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양경찰청장

덤프버전 :

파일:치안총감계급장.svg
대한민국 경찰현직 치안총감
[ 펼치기 · 접기 ]


||<-3><tablewidth=100%><tablealign=center> 경찰청장 ||<-3> 해양경찰청장 ||
||<-3><height=43><rowbgcolor=#ffffff,#191919> 파일:대한민국 경찰청 휘장.svg 윤희근 ||<-3> 파일:해양경찰청 OI.svg 김종욱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대한민국정부 흰색 글자.svg
중앙행정기관의 장
[ 펼치기 · 접기 ]
부총리급 인사
장관급 인사
차관급 인사
고공단 가급 인사












파일:해양경찰청 OI.svg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장
[ 펼치기 · 접기 ]
#0a154b
||<-6><height=65><bgcolor=#0A154B> [[치안총감|[[파일:치안총감계급장.svg|width=140]]]]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rowbgcolor=#FECD17><tablecolor=#373a3c,#ddd><width=20%> '''해양경찰대장 {{{-3 (1953~1955)}}}''' || ||<-5><bgcolor=#254170>
[[대한민국 제1공화국|{{{#ffffff {{{-2 제1공화국}}}}}}]]
|| ||<-5><width=20%> {{{-2 초대}}}[br]{{{#373a3c 이상열}}} || ||<-5><bgcolor=#0A154B> || ||<rowbgcolor=#FECD17><-5> '''해무청 해양경비대장 {{{-3 (1955~1962)}}}''' || ||<-5><bgcolor=#254170>
[[대한민국 제1공화국|{{{#ffffff {{{-2 제1공화국}}}}}}]]
|| ||<width=20%> {{{-2 초대}}}[br]{{{#373a3c 이상열}}} ||<width=20%> {{{-2 제2대}}}[br]{{{#373a3c 김옥경}}} ||<width=20%> {{{-2 제3대}}}[br]{{{#373a3c 최효용}}} || ||<-5><bgcolor=#dddddd,#383b40> || ||<bgcolor=#254170>
[[대한민국 제1공화국|{{{#ffffff {{{-2 제1공화국}}}}}}]]
||<bgcolor=#000080>
[[대한민국 제2공화국|{{{#ffffff {{{-2 제2공화국}}}}}}]]
||<-2><bgcolor=#000000>
[[국가재건최고회의|{{{#ffffff {{{-2 헌정중단기}}}}}}]]
|| ||<width=20%> {{{-2 제4대}}}[br]{{{#373a3c 김석응}}} ||<width=20%> {{{-2 제5대}}}[br]{{{#373a3c 민흥기}}} ||<width=20%> {{{-2 제6대}}}[br]{{{#373a3c 김순일}}} || ||<-5><bgcolor=#0A154B>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tablecolor=#373a3c,#ddd><rowbgcolor=#FECD17> '''내무부 해양경찰대장 {{{-3 (1962~1991)}}}''' || ||<bgcolor=#000000>
[[국가재건최고회의|{{{#ffffff {{{-2 헌정중단기}}}}}}]]
||<-3><bgcolor=#835b38>
[[대한민국 제3공화국|{{{#ffffff {{{-2 제3공화국}}}}}}]]
||<bgcolor=#daa520>
[[대한민국 제4공화국|{{{-2 {{{#ffffff 제4공화국}}}}}}]]
|| ||<width=20%> {{{-2 초대}}}[br]{{{#373a3c 김순일}}} ||<width=20%> {{{-2 제2대}}}[br]{{{#373a3c 신광영}}} ||<width=20%> {{{-2 제3대}}}[br]{{{#373a3c 신영철}}} ||<width=20%> {{{-2 제4대}}}[br]{{{#373a3c 신용관}}} ||<width=20%> {{{-2 제5대}}}[br]{{{#373a3c 이종학}}} || ||<-5><bgcolor=#dddddd,#383b40> || ||<-5><bgcolor=#daa520>
[[대한민국 제4공화국|{{{-2 {{{#ffffff 제4공화국}}}}}}]]
|| ||<width=20%> {{{-2 제6대}}}[br]{{{#373a3c 하삼식}}} ||<width=20%> {{{-2 제7대}}}[br]{{{#373a3c 박용전}}} ||<width=20%> {{{-2 제8대}}}[br][[장일훈]] ||<width=20%> {{{-2 제9대}}}[br]{{{#373a3c 박병훈}}} ||<width=20%> {{{-2 제10대}}}[br][[염보현]] || ||<-5><bgcolor=#dddddd,#383b40> || ||<-2><bgcolor=#daa520>
[[대한민국 제4공화국|{{{-2 {{{#ffffff 제4공화국}}}}}}]]
||<-3><bgcolor=#004c97>
[[대한민국 제5공화국|{{{#ffffff {{{-2 제5공화국}}}}}}]]
|| ||<width=20%> {{{-2 제11대}}}[br]{{{#373a3c 이광수}}} ||<width=20%> {{{-2 제12대}}}[br][[안응모]] ||<width=20%> {{{-2 제13대}}}[br][[이균범]] ||<width=20%> {{{-2 제14대}}}[br][[강민창]] ||<width=20%> {{{-2 제15대}}}[br]{{{#373a3c 홍세기}}} || ||<-5><bgcolor=#dddddd,#383b40> || ||<-5><bgcolor=#004c97>
