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공주시 시내버스/노선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공주시 시내버스

파일:공주580.jpg

1. 개요
1.1. 시내권역(100번대)
1.2. 이인면, 탄천면 방면(200번대)
1.3. 계룡면, 반포면, 대전광역시 유성구 방면(300번대)
1.4. 의당면, 장군면, 세종특별자치시 방면(500번대)
1.5. 정안면 방면(600번대)
1.6. 우성면, 신풍면, 사곡면, 유구읍 방면(700번대)
1.7. 신풍면, 유구읍 지선(800번대)
1.8. 우성면, 청양군 정산면 방면(900번대)
2. 관외 노선



1. 개요[편집]


공주시 시내버스의 노선을 정리한 문서다.
폐선된 노선은 공주시 시내버스/폐선 문서 참조

||
[ 펼치기 · 접기 ]

시내
이인, 계룡
탄천
계룡, 반포
대전
의당, 세종
정안, 의당
유구, 우성
사곡, 신풍
유구, 신풍
정산
청양





1.1. 시내권역(100번대)[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평/휴)
100주공4차현대A - 공산성 - 산성시장 - 공주시청 - 공주교대공주여고10~60분
102주공4차현대A - 봉황중 - 공산성 - 산성시장 - 공주시청 - 공주교대공주여고3.5회/미운행
103천년나무4단지현대A - 공주의료원 - 공주보건소 - 공주사대부고 - 공주시청 - 공주교대공주여고6회/미운행
108공주박물관문예회관 - 공주사대부고 - 공주교대 - 공주대후문 - 송선동 - 대교리가재마을5단지9회/5회
109공주의료원문예회관 - 산성시장 - 대추골 - 옥룡주공A금학동2.5회/미운행
125신한아파트공주정보고 - 종합터미널 - 옥룡동 - 산성시장 - 공산성웅진동30~60분/40~80분
130신한아파트공주정보고 - 종합터미널 - 영명중고 - 공주시청 - 공주교대공주여고30~60분/40~80분
150공주공영차고지관골 - 신관초 - 공주대정문 - 옥룡주공A - 공주시청 - 산성시장 - 공산성웅진동10~60분
160금흥동행복주택A현대5차 - 종합터미널 - 옥룡주공A - 공주시청 - 산성시장 - 공산성공주의료원7회/미운행

1.2. 이인면, 탄천면 방면(200번대)[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평일)배차간격(휴일)
200종합터미널공산성 - 시청 - 금학동 - 주봉 - 이인 - 복룡공주역14회17회
201산성동시청 - 금학동 - 오곡동 - 국립공주병원 - 발양공주역5회5회
202산성동시청 - 금학동 - 오곡동 - 국립공주병원 - 공주역 - 안영탄천산업단지2회2회
205공주역화헌 - 경천 - 신원사 - 하대 - 중장갑사-1회
206공주역화헌 - 경천 - 신원사 - 하대 - 중장 - 갑사 - 내흥 - 마암 - 공암 - 박정자동학사-2회
207공주역국립공주병원 - 공주여고 - 옥룡동 - 종합버스터미널 - 상서 - 우성 - 화월 - 계실 - 중앙소방학교국토정보교육원3.5회3.5회
210[1]산성동금학동 - 태봉 - 이인 - 탄천 - 견동 - 대학2리 - (분강 - 유하)대학4회4회
212산성동이인 - 이곡 - (대학2 - 운곡 - 견동 - 탄천)대학2회2회
220[2]산성동금학동 - 태봉 - 이인 - 탄천 - (정치/시계)가척5회5회
230[3]산성동금학동 - 태봉 - 이인 - 탄천 - 덕지(건평)화정5회5회
250산성동금학동 - 태봉 - 이인 - 반송 - 공주역 - 장선(장마루) - 탄천산단안영3회3회
251산성동금학동 - 태봉 - 이인 - 광명 - 안영 - 장마루 - 공주역 - 반송 - 이인 - 금학동산성동3회3회
260산성동웅진동 - 봉정 - 검상 - 만수 - 본오룡 - 신흥 - (오룡)초봉2회2회
264산성동금학동 - 오곡동 - 발양 - 남월 - 주봉 - 신흥 - 만수 - 검상 - 봉정 - 웅진동산성동(오곡동)3회3회
265웅진동(한산A)봉정 - 검상농공단지 - 나래원운암2회2회
270[4]산성동금학동 - 남월 - 발양오곡동4회4회
280[5]산성동소학 - 기산 - 계룡 - 죽곡 (→ 향지)공주역3회3회
281산성동소학 - 기산 - 계룡 - 죽곡(금대 - 계룡 - 소학 - 옥룡주공)향지 1구1회1회


