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2년 지방선거

덤프버전 :

파일:투표 아이콘(흰 테두리).svg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펼치기 · 접기 ]

종류최근선거다음선거
대통령 선거19대
2017년 5월 9일
20대
2022년 3월 9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대 · 2대 · 3대 · 3.15 · 4대 · 5대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국회의원 선거21대
2020년 4월 15일
22대
2024년 4월 10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제헌 · 2대 · 3대 · 4대 · 5대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21대 · 22대
전국동시지방선거7회
2018년 6월 13일
8회
2022년 6월 1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952 · 1956 · 1960 · 1991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재보궐선거2021년
2021년 4월 7일
2022년 1분기
2022년 3월 9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2대 부선* · 1993 · 1994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 2012( · ) · 2013( · ) · 2014( · ) · 2015( · ) · 2016 · 2017(4월 · 5월)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3월 · 6월)
국민투표**6차
1987년 10월 27일
시행 불가능***
[ 역대 투표 펼치기 · 접기 ]
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6차
* 제2대 부통령 선거는 대통령 선거와 병행하지 않고 이시영 부통령의 사임에 의해 별도로 시행한 보궐선거이므로 편의상 보궐선거로 분류함.
** 국민투표는 선거에 포함되지 않으나, 편의상 기술함.
***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용 중 일부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국회에서 추가적인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아 2016년 1월 1일자로 효력을 상실하여 시행 불가함.




1952년 지방선거/도의회의원 선거 결과
자유당 대한청년단 대한독립촉성국민회민주국민당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기타 정당무소속
147석34석32석4석2석2석85석
48.03%11.11%10.45%1.3%0.65%0.65%27.77%

1952년 지방선거/시의회의원 선거 결과
자유당 대한청년단 대한독립촉성국민회민주국민당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대한국민당 기타 정당무소속
114석40석29석7석5석2석9석172석
30.15%10.58%7.67%1.85%1.32%0.52%2.38%45.50%

1952년 지방선거/읍의회의원 선거 결과
자유당 대한청년단 대한독립촉성국민회민주국민당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기타 정당무소속
274석229석155석7석6석14석430석
24.57%20.53%13.90%0.62%0.53%1.25%38.56%

1952년 지방선거/면의회의원 선거 결과
자유당 대한청년단 대한독립촉성국민회민주국민당대한국민당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기타 정당무소속
4,056석2,574석2,437석21석16석12석68석6,867석
25.26%16.03%15.18%0.13%0.09%0.07%0.42%42.78%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1952년 4월 25일5월 10일 치러진 한국 최초의 지방선거. 다만 투표가 각기 다른 날 시행되었기에, 지금과 같은 당일 동시 전국선거는 아니었다.[1] 투표율은 각각 91%, 81%를 기록했다.

2. 상세[편집]


시, 읍, 면의회의원 선거가 1952년 4월 25일에, 도의회의원 선거가 1952년 5월 10일에 실시되었다. 서울, 경기, 강원은 전시 체제로 선거가 치러지지 않았으며, 의원들은 중대선거구로 선출했다.

선거권은 21세 이상이었는데, 이 나이는 자유당 이승만 세력에 유리하게 제헌의회선거 당시부터 정해진 것이다. 이승만은 제헌의회 선거 당시 무려 25세를 선거권 연령으로 주장했다.
[1] 모든 선거 단위를 전국에서 동시에 치룬 최초의 선거는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18:07:49에 나무위키 1952년 지방선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