[[대한민국 제5공화국|{{{#ffffff {{{-2 제5공화국}}}}}}]]
|| ||<width=20%> {{{-2 제16대}}}[br][[최영덕]] ||<width=20%> {{{-2 제17대}}}[br]{{{#373a3c 안규학}}} ||<width=20%> {{{-2 제18대}}}[br][[조종석]] ||<width=20%> {{{-2 제19대}}}[br]{{{#373a3c 김상조}}} ||<width=20%> {{{-2 제20대}}}[br]{{{#373a3c 권복경}}} || ||<-5><bgcolor=#dddddd,#383b40> || ||<bgcolor=#004c97>
[[대한민국 제5공화국|{{{#ffffff {{{-2 제5공화국}}}}}}]]
||<-2><bgcolor=#60a8b6>
[[노태우 정부|{{{#ffffff {{{-2 노태우 정부}}}}}}]]
||<|2><-2><bgcolor=#f5f5f5,#2d2f34> || ||<width=20%> {{{-2 제21대}}}[br][[주병덕]] ||<width=20%> {{{-2 제22대}}}[br]{{{#373a3c 정용득}}} ||<width=20%> {{{-2 제23대}}}[br]{{{#373a3c 허진원}}} || ||<-5><bgcolor=#0A154B> || ||<-5><rowbgcolor=#FECD17> '''경찰청 해양경찰청장 {{{-3 (1991~1996)}}}''' || ||<bgcolor=#60a8b6>
[[노태우 정부|{{{#ffffff {{{-2 노태우 정부}}}}}}]]
||<-4><bgcolor=#003990>
[[문민정부|{{{#ffffff {{{-2 문민정부}}}}}}]]
|| ||<width=20%> {{{-2 초대}}}[br][[이강년(1941)|이강년]] ||<width=20%> {{{-2 제2대}}}[br]{{{#373a3c 최재삼}}} ||<width=20%> {{{-2 제3대}}}[br][[박일용]] ||<width=20%> {{{-2 제4대}}}[br]{{{#373a3c 정진규}}} ||<width=20%> {{{-2 제5대}}}[br]{{{#373a3c 유상식}}} || ||<-5><bgcolor=#0A154B> || ||<-5><rowbgcolor=#FECD17> '''해양경찰청장 {{{-3 (1996~2014)}}}''' || ||<bgcolor=#003990>
[[문민정부|{{{#ffffff {{{-2 문민정부}}}}}}]]
||<-4><bgcolor=#00aa7b>
[[국민의 정부|{{{#ffffff {{{-2 국민의 정부}}}}}}]]
|| ||<width=20%> {{{-2 초대}}}[br]{{{#373a3c 조성빈}}} ||<width=20%> {{{-2 제2대}}}[br]{{{#373a3c 김대원}}} ||<width=20%> {{{-2 제3대}}}[br]{{{#373a3c 김종우}}} ||<width=20%> {{{-2 제4대}}}[br]{{{#373a3c 이규식}}} ||<width=20%> {{{-2 제5대}}}[br]{{{#373a3c 박봉태}}} || ||<-5><bgcolor=#dddddd,#383b40> || ||<-3><bgcolor=#ffd918>
[[참여정부|{{{#000000 {{{-2 참여정부}}}}}}]]
||<-2><bgcolor=#0095da>
[[이명박 정부|{{{#ffffff {{{-2 이명박 정부}}}}}}]]
|| ||<width=20%> {{{-2 제6대}}}[br][[서재관]] ||<width=20%> {{{-2 제7대}}}[br][[이승재(경찰)|이승재]] ||<width=20%> {{{-2 제8대}}}[br][[권동옥]] ||<width=20%> {{{-2 제9대}}}[br][[강희락]] ||<width=20%> {{{-2 제10대}}}[br][[이길범(1954)|이길범]] || ||<-5><bgcolor=#dddddd,#383b40> || ||<-2><bgcolor=#0095da>
[[이명박 정부|{{{#ffffff {{{-2 이명박 정부}}}}}}]]
||<bgcolor=#c9252b>
[[박근혜 정부|{{{#ffffff {{{-2 박근혜 정부}}}}}}]]
||<|2><-2><bgcolor=#f5f5f5,#2d2f34> || ||<width=20%> {{{-2 제11대}}}[br][[모강인]] ||<width=20%> {{{-2 제12대}}}[br][[이강덕]] ||<width=20%> {{{-2 제13대}}}[br][[김석균]] || ||<-5><bgcolor=#0A154B> || ||<-5><rowbgcolor=#FECD17> '''해양경비안전본부장 {{{-3 (2014~2017)}}}''' || ||<-5><bgcolor=#c9252b>
[[박근혜 정부|{{{#ffffff {{{-2 박근혜 정부}}}}}}]]
|| ||<-5><width=20%> {{{-2 초대(연혁상 14대)}}}[br][[홍익태]] || ||<-5><bgcolor=#0A154B> || ||<-5><rowbgcolor=#FECD17> '''해양경찰청장 {{{-3 (2017~현재)}}}''' || ||<-4><bgcolor=#004ea2>
[[문재인 정부|{{{#ffffff {{{-2 문재인 정부}}}}}}]]
||<bgcolor=#e61e2b>
[[윤석열 정부|{{{#ffffff {{{-2 윤석열 정부}}}}}}]]
|| ||<width=20%> {{{-2 15대}}}[br][[박경민(경찰)|박경민]] ||<width=20%> {{{-2 제16대}}}[br][[조현배]] ||<width=20%> {{{-2 제17대}}}[br][[김홍희]] ||<width=20%> {{{-2 제18대}}}[br][[정봉훈]] ||<bgcolor=#e0ffdb,#073300><width=20%> {{{-2 제19대}}}[br][[김종욱(경찰)|김종욱]] || ||<-5><bgcolor=#dddddd,#383b40> ||