1.3. 계룡면, 반포면, 대전광역시 유성구 방면(300번대)[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평일)배차간격(휴일)
300산성동옥룡동 - 마암 - 공암 - 박정자삼거리 - 현충원역 - 유성시장충남대공주발 13회/충대발 15회공주발 13회/충대발 15회
302산성동옥룡동 → 마암 → 공암 → 상신 → 송곡 → 안산동 → 반석역 → 지족역 → 유성여고충남대2회2회
310산성동(공주의료원 ←[6]) - 옥룡동 - 소학 - 화은 - 기산 - 계룡 - 하마루 - 경천신원사산성동발 12회/신원사발 9회산성동발 12회/신원사발 9회
320산성동옥룡동 - 소학 - 화은 - 기산 - 계룡 - 하대 - 중장갑사산성동발 10회/갑사발 12회산성동발 10회/갑사발 12회
321공주공영차고지종합터미널 → 충남과학고 → 마암 → 내흥 → 중장갑사1회1회
330산성동옥룡동 - 소학 - 상왕 - 왕촌 - 내흥구왕산성동발 4회/구왕발 5회산성동발 3회/구왕발 4회
340신원사무속촌 - 갑사 - 중장 - 마암 - 공암 - 박정자삼거리 - 현충원역 - 유성시장충남대신원사발 4회/충대발 1회신원사발 4회/충대발 1회
342충남대유성고속터미널 → 지족역 → 반석역 → 송곡 → 상신 → 공암 → 마암 → 중장갑사3회3회
350산성동옥룡동 - 마암 - 공암 - 학봉동학사산성동발 4회/동학사발 3회산성동발 7회/동학사발 6회
351동학사학봉 → 공암 → 마암 → 옥룡동산성동1회1회
360동학사학봉 - 공암 - 송곡세종터미널-5회

[7]


1.4. 의당면, 장군면, 세종특별자치시 방면(500번대)[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평일)배차간격(휴일)
500[8]산성동종합터미널 - 송선 - 장군 - 어진중 - 세종청사 - 연기 - 봉암조치원역25~60분(21회)25~60분(21회)
501산성동(← 공주시청 ← 금학동 ← ) - 종합터미널 - 송선 - 장군어진중학교1회1회
502[9][10]산성동종합터미널 - 송선 - 장군 - 어진중 - 세종청사 - 연기 - 봉암 - (← 고려대세종캠퍼스 )조치원역1회1회
540산성동종합터미널 - 청룡 - 월곡 - 덕학 - 도신 - 송학 - 유계 - 청룡 - 종합터미널산성동2회1회
541산성동종합터미널 - 청룡 - 유계 - 송학 - 도신 - 덕학 - 월곡 - 청룡 - 종합터미널산성동3회3회
542산성동종합터미널 - 청룡 - 월곡 - 덕학 - 도신 - 중흥 - 송학 - 유계 - 청룡 - 종합터미널산성동2회2회
570종합터미널월송교차로 - 무릉입구 - 석장리금암터미널발 12회/금암발 14회터미널발 4회/금암발 6회
571산성동종합터미널 - 월송교차로 - 무릉입구 - 석장리 - 금암한국영상대학4회2회
572공주여고산성동 - 주공1차 - 월송동주민센터 - 무릉동 - 석장리 - 금암한국영상대학1회1회
573종합터미널월송동 - 무릉입구 - 석장리 - 금암 - 금강자연휴양림한국영상대학1회1회
580종합터미널월송교차로 - 무릉입구 - 석장리 - 금암산림박물관터미널발 3회/산림박물관발 2회터미널발 3회/산림박물관발 2회
581산림박물관금암 - 한국영상대학 - 금암 - 석장리 - 무릉동 - 월송동주민센터 - 주공1차 - 산성동 - 공주시청공주여고1회1회

