계획과의 비교[편집]


구분TSM장기교통계획
문제 특성명확히 정의되고 관측 가능성장시나리오와 통행예측에 의존
문제 범위국부적, 소구역광범위
목표문제점과 관련된 목표정책에 관련된 목표
분석절차유추해석 또는 간단한 관계식통행모형, 도로망모형 해석
반응시간빠름중요하지 않음
대안다수의 대안소수의 구체적인 대안
결과시행을 위한 설계에 사용추가조사·세부설계를 위한 대안으로 사용

5. 같이보기[편집]


교통수요관리 - 교통체계관리의 하위분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