파일:해양경찰청 OI.svg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장
大韓民國 海洋警察廳長
Commissioner General of Korea Coast Guard
파일:해경_김종욱.jpg
현직김종욱 / 제19대
취임일2023년 1월 4일

1. 개요
1.1. 육상경찰(경찰청 출신) 임명 제한
2. 역대 해양경찰청장
2.1. 내무부 치안국 해양경찰대장
2.2. 상공부 해무청 해양경비대장
2.3. 내무부 치안국 해양경찰대장
2.4. 해양경찰청장(경찰청 소속)
2.5. 해양경찰청장(해양수산부-국토해양부-해양수산부 산하)
2.6.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장
2.7. 해양경찰청장(해양수산부 산하)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해양경찰법[1] 제11조(해양경찰청장) ① 해양경찰청에 해양경찰청장을 두며, 해양경찰청장은 치안총감으로 보한다.
② 해양경찰청장은 해양경찰위원회의 동의를 받아 해양수산부장관의 제청으로 국무총리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한다.
③ 해양경찰청장은 해양경찰에 관한 사무를 총괄하고 소속 공무원 및 각급 해양경찰기관의 장을 지휘·감독한다.
④ 해양경찰청장의 임기는 2년으로 하고, 중임할 수 없다.
해양경찰청의 수장. 계급은 치안총감(Commissioner General)이며, 이는 차관급 대우를 받는 계급이다.

한국의 해양경찰청장은 대한민국 경찰청에서 무장공비 해상침투 등에 대비해 해안선과 도서지역의 경계에 대한민국 해군을 지원할 목적으로 만든 해양경찰대가 출발점이라서 계급장 등이 경찰 계급장이고 신분도 경찰공무원이다.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해양경찰청해양경찰에 있다.


