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 대학농구연맹전

덤프버전 :


2001 대학농구연맹전
1차대회 우승: 중앙대
2차대회 우승: 중앙대
2002 대학농구연맹전
우승: 연세대
2003 대학농구연맹전
우승: 연세대

1. 개요
2. 대회결과
2.1. MBC배 전국대학농구대회 (4월)
2.2. 종별선수권 (7월)
2.3. 전국체전 (10월)
2.4. 대학농구연맹전 (11월)
2.5. 세원텔레콤배 2002-03 농구대잔치
3. 시즌 결산
4. 2002년 대학선발팀
4.1. 제25회 이상백배 한-일 대학농구대회(5월)
5. 2003 KBL 드래프트 결과
6. 그때 그 선수들
6.1. 건국대
6.2. 경희대
6.3. 고려대
6.4. 단국대
6.5. 동국대
6.6. 명지대
6.7. 성균관대
6.8. 연세대
6.9. 중앙대
6.10. 한양대


1. 개요[편집]


2002년도 대학농구연맹전 및 기타 대학농구 대회들에 대해 소개한다.

대회일시우승팀MVP준우승팀3위4위비고
MBC배 전국대학농구대회4월연세대김동우(연세대)고려대경희대한양대
종별선수권7월연세대-경희대
전국체전10월연세대-상무
대학농구연맹전11월연세대전병석(연세대)경희대한양대중앙대
농구대잔치2003년 1월연세대김동우(연세대)상무경희대 / 한양대


2. 대회결과[편집]



2.1. MBC배 전국대학농구대회 (4월)[편집]


순위비고
1연세대
2고려대
3경희대패자결승
4한양대패자준결승



2.2. 종별선수권 (7월)[편집]


1연세대
2경희대


2.3. 전국체전 (10월)[편집]


1연세대
2상무


2.4. 대학농구연맹전 (11월)[편집]


1) 참가팀 및 주요 사항
  • 대학농구연맹 산하 10개 대학팀 중 8팀만 참가하였다.
  • 정식명칭은 "제39회 전국대학농구연맹전"이다.
2) 결선리그
순위결선리그비고
1연세대5 - 0우승
2경희대4 - 1준우승
3한양대3 - 2
4중앙대2 - 3
5동국대1 - 4
6성균관대0 - 5

  • MVP: 전병석(연세대)
  • 우수상: 박종천(경희대)
  • 미기상: 양동인(한양대)
  • 득점상: 정재호(경희대)
  • 리바운드상: 방성윤(연세대)
  • 어시스트상: 김상영(중앙대)
  • 수비상: 옥범준(성균관대)
  • 지도자상: 김남기(연세대)

2.5. 세원텔레콤배 2002-03 농구대잔치[편집]


2002-03 농구대잔치 항목 참조
  • 대학농구연맹 산하 10개 대학팀과 상무까지 총 11팀이 참가하였다.
  • 명색이 2002-03 농구대잔치이나, 장충체육관 대관일정 문제로 2003년 1월에 개막하였다.

순위팀명최종성적
1연세대우승
2상무준우승
3경희대4강
한양대
5성균관대6강
중앙대


3. 시즌 결산[편집]


대학우승준우승4강6강비고
연세대MBC배/종별/체전/연맹전/농구대잔치시즌 전관왕(5관왕)
경희대종별/연맹전MBC배/농구대잔치
고려대MBC배
한양대MBC배/연맹전/농구대잔치
중앙대연맹전농구대잔치
성균관대연맹전/농구대잔치
동국대연맹전


4. 2002년 대학선발팀[편집]



4.1. 제25회 이상백배 한-일 대학농구대회(5월)[편집]


감독: 박성근(성균관대)
코치: 최철권(고려대)


5. 2003 KBL 드래프트 결과[편집]


