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강릉 버스 200

덤프버전 :

||



파일:GN200DH.jpg
파일:GN200DJ.jpg
동해상사고속 차량동진버스 차량

1. 노선 정보
1.1. 운휴 노선
1.2. 폐지된 노선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일 평균 승차량
6. 시간표
6.1. 200번
7.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강릉시 CI_White.svg 강릉시 시내일반버스 20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GN200_Map.svg
기점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견소동(안목)종점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유천동(강릉원주대학교)
종점행첫차07:00기점행첫차07:38
막차20:20막차21:08
운수사명동진버스
동해상사고속
배차 간격1일 36회(평일)
1일 28회(방학평일)
1일 14회(주말/공휴일)[1]
노선안목 - 초당분수공원 - 경포고등학교 - 동인병원입구 - 포남1동주민센터 - 로얄아파트 - 용지각 - 교보생명 - 강릉제일고 - 강일여고 - 교2동주민센터 - 율곡중학교 - 오죽헌 - 문성고등학교 - 강릉원주대학교


1.1. 운휴 노선[편집]


파일:강릉시 CI_White.svg 강릉시 시내일반버스 201번
기점강원도 강릉시 견소동(안목)종점강원도 강릉시 유천동(강릉원주대학교)
종점행첫차10:14기점행첫차07:48
막차17:40막차15:04
운수사명동해상사고속배차 간격1일 5.5회(평일에만 운행)
노선안목 - 초당분수공원 - 경포고등학교 - 동인병원입구 - 포남1동주민센터 - 로얄아파트 - 용지각 - 교보생명 - 강릉제일고 - 강일여고 - 부영2차아파트 - 지변동 → 강릉원주대후문 → 문성고 → 강릉원주대후문 → 강릉원주대학교 → 지변동 → 이후 역순


1.2. 폐지된 노선[편집]


파일:강릉시 CI_White.svg 강릉시 시내일반버스 20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GN203_Map.svg
기점강원도 강릉시 견소동(안목)종점강원도 강릉시 유천동(유천동종점)
종점행첫차09:15기점행첫차10:03
막차18:00막차18:48
운수사명동진버스배차 간격1일 3회(평일에만 운행)
노선안목 - 초당분수공원 - 경포고등학교 - 동인병원입구 - 포남1동주민센터 - 로얄아파트 - 용지각 - 교보생명 - 강릉제일고 - 강일여고 - 교2동주민센터 - 율곡중학교 - 오죽헌 - 문성고등학교 - 강릉원주대학교 - 유천동종점



2. 개요[편집]


강릉시 견소동 안목 정류장에서 강릉원주대까지 가는 시내버스 노선. 동진버스와 동해상사고속에서 공동배차로 운행하고 있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200번, 201번, 203번)


3. 역사[편집]


  • 2003년 4월 1일 노선번호 변경 때 1번이 203번으로, 3번이 200번으로, 3-1번이 201번으로 변경되었다.

  • 203번은 하루에 3번 강릉대학교 뒤편 유천동 마을까지 들어간다. 대형차량으로 마명산 길을 넘어가는데, 시멘트로 된 1차선 도로를 달리는 것이 특징이었으나 강릉원주대를 관통하는 마을도로 및 교내도로 정비사업으로 인하여 2017년 7월 7일에 강릉원주대 치대 앞 큰길 우회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노선이 큰길로 변경이 되면서 저상버스가 들어간다. 저상버스로 유천동 구간을 운행하는 모습.

  • 2018년 11월 1일에 200~1번이 감회되었다. 그 중 201번은 동진버스 운행분 중 강릉원주대 출발 시간대만 1일 9회에서 7회로 감회되었다. 강릉시 공지사항

  • 2019년 12월 9일 개편을 맞아 200번은 안목발 2회(12:28, 20:26), 강대발 4회(09:41, 13:16, 15:40, 21:14)가 감편된다. 201번은 안목발 2회(08:53, 17:30)가 줄어든다.

  • 2020년 3월 7일에 코로나 19 사태 장기화 여파로 강릉시 방문 관광객 및 교통수요가 감소하면서 시내버스 배차를 일, 공휴일 배차로 운행하면서 201번의 운행이 사실상 중단되었다. 그러나 평일에 한해 5.5회 운행하도록 조정되었다가 다시 사라졌다.

  • 2022년 5월 2일부로 203번이 폐선되고 대신 200번이 3회 증회되며, 203번의 대체 노선으로 유천지구 우미린아파트와 유천동 종점을 오고가는 948번을 신설하였다.

  • 2023년 3월 1일부로 200번의 증회가 이뤄졌다.