1.1. 육상경찰(경찰청 출신) 임명 제한[편집]


해양경찰법[2] 제12조(해양경찰청장 임명자격) 해양경찰청장은 해양경찰에서 15년 이상 국가경찰공무원으로 재직한 자로서 치안감 이상 국가경찰공무원으로 재직 중이거나 재직했던 사람 중에서 임명한다.
2017년 7월 25일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이 부활하였으나 해경 출신이 아닌 일반경찰 출신인 박경민 인천지방경찰청장이 치안총감으로 승진 발령되었다. 당시까지만 해도 해경청장의 경찰 출신 임명은 그리 예외적인 사례가 아니었는데, 해양경찰법 제정 전까지는 역대 해경청장 중 해경 출신은 단 두 명뿐이었다.[3] 그 중에서 경비함정 근무 경험이 있는 것은 제8대 권동옥 청장, 단 한 명이다.##[4]

아래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치안총감 승격 이후에는 경찰청 차장 출신이 많은데, 경찰청장 승진 코스에서 탈락된 인물이 해양경찰청장으로 오는 경우가 많다고 볼 수 있다. 그중에서도 압권은 강희락 전 청장인데, 경찰청 차장에서 해양경찰청장으로 영전 후, 동급인 경찰청장으로 옮기는 전무후무한 파격을 선보였다.[5]

하지만, 해양경찰청장 보직에 경찰청 출신이 자주 임명되고, 2014년 세월호 사건이 터지는 등 전문성에 대한 말들이 나오게 되면서 2019년 8월 해양경찰법 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이러한 육상경찰 출신의 임명을 제한하는 규정이 생겨났다. 해양경찰법에는 해양경찰청장(치안총감)은 해경에서 15년 이상 재직한 국가경찰공무원(치안감 이상)을 대상으로 하고, 치안감 이상 간부로 재직 중이거나 과거 재직한 경우에만 임명될 수 있도록 했다.[7] 이는 육상경찰 치안정감이 승진해 해양경찰청장이 되는 사례를 사실상 차단한 것으로 임기도 2년에 중임할 수 없도록 했다. 아울러 임명 과정도 행정안전부 소속기관인 경찰위원회 동의를 받아 행정안전부 장관 제청으로 국무총리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는 것처럼 해양수산부 소속기관인 해양경찰위원회[8] 동의를 받아 해양수산부 장관 제청으로 국무총리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도록 했다.


2. 역대 해양경찰청장[편집]



2.1. 내무부 치안국 해양경찰대장[편집]


대수이름계급임기
초대이상열경무관1953.12.21.~1955.6.14.

2.2. 상공부 해무청 해양경비대장[편집]


대수이름계급임기
초대김옥경서기관1955.8.4.~1956.6.7.
2대최효용이사관1956.6.28.~1957.9.12.
3대김석응1957.9.12.~1960.5.26.
4대민흥기1960.5.30.~1961.5.19.

2.3. 내무부 치안국 해양경찰대장[편집]


대수이름계급임기
초대김순일해군 대령1961.10.30.~1963.12.17.
2대신광영1963.12.17.~1964.2.2.
3대신영철부이사관1964.2.3.~1966.9.30.
4대신용관치안감1966.10.13.~1971.6.21.
5대이종학1971.6.21.~1973.5.19.
6대하삼식경무관1973.5.19.~1973.12.17.
7대박용전치안감1973.12.17.~1974.7.12.
8대장일춘1974.7.12.~1975.5.25.
9대박병훈1975.6.3.~1976.7.28.
10대염보현1976.7.28.~1979.2.28.
11대이광수[9]1979.2.20.~1980.7.8.
12대안응모1980.7.23.~1981.3.9.
13대이균범1981.3.9.~1982.1.5.
14대강민창1982.1.5.~1983.4.8.
15대홍세기1983.4.8.~1983.12.13.
16대최영덕1983.12.13.~1985.1.18.
17대안규학경무관1985.1.18.~1985.2.28.
18대조종석치안정감1985.2.28.~1986.1.17.
19대김상조1986.1.17.~1986.10.27.
20대권복경1986.10.27.~1987.1.22.
21대주병덕1987.1.22.~1988.6.1.
22대정용득1988.6.1.~1990.6.26.
23대허진원1990.6.26.~1991.7.31.

