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문출발

덤프버전 : (♥ 0)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자동차 및 열차 등 차량의 문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차량 및 열차가 출발하는 것에 대한 내용은 개문 발차 문서
개문 발차번 문단을
개문 발차#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2. 강제로 개문출발 시키는 방법
3. 개문 출발을 예방하는 방법


1. 개요[편집]


파일:개문출발.gif
#(gif 파일 원본, 원본 파일은 유튜브 영상이다. 사진 속 승강기는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로 추정된다.)
승강기 도어스위치의 단락 및 로프브레이크의 걸림 등으로 인해 승강기가 문을 연 상태로 출발하는 상황을 말한다.


2. 강제로 개문출발 시키는 방법[편집]


이 방법의 경우 승강장 문이 열리지 않아 엘베 안에 갇힐 수도 있을 뿐더러, 엘리베이터의 심각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무엇보다, 2013년 이전 설치된 승강기라는 조건과 소방관이라는 2개의 조건이 모두 만족해야 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니까 일반인은 못한다는 뜻)
1. 승강장에서 승강기를 비상호출 시킨다.
2. 기준층(보통 1층 또는 로비층임)에 승강기가 도착하면 승강기 안으로 들어간다.
3. 1차 소방운전 스위치를 가동시킨다.
4. 2차 소방운전 스위치를 가동시킨다.(키는 단 한개라서 1차 소방운전 스위치를 가동시킬 때 사용했던 키를 뽑아서 가동시켜야 된다. 그리고 자동복귀식이라 지속적으로 ON으로 돌려놓아야 가동할 수 있다.)
5. 가고 싶은 층 버튼을 길게 누른다.
6. 경고가 울린다.(문이 열린 상태로 운행을 하므로 경고하는 용도)
7. 문이 열린 상태로 승강기가 작동한다.
(여기서부터는 지시대로 따르지 않을 시 승강기에 갇힐 수 있으니 유의할 것)
8. 안에 있는 사람은 대기인원이 문을 열 때까지 2차 소방운전 스위치를 ON 위치로 유지하며, 바깥에서 대기하고 있는 사람이 비상키를 승강장 문 홈에 넣어서 비상스위치 해제 후 승강장 문을 열어 안에 있는 사람을 구출한다.(2차 소방운전 스위치를 OFF로 전환할 시 승강기 문만 열리고 승강장 문은 안 열려 있어서 엘리베이터가 고장으로 오인하여 점검중 정지해버려 갇힐 수 있다. 하지만 대기인원이 문열어주면 끝)


3. 개문 출발을 예방하는 방법[편집]


개문 출발을 시키는 방법이 있다면 개문 출발을 예방하는 방법도 있는 법. 하지만 로프브레이크의 오작동도 개문 출발의 원인이 되지만, 기계의 오작동은 점검을 하던 수리를 하던 불시에 일어나는 상황이기 때문에 100% 막아준다고 확정할 수는 없는 방법이니 참고만 하길 바란다.
1. 기계실로 올라간다.
2. 수동운전 모드로 전환한다.
3. 승강기가 오작동으로 급발진 할 수도 있으므로 비상 정지 버튼을 누른다,
4. 승강기 로프를 점검한 후 불량 및 고장이 발생한 곳이 있으면 수리한다.
5. 기계실 조작반 UP/DOWN 버튼을 눌러 최상층에서 1층 내려간 층으로 승강기를 조작한다.(만약 최상층이 19층이라면, 승강기를 18층으로 조작)
6. 레버를 수동으로 전환한다.
7. 승강기 위쪽에 UP/DOWN 버튼을 눌러 승강기를 조작한다.
8. 운행 중 도어인터록을 열어서 승강기가 멈추는지 확인한다.
9. 멈출 시 정상으로 확인, 최상층 직하층으로 승강기를 조작한 후 레버를 오토로 바꾼 뒤 기계실로 올라가서 조작반 레버를 오토로 바꾼 후 비상 정지 버튼을 해제(잡아당기면 해제됨)한다. 멈추지 않고 계속 진행 방향으로 진행할 시 비정상으로 확인, 한국승강기안전공단으로 연락해 정밀검사를 요청한다. 불합격 시 기계실에서 주전원을 차단한 뒤 비상 정지 버튼을 눌러 승강기가 운행될 수 없게 만드면 된다.
*참고* 기계실 직하층으로 승강기를 조작하라는 것은 그곳이 기계실에서 제일 가깝기 때문에 추천하는 거다. 운동하고 싶다면자기는 상관이 없다 하면 굳이 기계실 직하층으로 조작할 필요는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6:48:16에 나무위키 개문출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