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리가

덤프버전 :

분류





독일 3. 리가
파일:3. 리가 로고.svg
정식 명칭독일 3. 리가
영문 명칭3. Liga
창설 연도1950년 아마토이어리가
1974년 오버리가
1994년 레기오날리가
2008년 3. 리가
참가 팀 수20팀
상위 리그2. 분데스리가
하위 리그레기오날리가
최근 우승팀파일:SV 07 엘버스베르크 로고.svg SV 07 엘버스베르크 (2022-23)
최다 우승팀파일:VfL 오스나브뤼크 로고.svg VfL 오스나브뤼크 (2회)
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SG 디나모 드레스덴 (2회)
파일:1. FC 마그데부르크 로고.svg 1. FC 마그데부르크 (2회)
최다 득점자안톤 핑크[1] (136골)
웹사이트파일:3. 리가 워드마크.svg

1. 개요
2. 역사&형식
3. 3. 리가와 대한민국
5. 역대 시즌
5.1. 2017-18 시즌
5.2. 2018-19 시즌
5.3. 2019-20 시즌
5.3.1. 2019-20 최종 순위
5.4. 2020-21 시즌
5.4.1. 2020-21 최종 순위
5.5. 2021-22시즌
5.5.1. 최종 순위
5.6. 2022-23시즌



1. 개요[편집]


2022–23 프로모션 영상
독일의 3번째 상위 축구 리그, 즉 3부 리그이다. 독일 축구에서 가장 낮은 단계의 전국구 리그이자 최하위 프로리그이며 총 20개의 클럽이 리그에 참여하게 된다. 상위의 1~2부가 별도의 리그 연맹을 보유한 것과 달리 독일 축구 연맹(DFB) 직할이다. 따라서 3부리그에는 분데스리가라는 말이 붙지 않는다.

독일 프로리그의 최말단이지만, 평균 관중 수는 2019–20시즌 기준 6,123명[2]으로 3부 리그치곤 꽤 많다.


2. 역사&형식[편집]


2008-09 시즌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총 20개 클럽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총 38경기씩을 치르며, 1, 2위 팀은 다음 시즌 2. 분데스리가로 자동승격, 3위 팀은 2. 분데스리가의 16위 팀과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승강 플레이오프를 거쳐 승격 혹은 잔류가 결정되게 된다. 17, 18, 19, 20위 팀은 다음 시즌 하부 리그(4부격)인 레기오날리가로 강등된다.

독일 리그 시스템에서 리저브 팀은 3. 리가까지 출전이 허용된다.


3. 3. 리가와 대한민국[편집]


  • 2021-22 시즌 기준.
  • 현역 선수는 볼드체로 표기한다.
파일:3. 리가 로고.svg
순서[3]이름클럽기간[4]등번호출전팀성적
(20)
주요 기록
1지동원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2014-15405018위
2최경록파일:카를스루어 SC 로고.svg
2018-1937210준우승
3홍현석파일:SpVgg 운터하힝 로고.svg
2018-19357010위
4정우영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2019-2021151우승키커 선정 3.리가 윙어 1위
5박이영파일:튀르크귀쥐 뮌헨 로고.svg
2020-21228013위
6홍석주파일:FC 빅토리아 쾰른 1904 로고.svg
2021-223810진행중
7이지한파일:SC 프라이부르크 로고.svg
2021-221300진행중

독일 프로축구에서도 제일 말단의 위치라 한국선수들이 없을 것 같지만 몇몇 존재한다. 독일 프로축구에서 한 구단의 리저브 팀이 최대한으로 승격할 수 있는 위치가 이 3. 리가다. 때문에 분데스리가 선수가 실전 감각 유지, 혹은 부상 이후 경기력 회복을 위해 2군 경기에 뛰는 경우 그 2군팀이 3. 리가에 있다면 자연히 그 선수는 3. 리가 경기를 뛰는 것이므로 자연히 발자취를 남기는 것이다. 이런 케이스가 바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시절의 지동원이다.