2.4. 해양경찰청장(경찰청 소속)[편집]


대수이름계급임기학력최종경력[a]
초대이강년치안정감1991.7.31.~1993.3.3.국민대부산시 경무국장
2대최재삼1993.3.15.~1993.9.22.대구지방경찰청장
3대박일용1993.9.23.~1994.7.18.서울대중앙경찰학교장[10]
4대정진규1994.7.19.~1994.12.26.대통령비서실 치안비서관
5대유상식1994.12.27.~1996.8.12.부산대경남지방경찰청장[11]

2.5. 해양경찰청장(해양수산부-국토해양부-해양수산부 산하)[편집]


대수이름계급임기입직학력최종 경력[a]
초대조성빈치안정감1996.8.12.~1998.3.1.간부후보생 17기연세대
행정대학원
경찰청 차장
2대김대원1998.3.1.~1999.12.1.간부후보생 17기동국대
행정대학원
경찰청 기획관리관
3대김종우1999.12.3.~2000.12.6.간부후보생 19기동국대경찰청 보안국장
4대이규식2000.12.7.~2001.11.1.간부후보생 20기서울대
행정대학원
경찰청 수사국장
5대박봉태2001.11.1.~2003.3.1.행정고시 22회동아대
행정대학원
경찰청 보안국장
6대서재관2003.3.1.~2004.1.1.간부후보생 22기고려대
법학과
경찰청 경비국장
7대이승재치안총감2004.1.1.~2006.8.1.사법시험 24회고려대
법학과
경찰청 종합학교장
8대권동옥2006.8.1.~2008.3.1.경감 특채제주대학교
어로학과
해양경찰청 차장
9대강희락2008.3.1.~2009.3.1.사법시험 26회동국대
행정대학원 경찰행정학
경찰청 차장
10대이길범2009.3.1.~2010.9.8.간부후보생 29기건국대
법학과
경찰청 차장
11대모강인[12]2010.9.8.~2012.5.7.간부후보생 32기한국사이버대
법학과
경찰청 차장
12대이강덕2012.5.8.~2013.3.18.경찰대 1기경찰대
법학과
서울지방경찰청
13대김석균2013.3.18.~2014.11.18.행정고시 37회한양대
행정학
해양경찰청 차장

2.6.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장[편집]


대수이름임기입직학력최종 경력[a]
14대[13]홍익태2014.11.19.~2017.7.25.간부후보생 32기동국대
경찰행정학
경찰청 차장

2.7. 해양경찰청장(해양수산부 산하)[편집]


대수이름임기입직학력최종 경력[a]
15대박경민2017.7.26.~2018.6.24.경찰대 1기경찰대
법학과
인천지방경찰청
16대조현배2018.6.25.~2020.3.4.간부후보 35기동국대
경찰행정학 박사
부산지방경찰청
17대김홍희[14]2020.3.4.~2021.12.5.간부후보 42기인하대
법학 박사
남해지방해양경찰청
18대정봉훈2021.12.6.~2023.1.4.간부후보 42기한국해양대
항해학 학사
해양경찰청 차장
19대김종욱2023.1.4.~현직순경 특채국립경상대학교
법학 박사(수료)
서해지방해양경찰청

  • 외청 복귀 후 최초의 청장인 박경민 치안총감은 취임사에서 제15대 해양경찰청장임을 밝혔다. 해양경비안전본부장으로서의 홍익태 치안총감이 초대라고 밝혔지만, 이전의 마지막 해경청장이었던 김석균 치안총감이 제13대로 취임했으므로 형식상으로만 제14대 청장이 존재하지 않을 뿐 실질적으로는 박경민 청장이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장을 14대 청장으로 인정한 것이며, 해양경찰청 홈페이지 상에도 홍익태 본부장을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해양경찰청장으로 표시하고 있다.#


