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N708PA

덤프버전 :

파일:보잉 707의 첫 이륙.png파일:최초의 보잉 707.jpg
1957년 12월 20일, 워싱턴 주 렌튼 공항에서 처음으로 이륙하는 모습1959년, 파리 르부르제 공항에서

1. 개요
2. 소개
3. 팬 아메리칸 항공 292편 추락 사고
4. 기타




1. 개요[편집]


N708PA는 팬 아메리칸 항공이 보유했던 보잉 707-120로 1955년 10월 13일에 팬암이 구매한 20대의 보잉 707 중 한 대이다. 이 기체의 일련 번호는 17586이었으며, 라인 번호는 1이었다.

즉, 이 기체는 최초로 생산된 보잉 707이자[1] 최초로 생산된 보잉산 제트기, 최초로 생산된 현대식 제트 여객기[2]라는 대기록들을 보유했지만, 후술할 사고로 유실되면서 오늘날에는 전해지지 않는다.


2. 소개[편집]


이 기체는 1957년 10월 28일에 롤아웃되었고, PST 기준으로 동년 12월 20일 오후 12시 30분에 워싱턴 렌튼 공항에서 보잉 필드[3]까지 앨빈 M. 존스턴[4]의 조종으로 최초의 비행을 했다. 첫 비행 당일에는 맨 위의 사진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 비가 많이 와서 비행을 단 7분밖에 하지 못했다고 한다. 여담으로 비가 그친 후에 한 2번째 비행에서는 1시간 11분 동안 하늘을 날았다고 한다.

그리고 이 기체는 1958년 11월 30일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에서 팬암에 인도되었으며, 팬암은 전통처럼 이 기체에 '클리퍼 컨스티튜션(Clipper Constitution)'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1965년 2월에는 원래의 JT3C 터보제트 엔진을 JT3D-1 터보팬 엔진으로 교체했다. 그러나...


3. 팬 아메리칸 항공 292편 추락 사고[편집]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발생일1965년 9월 17일
유형조종사 과실, 악천후
발생 위치V. C. 버드 국제공항 인근 화산
탑승인원승객: 21명
승무원: 9명
사망자탑승객 30명 전원 사망
기종보잉 707-121B
항공사팬 아메리칸 항공
기체 등록번호N708PA
출발지마르티니크 에메 세제르 국제공항
1차 경유지V. C. 버드 국제공항
2차 경유지루이스 무뇨스 마린 국제공항
도착지존 F. 케네디 국제공항

1965년 9월 17일에 N708PA는 21명의 승객과 9명의 승무원을 태우고 마르티니크 마르티니크 에메 세제르 국제공항에서 여러 경유지를 거쳐 뉴욕JFK 국제공항으로 가려는 비행을 하다가 첫 경유지였던 앤티가 바부다V. C. 버드 국제공항에 착륙하던 중 폭풍우 속에서 915m 높이의 화산에 841m 고도로 충돌, 화재가 발생하며 이 역사적인 기체는 파괴되고 탑승객 30명은 전원 사망했다.

원인은 조종사가 위치를 확신하지 못한 채 착륙하는 과정에서 안전 최저 고도 아래로 하강하며 발생한 것이었다고 한다.


4. 기타[편집]


  • 이 사고 2년 전인 1963년에는 최초로 팬암에게 인도된 보잉 707인 N709PA도 벼락을 맞고 파괴되었으며, 처음으로 여객 비행을 한 보잉 747N736PA도 1977년에 항공 사상 최악의 참사로 파괴되었다.[5] 거기다가 세계 최초로 상업 운항을 한 제트 여객기인 G-ALYP(DH-106 코멧)마저 영국해외항공 781편 공중분해 사고로 파괴된 이력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1 15:35:47에 나무위키 N708PA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367-80은 프로토타입에 가까웠으니 논외.[2] DC-8의 프로토타입은 1958년 3월 26일에 롤아웃되었다.[3] 오늘날의 페인 필드와는 별개의 장소다.[4] Elvin Melvin "Tex" Johnston, 1914~1998, 보잉사의 테스트 파일럿. 이 비행 전에는 B-52의 초도비행도 맡았으며, 1955년 8월 6일에 367-80을 조종할 때 배럴 롤(Barrel Roll, 조종석의 스틱을 당기는 것과 동시에 롤을 주어 기동하여 비행 경로를 지그재그 모양으로 만드는 기법.)을 2번이나 돌린 것으로 유명하다.[5] 그나마 처음으로 여객 비행을 한 보잉 707인 N711PA와 처음으로 팬암에 인도된 보잉 747인 N733PA, 747 양산 1호기인 N747PA는 사고로 유실되지 않았지만, 이것들 역시 제대로 보존되지 못하고 스크랩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