4. 특징[편집]



  • 학기중 평일과 주말, 방학기간의 배차간격 차이가 심하다. 학기중에는 다른 가지노선(201, 204, 205)들과 함께 다니는 시너지 효과로 평일에는 통합으로 7~10분 간격으로 자주 다니지만, [2] 방학이 되면 위의 가지노선들이 싸그리 운행을 하지 않고, 200번 노선 배차도 30분(30회)으로 벌어진다.[3] 코로나 19 이후로는 200, 205번을 합쳐서 34회(3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다만 주말/공휴일/방학기간에는 지선들의 운행 중단과 200번 자체의 감회로 인해 1시간 간격으로 늘어난다. 그래서 강릉원주대학교 학생들은 방학이 되면 방학에도 별다른 감차가 되지 않는 관동대학교의 220, 222, 223번을 보고 기묘한 감정을 느끼기도 한다. 그나마 관대쪽은 순전히 통학수요를 빼면 아무 것도 없다시피한[4] 강대와는 다르게 내곡동, 회산동이라는 수요처가 있기 때문에 유지되는 것으로 보인다.

  • 평일에는 5.5회[5] 오죽헌 대신 솔올지구를 경유하는 201번이 같이 운행한다. 통학노선의 성향이 있어서인지 안목 방향에 한해서는 오전을 제외하고는 학교의 하교시간에 맞춰서 운행된다. 강릉대 방향으로는 40~1시간 간격으로 고루 운행되는 편. 이러한 노선의 성향 때문에 201번으로 강릉대에 들어와놓고 200번으로 돌아나가거나 200번으로 들어온 버스가 201번으로 돌아나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주말이나 방학기간에는 운행하지 않아, 강릉원주대 일대에 사는 주민들에게 불편을 주고 있다.

5. 일 평균 승차량[편집]



강릉 버스 200
연도2016년2017년2018년
승차량(명)122811321320


6. 시간표[편집]



6.1. 200번[편집]


강릉 버스 200번 운행시간표
2023년 3월 1일 기준 / 출처
순번안목 출발강릉대 출발업체비고
16:507:38동해상사매일 운행
27:358:23동진버스
38:058:53토/일/공 운행 없음
48:209:08동해상사
58:359:23매일 운행
68:509:38동진버스토/일/공 운행 없음
79:2010:08
89:5010:38강릉대 방면 토/일/공 운행 없음
안목 방면 매일 운행
910:0510:53동해상사토/일/공 운행 없음
1010:2011:08매일 운행
1110:3511:23동진버스토/일/공 운행 없음
1211:0511:53
1311:3512:23매일 운행
1412:0512:53동해상사
1512:2013:08동진버스토/일/공 운행 없음
1612:5013:38
1713:2014:08매일 운행
1813:3514:23동해상사토/일/공 운행 없음
1913:5014:38매일 운행
2014:0514:53동진버스토/일/공 운행 없음
2114:3515:23강릉대 방면 토/일/공 운행 없음
안목 방면 매일 운행
2215:0515:53토/일/공 운행 없음
2315:2016:08동해상사
2415:3516:23매일 운행
2515:5016:38동진버스토/일/공 운행 없음
2616:2017:08
2716:5017:38매일 운행
2817:2018:08동해상사
2917:3518:23동진버스토/일/공 운행 없음
3018:0518:53
3118:3519:23매일 운행
3218:5019:38동해상사토/일/공 운행 없음
3319:0519:53매일 운행
3419:2020:08동진버스토/일/공 운행 없음
3519:5020:38
3620:2021:08매일 운행

코로나19로 인한 감차로 인하여 201번은 아예 운행을 하지 않고, 평일 한정으로 동해상사가 운행하는 댓수에 따라 시간표가 자주 변동된다. 이 사이트를 참고하면 나온다.

7. 연계 철도역[편집]


없음.

[1] 안목→강릉대 14회/강릉대→안목 16회[2] 실제로 하루 52회 운행을 하는데 이른 아침시간에는 통학버스용으로 201번 같은 노선이 더 운행되는 등 배차조절 없이 평시의 배차로 넘어오면, 배차가 10~15분 사이로 조금 당겨지기도 한다. 201, 203, 204, 205번을 합치면 40회나 더 운행되는 수준.[3] 203, 205번을 합쳐도 방학평일, 토, 일, 공에는 41회만 운행.[4] 오죽헌 안 쪽까지 경유하기는 해도 배차간격이 좋은 주문진 노선이 큰 길에도 서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다.[5] 과거에는 18회였고, 최후에는 5.5회 운행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