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XT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WWE에 소속된 다른 위민스 챔피언십에 대한 내용은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 문서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번 문단을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nxt위민태그.png
타이틀 명칭NXT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
마지막 챔피언알바 파이어 & 아일라 던
챔피언 등극일2023년 4월 1일
NXT 스탠드 & 딜리버 2023
이전 챔피언팰런 헨리 & 키아나 제임스
단체WWE
벨트 창설일2021년 3월 10일
벨트 폐지일2023년 6월 23일
【 기록 펼치기 · 접기 】
초대 챔피언다코타 카이 & 라켈 곤잘레스
마지막 챔피언알바 파이어 & 아일라 던
최다 획득 챔피언
(팀)
다코타 카이 & 라켈 곤잘레스
톡식 어트렉션
지지 돌린 & 제이시 제인
2회
최다 획득 챔피언
(개인)
다코타 카이
라켈 곤잘레스
지지 돌린
제이시 제인
2회
최장기간 챔피언케이든 카터 & 카타나 챈스186일
최단기간 챔피언다코타 카이 & 라켈 곤잘레스48분 48초
최고령 챔피언캔디스 르래이35세
최연소 챔피언록샌 페레즈20세
1. 개요
2. 역대 챔피언 목록
3. 여담



1. 개요[편집]


2021년 3월 10일, NXT 단장 윌리엄 리갈의 발표로 탄생된 NXT의 여성 선수들을 위한 태그팀 챔피언십이다.[1]

2023년 WWE 드래프트를 통해 챔피언인 아일라 던과 알바 파이어가 스맥다운 소속 선수가 되어버렸고 한동안 갖고 있다가 6월 23일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인 론다 로우지와 셰이나 베이즐러와의 통합 챔피언십 경기에서 WWE 위민스 태그팀 챔퍼인십으로 통합되었다.

2. 역대 챔피언 목록[편집]


파일:나무위키+유도.png   현재 챔피언이나 최다 횟수 및 최장 보유 기간 등 중요한 부분에만 '''강조''' 표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브랜드 색상은 처음 획득한 시점에서 소속된 브랜드 기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선수 옆 괄호 속 숫자는 선수 개인의 타이틀 획득 횟수.

#이름챔피언 횟수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
이벤트비고
1다코타 카이 & 라켈 곤잘레스1회2021년 3월 10일 (48분 48초)WWE NXT
2쇼치 블랙하트 & 엠버 문1회2021년 3월 10일 (55일)WWE NXT
3더 웨이
캔디스 르래이 & 인디 하트웰
1회2021년 5월 4일 (63일)WWE NXT
4시라이 이오 & 조이 스타크1회2021년 7월 6일 (112일)WWE NXT : WWE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2021)
5톡식 어트렉션
지지 돌린 & 제이시 제인
1회2021년 10월 26일 (158일)WWE NXT 2.0 : WWE 할로윈 해벅(2021)[2]
6다코타 카이(2) & 라켈 곤잘레스(2)2회2022년 4월 2일 (3일)NXT 스탠드 & 딜리버 2022
7톡식 어트렉션
지지 돌린(2) & 제이시 제인(2)
2회2022년 4월 5일 (92일)WWE NXT 2.0
8록샌 페레즈 & 코라 제이드1회2022년 7월 5일 (14일)WWE NXT 2.0 : WWE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2022)
-공석-2022년 7월 26일[3]WWE NXT 2.0[4][5]
9케이든 카터 & 카타나 챈스1회2022년 8월 2일 (186일)WWE NXT 2.0[6]
10팰런 헨리 & 키아나 제임스1회2023년 2월 4일 (56일)NXT 벤전스 데이 2023
11알바 파이어 & 아일라 던1회2023년 4월 1일 (83일)NXT 스탠드 & 딜리버 2023[7]
-폐지-2023년 6월 23일WWE 스맥다운[8]


3. 여담[편집]


  • 챔피언 타이틀을 통합시켰던 레슬러들을 마지막 챔피언으로 인정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알바 파이어 & 아일라 던이 마지막 챔피언이 맞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1 12:11:06에 나무위키 NXT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해당 챔피언십의 탄생으로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은 RAW와 스맥다운 브랜드만이 공유하는 챔피언십이 되었다.[2] NXT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으로 열린 인디 하트웰 & 퍼시아 피로타 VS 톡식 어트렉션 (지지 돌린 & 제이시 제인) VS 시라이 이오 & 조이 스타크 간의 래더 매치에서 승리하며 챔피언에 등극했다. [3] 코라 제이드 : ~2022년 7월 19일 / 록샌 페레즈 : ~2022년 7월 26일[4] 7월 12일 NXT에서 코라 제이드록샌 페레즈를 배신한 후, 19일 NXT에서 코라 제이드가 NXT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벨트를 쓰레기통에 버리며 더이상 자신에게 아무 의미가 없다고 주장하고는 록샌 페레즈한테 혼자서 잘 해보라는 말을 남기며 코라 제이드의 자리가 공석 처리되었다. #[5] 7월 26일 NXT에 깜짝 등장한 얼룬드라 블레이즈의 발표로 록샌 페레즈의 챔피언 자리도 공석 처리됨과 함께 8월 2일에 페이탈 포 웨이 일리미네이션 태그팀 매치에서 새로운 챔피언을 위한 경기가 열릴 예정이라고 발표했다.##[6] 케이든 카터 & 카타나 챈스 VS 발렌티나 페로즈 & 율리사 레온 VS 테이텀 팩슬리 & 아이비 나일 VS 톡식 어트렉션 (지지 돌린 & 제이시 제인) 간의 페이탈 4 웨이 일리미네이션 태그팀 매치에서 승리하며 챔피언에 등극했다.[7] 이후 알바 파이어와 아일라 던이 스맥다운으로 콜업되면서 벨트는 스맥다운 소속이 된다.[8]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과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