반면 기회를 찾아 3. 리가까지 온 선수가 최경록이다. FC 장크트파울리에서 입지가 좁아지자 과감하게 2018-19시즌 3. 리가로 떨어진 카를스루어 SC에 입단하였다. 최경록은 이곳에서 21경기를 소화하면서 팀을 승격시키는 데 공헌을 하고 팀과 함께 다시 2. 분데스리가로 돌아갔다.

홍현석울산 현대에서 임대되어 2018-19시즌 SpVgg 운터하힝에서 프로 데뷔와 함께 경험을 쌓고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로 넘어간다.

정우영도 2019-20시즌에 SC 프라이부르크에서 1군 출전 기회를 잡지 못하고 2군이 소속된 4부 리그에서만 뛰며 폼이 떨어지자 후반기에 FC 바이에른 뮌헨 II으로 6개월간 임대로 뛰며 팀을 리그 우승으로 이끌고 원 소속팀으로 돌아가 그 다음 시즌부터는 1부 리그에서 간간히 출전하며 분데스리가 데뷔골을 시작으로 팀의 주전급으로 자리매김했다. 현재는 국가대표급 선수가 되었으니 3부리그에서의 경험이 터닝 포인트가 된 셈이다.

2020-21 시즌에는 박이영이 부상으로 떨어진 폼을 되찾기 위해 3. 리가로 한 시즌 임대를 결정하며 4부리그에서 승격해 올라온 튀르크귀쥐 뮌헨에서 뛰었다.

2021-22 시즌에는 홍석주FC 빅토리아 쾰른 1904 U19 유스 출신으로 1군 데뷔에 성공하면서 6번째 한국인 3. 리거가 되었다. 또한 2022년 겨울, 보인고등학교 출신 이지한SC 프라이부르크의 2군팀[5]에 합류하며 3. 리가에서 뛰게 되었다.

4. 기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3. 리가/기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역대 시즌[편집]



5.1. 2017-18 시즌[편집]


참가 클럽전시즌 순위특이사항
카를스루어 SC-2. 분데스리가 17위로 강등
FC 뷔르츠부르크 키커스-2. 분데스리가 18위로 강등
1. FC 마그데부르크4위-
FSV 츠비카우5위-
VfL 오스나브뤼크6위-
SV 베헨 비스바덴7위-
켐니츠 FC8위-
SC 프로이센 뮌스터9위-
SG 소넨호프 그로스아스파흐10위-
VfR 알렌11위-
슈포르트프로인데 로테12위-
할레셔 FC13위-
FC 로트바이스 에어푸르트14위-
FC 한자 로스토크15위-
SC 포르투나 쾰른16위-
SV 베르더 브레멘 II17위-
SC 파더보른 0718위[6]
FC 카를 차이스 예나-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우승
SV 메펜-레기오날리가 베스트 우승
SpVgg 운터하힝-레기오날리가 바이에른 우승


5.2. 2018-19 시즌[편집]




5.3. 2019-20 시즌[편집]


참가 클럽전시즌 순위특이사항
1. FC 마그데부르크-2. 분데스리가 17위로 강등
MSV 뒤스부르크-2. 분데스리가 18위로 강등
FC 잉골슈타트 043위승격 플레이오프 패배
할레셔 FC4위-
뷔르츠부르크 키커스5위-
FC 한자 로스토크6위-
FSV 츠비카우7위-
SC 프로이센 뮌스터8위-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9위-
SpVgg 운터하힝10위-
KFC 위어딩엔 0511위-
TSV 1860 뮌헨12위-
SV 메펜13위-
FC 카를 차이스 예나14위-
SG 소넨호프 그로스아스파흐15위-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16위-
켐니츠 FC-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우승
FC 빅토리아 쾰른 1904-레기오날리가 베스트 우승
SV 발트호프 만하임-레기오날리가 쥐트베스트 우승
FC 바이에른 뮌헨 II-레기오날리가 승격 플레이오프 우승


