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9[[분류: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table align=right><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dcdcdc,#434343><bgcolor=#fff,#1f2023>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宜}}}마땅 의 || ||<-2><width=25%>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width=25%><colbgcolor=#fff,#1f2023> {{{#!wiki style="margin:-2px" [[宀|{{{#000,#fff 宀}}}]], 5획}}} ||<-2><width=25%>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width=25%><colbgcolor=#fff,#1f2023>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span lang="ja" style="font-family: MS PGothic, MS Gothic, Meiryo, MS PMincho, MS Mincho, Hiragino Kaku Gothic Pro">-</span>}}}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ギ{{{#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うべ, むべ, よろ-しい}}}}}}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span lang="zh-CN" style="font-family: Microsoft YaHei, SimHei, SimSun">-</span>}}}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í{{{#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宜는 ''''마땅 의''''라는 [[한자]]로, '마땅하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5B9C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十月一(JBM)로 입력한다. [[갑골문]]상에서 이 글자는 도마 또는 제단([[且]]) 위에 고기([[肉]]) 두 점이 올라와 있는 형태로 나타난다. 즉 제물로 바칠 고기를 본뜬 [[회의자]]다. 이후 [[금문]]과 [[전서]]에서부터 제단의 형상이 위 아래로 분리되어 [[宀]]+肉+一의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하며, 현재의 자형은 肉+一의 형태가 다시 且 자의 형태로 뭉개지면서 나타난 것이다. 한편 이 글자는 원래 '익힌 고기' 등의 뜻을 나타내었으나, 이후 [[가차자|가차]]되어 '마땅하다', '마땅히 ~하여야 한다' 등의 뜻을 나타내게 되었다. == 용례 == === [[단어]] === * 시의성([[時]]宜[[性]]) * 의당(宜[[當]]) * [[편의]]([[便]]宜) * [[편의점]]([[便]]宜[[店]])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기노자 노부치카]](宜[[野]][[座]] [[伸]][[元]]) * [[김의영]]([[金]]宜[[泳]]) * [[무유의]]([[武]][[攸]]宜) * 양페이이([[楊]][[沛]]宜): [[2008 베이징 올림픽/개막식|2008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 때 개막송 [[가창조국]]을 실제로 부른 인물. * [[오라나랍 의수]]([[烏]][[拉]][[那]][[拉]] 宜[[修]]) * [[최영의]]([[崔]][[永]]宜) * [[홍의락]]([[洪]]宜[[洛]]) * [[Hezz|홍의진]]([[洪]]宜[[珍]]) === [[지명#s-2]] === * [[의령군]](宜[[寧]][[郡]]): [[경상남도]]의 [[기초자치단체]]. === [[창작물]] === === 기타 === == 유의자 == * [[當]](마땅 당) * [[穩]](편안할 온) * [[妥]](온당할 타) * [[該]](마땅 해) == 상대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䯶]](다리꼭지 만) * [[査]](조사할 사) * [[宣]](베풀 선) * [[㚗]](큰 입 자) * [[苴]](암삼 저) * [[罝]](짐승그물 저) [include(틀:포크됨2, title=宜, d=2023-11-07 16:1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