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과학적 표기법

덤프버전 :

분류



과학 연구 · 실험
Scientific Research · Experiment
[ 펼치기 · 접기 ]

배경과학적 방법
수학(미적분학 · 선형대수학) · 통계학
연구·탐구논증(귀납법 · 연역법 · 유추(내삽법 · 외삽법)) · 이론(법칙 · 공리 · 증명 · 정의 · 근거이론 · 이론적 조망) · 가설 · 복잡계(창발) · 모형화(수학적 모형화) · 관측 · 자료 수집 · 교차검증 · 오컴의 면도날 · 일반화
연구방법론합리주의 · 경험주의 · 환원주의 · 복잡계 연구방법론 · 재현성(연구노트)
통계적 방법혼동행렬 · 회귀분석 · 메타분석 · 주성분 분석 · 추론통계학(모형(구조방정식) · 통계적 검정 · 인과관계와 상관관계 · 통계의 함정 · 신뢰도와 타당도)
측정·물리량물리량(물리 상수 · 무차원량) · 차원(차원분석) · 측도 · 단위(단위계(SI 단위계 · 자연 단위계) · 단위 변환) · 계측기구 · 오차(불확도 · 유효숫자)
실험실험설계 · 정성실험과 정량실험 · 실험군과 대조군 · 변인(독립 변인 · 조작 변인 · 종속 변인 · 변인 통제) · 모의 실험(수치해석) · 맹검법 · 사고실험 · 인체실험 · 임상시험 · 실험 기구
연구윤리뉘른베르크 강령 · 헬싱키 선언 · 연구투명성 · 연구동의서 · 연구 부정 행위 · 표절(표절검사서비스) · 편향 · 문헌오염 · 자기교정성 · 연구윤리위원회
논문·과학 공동체소논문 · 리포트 · 논문제출자격시험 · 연구계획서 · 형식(초록 · 인용(양식 · 참고문헌) · 감사의 글) · 저자 · 학회 · 세미나 · 학술대회 · 동료평가 · 지표 · 학술 데이터베이스 · 게재 철회 · 학제간 연구
철학 관련 정보 · 연구방법론 관련 정보 · 수학 관련 정보 · 자연과학 관련 정보 · 물리학 관련 정보 · 통계 관련 정보 · 사회과학 조사연구방법론




1. 개요
2. 표기법
2.1. 엔지니어 표기법
2.2. 표기 예시
3. 사용 예시
3.1. 인크레멘탈 게임
4. 관련 항목


1. 개요[편집]


과학적 표기법(scientific notation)이란 큰 수[1]작은 수를 쉽게 표현하기 위한 기수법이다.


2. 표기법[편집]


어떠한 수를 [math(X \times 10^Y)]와 같이 표현한다. 중간의 곱셈과 거듭제곱을 생략해 [math(X\textnormal{e}Y)]로 나타내기도 한다.[2]

예를 들어, [math(2^{1024})][3]과 같이 어마무시하게 큰 수도 과학적 표기법을 사용하면 [math(1.797693 \times 10^{308})]으로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4]


2.1. 엔지니어 표기법[편집]


엔지니어 표기법(engineering notation)은 과학적 표기법의 변종으로, [math(X \times 10^{Y})] 꼴 대신 [math(X \times 10^{3Y})] 꼴로 표현한다.

굳이 3인 이유는 SI 접두어가 3의 배수마다 존재하기 때문이다. 엔지니어 표기법을 사용하면 별도로 자리수를 맞출 필요 없이 SI 접두어만 붙이면 된다. 그러나, 유효숫자가 직관적이지 않다는 단점이 존재해 과학적 표기법만큼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2.2. 표기 예시[편집]


10진법과학적 표기법e 표기법엔지니어 표기법
[math(2)][math(2 \times 10^{0})][math(2\textrm{e}0)][math(2 \times 10^{0})]
[math(100)][math(1 \times 10^{2})][math(1\textrm{e}2)][math(100 \times 10^{0})]
[math(235\,000\,000\,000)][math(2.35 \times 10^{11})][math(2.35\textrm{e}11)][math(235 \times 10^{9})]
[math(0.04)][math(4 \times 10^{-2})][math(4\textrm{e-}2)][math(40 \times 10^{-3})]
[math(0.000\,000\,011\,37)][math(1.137 \times 10^{-8})][math(1.137\textrm{e-}8)][math(11.37 \times 10^{-9})]
[math(299\,792\,458)][math(2.997\,924\,58\times10^{8})][math(2.997\,924\,58\textrm{e-}8)][math(299.792\,458 \times 10^{6})]


3. 사용 예시[편집]


과학적 표기법은 유효숫자를 다룰 때 굉장히 편리하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과학 분야에서 수를 표기할 때 과학적 표기법을 사용한다.


3.1. 인크레멘탈 게임[편집]


장르 특성상 극단적인 수가 굉장히 많이 등장하기 때문에 과학적 표기법이 사실상 필수이다.



4. 관련 항목[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18 02:07:11에 나무위키 과학적 표기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물론 상식적인 범위에서의 큰 수이다. 그레이엄 수같은 건 당연히 불가능.[2] 이 경우 'e 표기법'이라고 한다. e가 대문자인 경우도 있다.[3] 64비트 IEEE 754의 최대값. 간단히 말해서 컴퓨터에서 64비트에 저장할 수 있는 가장 큰 값이라고 생각하면 된다.[4] 물론 어림값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