순위선수신장포지션학교선발팀KBL 커리어KBL 시즌비고
1R
1
김동우195SF연세대울산 모비스울산모비스(03-07,09-12)-서울SK(12-14)-서울삼성(13-15)10국가대표 1회(07)
2옥범준173PG성균관대부산 KTF부산KTF(03-04,06,07)-안양KT&G(07-10)5얼리엔트리
3박종천193SF경희대서울 삼성서울삼성(03-05,07-09)-울산모비스(09-15)10
4이동준186SG경희대원주 TG삼보원주TG삼보(03-04)-전주KCC(07-13)7
5석명준190SF중앙대인천 전자랜드
전주 KCC[1]
전주KCC(03-04)-부산KTF(04-06)-인천전자랜드(05-07)-창원LG(06-09)-대구오리온스(09-11)-원주동부(11-13)10
6안철호178PG-SG건국대안양 SBS안양SBS(03-04)-울산모비스(04-05)-안양KT&G(05-06)3
7전병석184SG-SF연세대전주 KCC
인천 전자랜드[2]
안양SBS/KT&G(03-06,08-10)-부산KT(10-11)6
8박광재196C연세대창원 LG창원LG(03-05,07-09)-대구오리온스(09-10)-인천전자랜드(10-12)7
9김두현188SG-SF고려대서울 SK서울SK(03-05,07-08)-울산모비스(07-10)5
10오용준193SF고려대대구 오리온스대구오리온스(03-04,05-11)-창원LG(11-12)-부산KT(12-15)-서울SK(15-17)13
2R
11
박성욱191SF중앙대대구 오리온스대구오리온스(03-05)2
12이근석194SF-PF고려대서울 SK서울SK(03-05)2
13양동인184SG한양대창원 LG창원LG(03-05)-서울SK(05-06)3
14안종호192PF한양대전주 KCC[3]울산모비스(03-04)1
15윤호진189SF연세대안양 SBS안양SBS(03-05)2얼리엔트리
16박상률175PG목포대인천 전자랜드인천전자랜드(03-05)-전주KCC(07-08)-부산KTF(08-09)-안양KT&G/KGC(09-14)9얼리엔트리
17조상훈203C중앙대원주 TG삼보원주TG삼보(03-04)-KBL 출전 없음
18이현호190PF고려대서울 삼성서울삼성(03-06)-안양KT&G(06-10)-인천전자랜드(09-16)13
19문종호183SG동국대부산 KTF부산KTF(03-04)1
20박정완185SG-SF연세대울산 모비스[4]원주TG(03-04)-KBL 출전 없음
3R
22
이원호197C성균관대부산 KTF부산KTF(03-04)-KBL 출전 없음
23석승호194SF단국대서울 삼성서울삼성(03-04)1
26김봉후191SG-SF동국대안양 SBS안양SBS(03-04)-KBL 출전 없음
27송유섭192SF-PF중앙대전주 KCC전주KCC(03-04)-KBL 출전 없음
29임정훈178PG연세대서울 SK서울SK(03-04)-창원LG(05-06)2얼리엔트리


6. 그때 그 선수들[편집]


항목이 개설되지 않은 4학년 선수들을 위주로 소개한다.


6.1. 건국대[편집]


  • 이오석(4학년,G,175cm): 휘문고 졸. Undrafted.
휘문고 3학년 때 동기 오용준, 후배 방성윤과 함께 휘문고를 두차례 전국대회 결승전(춘계연맹전, 대통령기)에 올려놓았고, 대통령기 결승전에선 김동우의 명지고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이오석은 대회 MVP에도 올랐다. 건국대 진학 후 4년간 황소군단의 주전 포인트가드로서 팀을 이끌었으나, 이시기에 건국대의 성적이 좋지 않았고 이 바람에 KBL 드래프트에서도 외면받았다.[5]
  • 안철호(4학년,G,178cm): 상산전자고 졸. 안양SBS(03-04)-울산모비스(04-05)-안양KT&G(05-06). 3시즌.
  • 노경석(1학년,G/F,188cm)
  • 남호진(3학년,F,192cm)
  • 김민철(4학년,C,196cm): 휘문고 졸. Undrafted.
  • 백승필(2학년,G,180cm)
  • 이민규(1학년,F,188cm)
  • 이현수(3학년,F,194cm)
  • 백천웅(2학년,C,203cm)


6.2. 경희대[편집]




6.3. 고려대[편집]


  • 임용석(4학년,G,185cm): 명지고 졸. Undrafted.
명지고 3학년 때 주전 가드로 뛰면서 동기 김동우와 함께 팀의 전국대회 우승에 기여했고 청소년 대표에도 뽑히며 엘리트 코스를 밟았다. 그러나 대학 입학 후 거듭된 부상에 시달렸고 결국 드래프트에서 지명받지 못했다. 이후 대학원 석사과정에 들어가 석사학위를 받았고 2006년 일반인 자격으로 드래프트에서 다시 도전했으나 이번에도 지명받지 못했다. 박사학위를 받은 뒤 2015년 2학기부터 충북대학교 체육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6.4. 단국대[편집]


  • 박상기(2학년,G,185cm)
  • 김정윤(1학년,F,187cm)
  • 서도용(3학년,F,193cm)
  • 석승호(4학년,F,194cm). 부산동아고 졸. 서울삼성(03-04)
  • 김영재(2학년,C,198cm)

  • 금병성(1학년,G,185cm)
  • 우진욱(1학년,F,193cm)
  • 홍진보(1학년,F,193cm)


6.5. 동국대[편집]


  • 김현중(2학년,G,181cm)
  • 문종호(4학년,G,183cm). 부산동아고 졸.
  • 심재혁(4학년,F,184cm)
  • 김봉후(4학년,F,191cm). 송도고 졸.
  • 이승현(2학년,C,195cm)
  • 추철민(2학년,G,179cm)
  • 박범재(1학년,F,185cm)
  • 전규철(2학년,F,189cm)
  • 권정학(3학년,C,194cm)


6.6. 명지대[편집]


