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강릉 버스 503-1

덤프버전 :

||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노선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도로, 철도, 버스, 항공, 선박 등의 노선은 현재 무기한 또는 특정 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파일: 대관령 옛모습.jpg
LED 행선판 설치 이전의 모습.

파일:503-1(강릉).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강릉시 CI_White.svg 강릉시 시내일반버스 503-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강릉 503-1 노선도.png
기점[출발]강원도 강릉시 견소동(안목)
[도착]강원도 강릉시 임당동(신영극장)
종점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대관령정상)
종점행첫차08:35(안목 출발)기점행첫차09:45
막차15:00(대관령박물관 출발)막차15:30
운수사명동진버스배차간격1일 2회(5~11월 주말에만 운행, 공휴일 미운행)
노선안목 → 송정노인회관 → 송정동주민센터 → 남강초교 → 강릉여고 → 신영극장 → 강릉의료원 → 홍제IC → 강릉영동대학교 → 금산장수마을 → 성산면사무소 → 가마골 → 반정 → 대관령정상(대관령휴게소, 대관령양떼목장) → (이후 신영극장까지 역순으로 운행)


2. 개요[편집]


강릉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 전체 정류장 목록 관련 게시물


3. 역사[편집]


  • 대관령 등산객의 편의를 위해 2010년에 신설되었다.

  •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승객감소로 2020년 5월 2일부터 무기한 운행중단에 들어갔다.


4. 특징[편집]


  • 강원도의 대표적인 고개인 대관령으로 가는 유일한 강릉시 시내버스 노선이다. 등산객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노선이다보니 주말에만 운행한다. 다만, 5~11월에만 운행하고 공휴일에는 운행하지 않는 등 제약이 많다.

  • 하루 2번만 운행하며, 그마저도 막차는 대관령박물관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시내에서 503번을 타고 대관령박물관에서 환승해야 한다.

  • 대관령정상은 옛 영동고속도로 대관령휴게소며 여기서 대관령면 횡계로 가는 평창군 농어촌버스 노선과 연계된다.

  • 평창군으로 들어가는 유일한 강릉시 시내버스 노선이다.

  • 특이하게 출발은 다른 노선들처럼 안목에서 하나, 시내로 돌아올 땐 신영극장까지만 간다. 이 때문에 안목에서 출발할 때와 시내로 돌아올 때 다른 행선판을 끼우고 운행한다. 관련 게시물

  • 강릉버스정보시스템과 포털 사이트 지도 등에서는 모두 가마골까지만 가는 걸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대관령 정상까지 올라간다.

  • 대관령 정상에서 평창군 농어촌버스와 연계되며, 한때 수도권에서 강릉까지 시내버스 여행을 할 때 자주 이용되었던 노선이다보니, 당시 버스 동호인들에게는 나름 인지도가 있었다. 현재는 당일치기로 가는 게 주류다 보니 이 노선을 이용하는 경우는 많이 줄었다. 막차가 너무 빨라서 불가능하기 때문.


4.1. 시간표[편집]


파일: 대관령.png


5. 연계 철도역[편집]


없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06:10:36에 나무위키 강릉 버스 503-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