5.3.1. 2019-20 최종 순위[편집]




5.4. 2020-21 시즌[편집]


참가 클럽전시즌 순위특이사항
SV 베헨 비스바덴-2. 분데스리가 17위로 강등
SG 디나모 드레스덴-2. 분데스리가 18위로 강등
FC 바이에른 뮌헨 II1위[7]
FC 잉골슈타트 044위승강 플레이오프 패배
MSV 뒤스부르크5위
FC 한자 로스토크6위
SV 메펜7위
TSV 1860 뮌헨8위
SV 발트호프 만하임9위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10위
SpVgg 운터하힝11위
FC 빅토리아 쾰른 190412위
KFC 위어딩엔 0513위
1. FC 마그데부르크14위
할레셔 FC15위
FSV 츠비카우16위
1. FC 자르브뤼켄-레기오날리가 쥐트베스트 우승
VfB 뤼베크-레기오날리가 노르트 우승
SC 페를-레기오날리가 베스트 우승
튀르크귀쥐 뮌헨-레기오날리가 바이에른 우승
튀르크귀쥐 뮌헨이 승격하면서 유일하게 3팀이 동시에 사용하는 구장이 생겼다. 튀르크귀쥐 뮌헨이 일부 경기들에 다른 구장을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5.4.1. 2020-21 최종 순위[편집]


승점팀명승점특이사항
1위SG 디나모 드레스덴75점우승 및 승격
2위FC 한자 로스토크71점, 골득실 +19승격
3위FC 잉골슈타트 0471점, 골득실 +16승강 플레이오프
4위TSV 1860 뮌헨66점
5위1. FC 자르브뤼켄59점
6위SV 베헨 비스바덴56점
7위SC 페를55점
8위SV 발트호프 만하임52점, 골득실 -5
9위할레셔 FC52점, 골득실 -7
10위FSV 츠비카우51점, 골득실 +1
11위1. FC 마그데부르크51점, 골득실 -3
12위FC 빅토리아 쾰른 190451점, 골득실 -7
13위튀르크귀쥐 뮌헨47점
14위1. FC 카이저슬라우테른43점, 골득실 -5
15위MSV 뒤스부르크43점, 골득실 -15
16위KFC 위어딩겐 0541점, 골득실 -12강등
17위SV 메펜41점, 골득실 -24
18위FC 바이에른 뮌헨 II37점강등
19위VfB 뤼베크35점강등
20위SpVgg 운터하힝32점강등
20-21시즌이 마무리되며 바이에른 2군이 강등당해, 그륀발더를 사용하는 팀이 두 팀으로 줄었다.

KFC 위어딩겐 05는 3. 리가 라이센스를 발급받지 못하여 잔류 순위임에도 불구하고 레기오날리가로 강등당하였다.


5.5. 2021-22시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3. 리가/2021-22 시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가 클럽전시즌 순위특이사항
VfL 오스나브뤼크-2. 분데스리가 16위로 강등[8]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2. 분데스리가 17위로 강등
뷔르츠부르거 키커스-2. 분데스리가 18위로 강등
TSV 1860 뮌헨4위
1. FC 자르브뤼켄5위-
SV 베헨 비스바덴6위-
SC 페를7위-
SV 발트호프 만하임8위
할레셔 FC9위
FSV 츠비카우10위
1. FC 마그데부르크11위
FC 빅토리아 쾰른 190412위
튀르크귀쥐 뮌헨13위-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14위
MSV 뒤스부르크15위
SV 메펜17위[9]
FC 빅토리아 1889 베를린-레기오날리가 노르도스트 우승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II-레기오날리가 베스트 우승
SC 프라이부르크 II-레기오날리가 쥐드베스트 우승
TSV 하펠제-레기오날리가 노르트 우승[10]

5.5.1. 최종 순위[편집]