1.5. 정안면 방면(600번대)[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평일)배차간격(휴일)
600산성동종합터미널 - 청룡 - 모란 - 석송 - 정안 - 사현 - 인풍태성6회4회
603산성동종합터미널 - 청룡 - 모란 - 석송 - 보물 - 어물 - 정안 - 사현 - 인풍태성2회2회
606산성동공주의료원 - 청룡 - 모란 - 석송 - 정안 - 사현 - 인풍태성1회1회
610산성동종합터미널 - 청룡 - 모란 - 석송 - 정안 - 월산 - 유룡 - 회학마곡사5회5회
611산성동종합터미널 - 생명과학고 - 모란 - 석송 - 정안 - 월산 - 유룡 - 회학마곡사1회-
620산성동종합터미널 - 청룡 - 모란 - 석송 - 운궁 - 고성 - 쌍달 - 운궁 - 장원 - 석송 - 모란 - 청룡 - 종합터미널산성동3회3회
621종합터미널청룡 - 모란 - 석송 - 운궁 - 고성 - 쌍달 - 운궁 - 석송 - 모란 - 청룡 - 종합터미널산성동1회1회
630산성동종합터미널 - 청룡 - 모란 - 석송 - (←보물) - 광정어물1회1회
631산성동종합터미널 - 청룡 - 모란 - 석송 - 보물광정1회1회
640산성동종합터미널 - 청룡 - 모란 - 화봉평정3회2회
641종합터미널청룡 - 모란 - 화봉 - 평정 - 상용 - 목천2구 - 생명과학고 - 종합터미널산성동1회1회
642산성동종합터미널 - 청룡 - 두만 - 모란 - 평정 - 상용 - 목천2구 - 생명과학고종합터미널1회1회
650산성동종합터미널 - 청룡 - 수촌두만2회1회
660산성동종합터미널 - 생명과학고 - 목천2구 - 모란 - 석송 - 정안 - 월산 - (←내문)산성리2회1회
661산성동종합터미널 - 생명과학고 - 목천2구 - 모란 - 석송 - 정안 - 월산 - 내문 - 산성리 - 월산 - 정안 - 석송 - 모란 - 청룡 - 종합터미널산성동1회-
662종합터미널생명과학고 - 목천2구 - 석송 - 정안 - 월산 - 산성리 - 내문 - 월산 - 정안 - 장원 - 석송 - 모란 - 목천 - 생명과학고 - 종합터미널산성동1회1회