3.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2019년 8월 20일 제정된 법률로 2020년 2월 21일부터 시행 중[2] 2019년 8월 20일 제정된 법률로 2020년 2월 21일부터 시행 중[3] 8대 권동옥, 13대 김석균.[4] 경찰청 소속으로 순경 시절 연안경비정 근무 경험이 있는 11대 모강인 청장이 있기는 하다. 이는 청장이라는 최고위직에서 일어나는 인사이동이었기에 해경 출신이 해경청장으로 승진하지 못하는 것에 문제제기하는 목소리가 있었고, 이에 따라 해양경찰법이 제정되어 경찰청 출신의 해양경찰청장 임명을 제한한 것이다. 청장직을 제외한 해양경찰청과 경찰청 서로 간의 인적교류는 활발하지 못하다는 점이 기사로 드러난 바 있다. <경찰청 관계자는 "육지 경찰이 퇴직 후 특채 형식으로 해경에 들어간 경우가 간혹 있었지만 기본적으로 두 조직간 인사 교류는 극히 적었다"며 "해경이 분리되기 전에도 해경의 전문성을 유지시켜주는 방향으로 인사가 이뤄져 두 조직이 많이 섞이지도 않았다"고 설명했다.> 특채로 이동하는 경우를 인사교류로 볼 수 있다면, 해군 장교 출신이 특채 형식으로 해경에 입직하는 것과 그리 차이를 둘 수 없다. 해양경찰법 제정 전 해경청장에 연달아 경찰대, 동국대 경행 출신이 임명된 것은 해경청 조직 전체에 동국대 경행 파벌과 경찰대 파벌의 영향력이 강화되었다기 경찰청 내에서 두 파벌의 경쟁이 심화되어 해경청장까지 그 영향이 있었다고 보는 편이 합리적일 것이다.[5] 강민창, 박일용 전 청장의 사례가 있긴 한데, 이때 해양경찰청은 지방경찰청급 기관이어서 승진 임명된 사례다. 부산 출신인 박일용 전 청장은 고시 10회 행정과 합격 후 1973년 경정 특채되어 경찰에 입문하였고, 부산지방경찰청장(치안감), 중앙경찰학교장(치안감), 해양경찰청장(치안정감), 서울지방경찰청장(치안정감)을 거쳐 경찰청장(치안총감)을 끝으로 경찰관 생활을 마쳤고, 이후 국가안전기획부 1차장까지 역임했다.[6] 이때문에 육경 인사의 해경청장 임명이 제한된 이후 치안정감을 거치지 않고 치안감에서 해경청장으로 영전한 케이스가 두번이나 나왔다.[7] 이론적으로 해양경찰청 치안감에서 치안정감을 거치지 않고, 치안총감이 될 수 있는 길이 생겼다. 경찰대학과 간부 및 고시 출신 인재가 많은 대한민국 경찰청에 비해 인재풀 자체가 적기 때문에 치안정감 이상으로 규정되어 있는 경찰청장보다 한 단계 낮은 치안감에까지 후보군을 늘린 것이다.[6] 해양경찰법 초기안에는 해양경찰청 소속 치안감 이상 경찰공무원이나 15년 이상 해양경찰청에서 근무한 전직 경찰공무원(치안감 이상)이 해양경찰청장으로 임명 가능하도록 했었는데 경찰청에서 약간 이견이 있었다고 한다. 경찰청장은 치안정감 이상이면 (해양경찰청 소속이라도) 될 임명될 수 있게 되어 있는데, 해양경찰청장은 전·현직 해양경찰관 중에서만 가능토록 제한하는 것이 상호주의에 어긋난다는 것이었다.[8] 경찰위원회와 동일하게 해양경찰위원회 위원은 위원장 포함 7명으로 하고, 상임위원 1명은 정무직(차관급)으로 보하도록 하고자 했지만, 행정안전부에서 모두 비상임으로 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어 결국 해양경찰위원회는 위원장 포함 7인의 위원 모두 비상임으로 결정되었다.[9] 해병학교 3기, 해병대 예비역 중령, 코미디언 임희춘의 군 시절 상관으로 훈련에 잘 적응하지 못하던 임희츄에게 장교식당 식권을 제공해준 인연으로 TV는 사랑을 싣고에 출연하였다.[a] A B C D 해양경찰청장 임명 전 최종경력[10] 이후 서울지방경찰청장, 경찰청장 역임.[11] 이후 경찰청 차장 역임.[12] 간부후보 32기 수석졸업, 사이버대 출신임이 방증하듯이 입지전적인 인물인데, 순경으로 시작해 경간부로 다시 입직, 해양경찰의 총수까지 올랐다. 그렇기 때문에 해경 내부에서는 호의적인 분위기였으나, 뇌물수수로 빛이 바랬다. ##[13] 사실상[14] 해양경찰청 최초로 치안감에서 치안정감을 거치지 않고, 치안총감으로 2단계 승진한 사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01:04:48에 나무위키 해양경찰청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