  • 이우정(4학년,G,180cm). 양정고 졸. 대구오리온스(03-05)
원래 97학번으로 재학 중 상무에서 병역을 마쳤다.
  • 서병원(4학년,G,186cm). 경복고 졸. 부산KTF(03-04)
  • 윤지광(2학년,F,188cm)
  • 홍용철(3학년,C,193cm)
  • 강윤식(3학년,C,198cm)
  • 이원수(1학년,G,180cm)
  • 김원(2학년,F,192cm)
  • 고승진(3학년,F,197cm)


6.7. 성균관대[편집]


  • 옥범준(3학년,G,173cm): 얼리엔트리.
  • 김경범(3학년,G,181cm)
  • 임효성(3학년,G,180cm)
  • 임재원(1학년,F,197cm)
  • 이정호(3학년,C,201cm)
  • 이창우(4학년,G,178cm)
  • 홍의선(2학년,F,192cm)
  • 박상우(1학년,C,200cm)
  • 이원호(4학년,C,197cm)


6.8. 연세대[편집]


  • 이정석(2학년,G,182cm)
  • 전병석(4학년,G/F,184cm): 낙생고 졸. 안양SBS/KT&G(03-06,08-10)-부산KT(10-11). 6시즌.
  • 방성윤(2학년,F,195cm)
  • 김동우(4학년,F,195cm): 명지고 졸. 울산모비스(03-07,09-12)-서울SK(12-14)-서울삼성(13-15). 10시즌.
  • 박광재(4학년,C,196cm): 경복고 졸. 창원LG(03-05,07-09)-대구오리온스(09-10)-인천전자랜드(10-12). 7시즌.
  • 임정훈(3학년(얼리엔트리),G,178cm): 삼일상고 졸. 서울SK(03-04)-창원LG(05-06). 2시즌.
  • 박정완(4학년,F,185cm): 강원사대부고 졸. 원주TG(03-04). KBL 출전 없음.
  • 최승태(2학년,G,189cm)
  • 이상준(2학년,F,192cm)
  • 진상원(2학년,F,194cm)
  • 전정규(1학년,F,190cm)
  • 이정협(3학년,F,193cm)
  • 윤호진(3학년(얼리엔트리),F,189cm): 단대부고 졸. 안양SBS(03-05). 2시즌.
  • 김종완(2학년,C,197cm)


6.9. 중앙대[편집]




6.10. 한양대[편집]


  • 양동근(3학년,G,181cm)
  • 양동인(4학년,G,181cm): 계성고 졸. 창원LG(03-05)-서울SK(05-06). 3시즌.
  • 서동용(2학년,F,186cm)
  • 김승민(2학년,F,193cm)
  • 안종호(4학년,F/C,194cm): 명지고 졸. 울산모비스(03-04). 1시즌.
명지고 시절 이정래, 김기만과 함께 명지고를 1995년도 전국대회 3관왕(대통령기, 종별, 학산배)에 올려놓았던 단신센터로, 한양대 진학후 1학년때부터 주전센터로 뛰며 1996년 MBC배 신인상을 차지하기도 했다. 당시로선 다소 특이하게도 2학년을 마치고 상무에 입대해 군 복무를 했는데, 당시 상무 입대 동기가 윤제한, 장영재였고 같이 뛴 선임들로는 김병철, 김희선, 박재일 등이 있었다. 제대 후 복학해 김태완, 박유진이 졸업한 한양대의 골밑을 지키며 한양대를 대학 4강권으로 이끌었고, 활약을 인정받아 2003년 KBL 드래프트 전체 14순위로 전주 KCC에 지명받았다가 시즌 개막 직전 울산 모비스로 트레이드 되었다. 하지만 1군 무대에선 통산 단 한경기밖에 출장하는데 그쳤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01:39:14에 나무위키 2002 대학농구연맹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인천 전자랜드-전주 KCC간 1R 지명권 교환으로, 드래프트 직후 전주 KCC로 이적.[2] 인천 전자랜드-전주 KCC간 1R 지명권 교환으로, 드래프트 직후 인천 전자랜드로 이적했다. 이후 인천 전자랜드가 FA가 된 김훈(안양 SBS)을 영입할때 보상선수로 안양 SBS로 이적하면서 프로 데뷔는 안양 SBS에서 하게되었다.[3] 03-04 데뷔 시즌을 앞두고 울산 모비스 장영재(197cm,C)와 1:1 트레이드를 통해 울산 모비스로 이적했다.[4] 03-04 시즌 개막전, 울산모비스-원주TG간 2:1 트레이드(울산 모비스 get: 김승기 ↔ 원주 TG get: 정훈, 박정완)에 끼어 원주TG로 이적했다.[5] 2003 KBL 드래프트에서 연세대 후보선수 3인방 임정훈(178cm,G), 윤호진(189cm,F), 박정완(185cm,F)이 모두 지명된걸 보면 명문대 프리미엄이 어느 정도 작용했을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년도인 2002년 드래프트땐 이들보다 출장기회가 그나마 많았던(어차피 식스맨이었지만) 군산고 출신 신동경이 지명을 못 받았던 것을 보면 매년 드래프트 현장 분위기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