1.6. 우성면, 신풍면, 사곡면, 유구읍 방면(700번대)[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평일)배차간격(휴일)
700산성동종합터미널 - 상서 - 우성 - 신영 - 사곡 - 신풍 - (← 수촌교삼거리)유구터미널산성동발 13회/유구발 14회산성동발 13회/유구발 14회[11]
702산성동상서 → 우성 → 신영 → 사곡 → 신풍 → 수촌교삼거리유구터미널2회2회
703유구터미널신풍 → 사곡 → 신영 → 우성 → 상서종합터미널2회2회
706산성동공주의료원 - 상서 - 우성 - 사곡 - 신풍 - (← 수촌교삼거리)유구터미널1회1회
710종합터미널야구장 → 월미 → 쌍신 → 종합터미널 → 옥룡동산성동1회1회
720산성동종합터미널 - 귀산 - 동곡 - 반촌 - 상서 - 우성 - 호계 - 화월 - 계실국토정보교육원3회3회
721종합터미널쌍신 → 상서 → 우성 → 호계 → 계실 → 호계 → 우성 → 상서 → 반촌 → 목천 → 귀산 → 야구장 → 종합터미널산성동1회1회
730산성동종합터미널 - 상서 - 우성 - 공수원 - 모덕사 - 안양 - 봉현입동4회3회
731산성동종합터미널 → 상서 → 우성 → 공수원 → 모덕사 → 안양 → 봉현 → 굴티 → 봉현 → 안양 → 모덕사 → 공수원 → 우성 → 상서종합터미널1회1회
740산성동종합터미널 - 연미산옛길 - 신웅 - 상서 - 우성 - (← 옥성 ←) - 공수원 - 어천 - 죽당오동3회3회
741산성동종합터미널 - 연미산옛길 - 신웅 - 상서 - 우성 - 공수원 - 어천 - 죽당오동5회4회
750산성동종합터미널 - 생명과학고 - 귀산 - 반촌목천4회4회
760산성동종합터미널 - 연미산옛길 - 신웅 - 도천 - 내산한천5회4회
761산성동종합터미널 - 생명과학고 - 목천 - 반촌 - 내산 - 신웅 - 연미산옛길 - 종합터미널산성동1회1회
770산성동종합터미널 - 상서 - 우성 - 사곡 - 고당 - 가교마곡사산성동발 8회/마곡사발 9회산성동발 8회/마곡사발 9회
771산성동종합터미널 → 상서 → 우성 → 사곡 → 고당 → 가교 → 마곡사 → 운암삼거리 → 부곡 → 운암삼거리마곡사1회1회
772산성동종합터미널 - 상서 - 우성 - 사곡 - 고당 - 대중 - 가교마곡사1회1회

1.7. 신풍면, 유구읍 지선(800번대)[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평일)배차간격(휴일)
800유구터미널창말 - 신달 - 추계 - 문금불당골3회3회
810유구터미널창말 → 신달 → 추계 → 문금 → 불당골 → 탑곡 → 추계 → 신달 → 창말유구터미널3회3회
820유구터미널창말 - 신달명곡4회4회
830유구터미널창말여드니2회2회
840유구터미널백교노동3회3회
860유구터미널구산초교 → 구계 → 세동 → 동해동 → 부곡 → 마곡사 → 한국문화연수원 → 구산초교유구터미널2회2회
861유구터미널구계 → 동해동 → 부곡 → 마곡사 → 가교 → 사곡 → 우성 → 상서종합터미널1회1회
862유구터미널구산초교 → 한국문화연수원 → 마곡사 → 부곡 → 동해동 → 세동 → 구계 → 구산초교유구터미널1회1회
870유구터미널만천 - 신풍 - 백룡 - 토끼울쌍대2회2회
871유구터미널만천 - 신풍 - 백룡 - 봉갑쌍대1회1회
880유구터미널만천 - 신풍 - 백룡 - 입동조평3회3회
881유구터미널만천 - 신풍 - 백룡 - 조평 - 봉갑종합터미널1회1회
890유구터미널만천 - 신풍 - 백룡 - 송학정산정류장1회1회
891[12]유구터미널만천 - 신풍 - 백룡 - 봉갑 - 쌍대 - 송학정산정류장1회1회

1.8. 우성면, 청양군 정산면 방면(900번대)[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평일)배차간격(휴일)
900산성동종합터미널 - 상서 - 우성 - 공수원 - 목면 - 지곡 - 백곡정산정류장8회8회


2. 관외 노선[편집]