파일:3. 리가 워드마크.svg
2021-22 시즌 순위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1. FC 마그데부르크 로고.svg
3624668339+4478
2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svg
36181086136+2564
3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svg
3618995627+2963
4파일:TSV 1860 뮌헨 로고.svg
36171096750+1761
5파일:SV 발트호프 만하임 로고.svg
36161285840+1860
6파일:VfL 오스나브뤼크 로고.svg
361610105648+858
7파일:1. FC 자르브뤼켄 로고.svg
361411115044+653
8파일:SV 베헨 비스바덴 로고.svg
36149134944+551
9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36147155148+349
10파일:FSV 츠비카우 로고.svg
361114114644+247
11파일:SC 프라이부르크 로고.svg
361211133442-847
12파일:SV 메펜 1912 로고.svg
36138154760-1347
13파일:FC 빅토리아 쾰른 1904 로고.svg
36129153952-1345
14파일:할레셔 FC 로고.svg
361013134648-243
15파일:MSV 뒤스부르크 로고.svg
36133204671-2542
16파일:SC 페를 로고.svg
361010165666-1040
17파일:FC 빅토리아 1889 베를린 로고.svg
36107194462-1837
18파일:FC 뷔르츠부르크 키커스 로고.svg
3679203459-2530
19파일:TSV 하펠제 로고.svg
3658232871-4323
20파일:튀르크귀쥐 뮌헨 로고.svg
[1]
00000000
* 2021-22 3. 리가 우승 & 2. 분데스리가 승격
* 2022-23 2. 분데스리가 승격
* 2022-23 2. 분데스리가 승격 플레이오프 진출
* 2022-23 DFB-포칼 진출
* 2022-23 3. 리가 잔류
* 2022-23 레기오날리가 강등



5.6. 2022-23시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3. 리가/2022-23 시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가 클럽전시즌 순위특이사항
SG 디나모 드레스덴-2. 분데스리가 16위로 강등[11]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2. 분데스리가 17위로 강등
FC 잉골슈타트 04-2. 분데스리가 18위로 강등
TSV 1860 뮌헨4위
SV 발트호프 만하임5위
VfL 오스나브뤼크6위-
1. FC 자르브뤼켄7위-
SV 베헨 비스바덴8위-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II9위승격 불가
FSV 츠비카우10위
SC 프라이부르크 II11위승격 불가
SV 메펜12위
FC 빅토리아 쾰른 190413위
할레셔 FC14위
MSV 뒤스부르크15위
SC 페를16위-
로트바이스 에센-레기오날리가 베스트 우승
SV 07 엘퍼스베르크-레기오날리가 쥐드베스트 우승
SpVgg 바이로이트-레기오날리가 바이에른 우승
VfB 올덴부르크-레기오날리가 노르트 우승 & 승격 플레이오프 승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8 13:11:45에 나무위키 3. 리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87년 7월 30일 동독 다하우 출신의 축구선수. 켐니츠 FC에서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있었는데 무려 197경기에 출전하여 86골을 넣었다.현재는 SSV 울름 1846에서 뛰고 있다.[2] 그것도 후반기에 코로나-19로 인해 무관중으로 진행되어 평균치가 낮아진 것이다.[3] 이적일을 기준으로 한다.[4] 소속팀이 3. 리가 소속일 시기만 기재한다.[5] 권창훈정우영도 프라이부르크 2군에서 뛴 적은 있지만 그 당시 프라이부르크 2군은 레기오날리가 쥐트베스트(4부리그) 소속이었다.[6] 원래라면 강등당했어야 할 순위였지만 2. 분데스리가 강등플레이오프 패자였던 TSV 1860 뮌헨이 라이센스 관련 문제로 대신 4부리그로 강등당했다.[7] 리저브 팀은 2부리그 승격이 불가하다.[8] 승강 플레이오프 패배[9] 16위 KFC 위어딩엔 05의 라이센스 박탈로 생존[10] 승격 플레이오프 승자[11] 승강 플레이오프 패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