2.1. 대전광역시 시내버스[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
107대전역동광장중앙로역ㆍ중촌4거리ㆍ오룡역용문역유성온천역현충원동학사17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
17현충원역덕명네거리ㆍ현충원ㆍ갑동ㆍ박정자삼거리ㆍ(학봉삼거리)평시 : 학봉삼거리
우천시 : 동학사
토,공 40

2.2. 계룡시 시내버스[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
48충대농대유성온천역구암역현충원역ㆍ동학사입구ㆍ해미르Aㆍ양정ㆍ계룡시청ㆍ계룡역두마면사무소40
3002한라비발디아파트두마면사무소ㆍ계룡역ㆍ계룡시청ㆍ양정ㆍ계룡대ㆍ학봉삼거리세종터미널60

2.3.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
550[13]조치원역번암 · 연기 · 정부세종청사 · 장군면 · 신관동산성동조치원발 9회/산성동발 11회
551[14]조치원역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 번암 → 연기 → 정부세종청사 → 장군면 → 신관동산성동2회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
63세종터미널금남면사무소ㆍ대평리ㆍ발산리ㆍ봉암리ㆍ송곡리성강리2회

2.4. 아산시 시내버스[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
120아산시외버스터미널온양온천역 - 송악사거리 - 이마트아산점 - 청솔아파트 - 외암민속마을유구터미널아산발 4회/유구발 5회


2.5. 논산시 시내버스[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
301논산역화지시장ㆍ논산터미널ㆍ부적ㆍ연산ㆍ백석리ㆍ주내경천9회
501논산역논산터미널ㆍ화지시장ㆍ천동리ㆍ노성ㆍ상월ㆍ하마루경천13회
505논산역논산터미널ㆍ화지시장ㆍ천동리ㆍ노성ㆍ상월ㆍ주내ㆍ(금강대경유 회차)신원사6회
509논산역논산터미널ㆍ화지시장ㆍ천동리ㆍ노성ㆍ상월ㆍ금강대ㆍ(주내경유 회차)신원사5회
517논산역논산터미널ㆍ화지시장ㆍ천동리ㆍ노성ㆍ병사리ㆍ호암리ㆍ공주역(KTX)지장정사2회


2.6. 천안시 시내버스[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
710천안터미널천안역동부광장ㆍ천안여고ㆍ소정리역ㆍ행정리ㆍ원덕리ㆍ추모공원광정9회


2.7. 예산군 농어촌버스[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
250예산종합터미널예산역ㆍ종합운동장ㆍ산정리ㆍ신양면ㆍ녹천리유구터미널1일 1회
252예산종합터미널예산역ㆍ종합운동장ㆍ귀곡리ㆍ신양면ㆍ녹천리유구터미널1일 1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15:27:11에 나무위키 공주시 시내버스/노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 3회차에 국동 경유.[2] 정치 먼저 운행[3] 1, 2, 4회차는 건평 먼저 운행.[4] 1회차는 발양 먼저 운행[5] 1회차는 향지 미경유[6] 신원사발 1회차만 공주의료원 경유[7] 400번대는 4자 금기로 인해 영구결번이다.[8] 세종시 시내버스 550번과 공동 배차하는 노선이지만 세종시 시내버스와의 환승은 불가능하다. 550번은 1일 9회 운행.[9] 세종시 시내버스 551번과 공동 배차하는 노선이지만 세종시 시내버스와의 환승은 불가능하다. 551번은 1일 2회 운행.[10] 청주 버스 502와는 무관하니 주의하기 바란다.[11] 2014년 1월 1일부터 휴무일 탄력운행 시행.[12] 2014년 1월 1일부터 대박리 미경유.[13] 공주 500번과 공동 배차하는 노선이지만 공주시 시내버스와의 환승은 불가능하다.[14] 550번의 아침시간대 운행 노선이다. 공주 502번과 공동 배차하는 노선이지만 공주시 시내버스와의 환승은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