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국중등과학올림피아드

덤프버전 :


대한민국 과학 올림피아드
[ 펼치기 · 접기 ]

형식과학 한국수학올림피아드 · ta-hash-start=w-a51f9f66346e1d23bf39c2b2a9f0b685[[파일:KOI.png 한국정보올림피아드
자연과학 한국물리올림피아드 · ta-hash-start=w-0e2422ec4ab2b4444960d01c89cbb2d5[[파일:KChO.jpg 한국화학올림피아드 · ta-hash-start=w-9caee27cbf717eccf8a806942d9b1855[[파일:KYPT.png 한국청소년물리토너먼트(1) · ta-hash-start=w-91c9f9e26f5e7d629d676e53f90515d6[[파일:KBO.png 한국생물올림피아드 · ta-hash-start=w-601ffc492ae2bebf2bda934bc7378685[[파일:KAO_logo.png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ta-hash-start=w-ff66de097ebf87e8c61d1bc35825e947[[파일:KJSO.png 한국중등과학올림피아드 · ta-hash-start=w-b8537f8112eb9d12c07b54466205ce09[[파일:KESO_logo.png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사회과학 전국지리올림피아드 · ta-hash-start=w-1b8f6a3ae0bbd4c39911fb096055fc66[[파일:KEO.png 한국경제올림피아드
인문학 한국철학올림피아드(2) · ta-hash-start=w-ccfc2d538ddff519d893a6b966a1c4f1[[파일:KLO.png 한국언어학올림피아드(3)
(1) 타 올림피아드와 성격이 다르지만 국제청소년물리토너먼트 대표단도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발대식에 초청 받으므로 포함
(2) 국제철학올림피아드 국내 예선과 주최는 같지만 별개의 대회임
(3) 사회과학이나 형식과학에도 속함

국제 올림피아드 목록 / 아시아-태평양 올림피아드 목록 / 국가별 물리올림피아드 목록 / 국가별 지리올림피아드 목록



한국중등과학올림피아드
韓國中等科學올림피아드
Korea Junior Science Olympiad (KJSO)
파일:KJSO.png
운영한국국제과학올림피아드위원회
분야물리학, 화학, 생물학, (지구과학)
대상만 15세 미만 중학생
세계대회국제 중등 과학 올림피아드
(International Junior Science Olympiad, IJSO)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주관
3. 목적
4. 과정
5.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
5.1. 역대 국제대회
5.1.1. 참가 기록
6. 내용



1. 개요[편집]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2019년 제16회 IJSO
The Korea Junior Science Olympiad, KJSO이다. 1단계교육→2단계교육→3단계교육→예비한국대표단→한국대표단→IJSO출전으로 총 5단계의 교육과정이 있으며 각 교육과정이 끝날때마다 수료증을 준다. 각 단계마다 온라인교육과 오프라인 교육이 있으며 온라인 교육의 경우 일주일간 각 과학분야의 과제를 수행한 뒤 온라인 교육방에 게시하는 형식이다. 과제 난이도는 고등학교~대학교 과학 정도이다. 3단계교육에서는 3번의 실험평가가 진행되며 물리, 화학, 생물분야의 학부서적도 제공되는데 물리는 서웨이, 화학은 줌달, 생물은 캠밸이 제공된다고 한다.
과학한국과 IJSO에 참여할 우수한 국가대표 인재 발굴을 목적으로 한다.

2. 주관[편집]


(사)국제과학영재학회

3. 목적[편집]


  1. 과학연구의 성과추구에 대한 보상과 격려를 위해
  2. 과학 영재들이 각자의 재능을 개발하는데 있어 도전시키고 자극하기 위해
  3. 매년 개최되는 본 행사에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4. 자연과학 분야 연구의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5. 세계 젊은 과학도들의 우정을 도모하기 위해

4. 과정[편집]


* 1단계 : 물리, 화학, 생물분야의 온라인 교육 (15주)와 2단계 선발고사

* 2단계 : 물리, 화학, 생물 분야의 온라인 교육 (12주)와 주말학교 (월 1회, 총 3회), 그리고 3단계 선발고사

* 3단계 : 물리, 화학, 생물 분야의 온라인 교육 (10주)와 월 1회, 총 2회에 거친 주말학교, 예비한국대표단 교육대상 선발고사(이론 평가, 실험 평가)

* 예비한국대표단 : 물리, 화학, 생물분야의 온라인 교육 (5주)와 월 1~2회, 총 3회에 거친 주말학교

* 한국대표단 : 물리, 화학, 생물 분야의 온라인 교육 (12주), 주말학교, 여름학교, 파이널 교육 등 오프라인 집중 교육



5.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편집]


🌐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
[ 펼치기 · 접기 ]

형식과학
ta-hash-start=w-6925f2a16026e36e4fc112f82dd79406[[파일:IMO.pngta-hash-start=w-a50f2992ad39d4609c95480857a6b368[[파일:IOI.png
수학정보과학
자연과학
ta-hash-start=w-903e02838ceb2dce9194c0c7ab570357[[파일:IPHO.jpgta-hash-start=w-e8858cb9a3fc30bce8d1b7e992b3fa2b[[파일:IChO.jpgta-hash-start=w-bf441b0f92957832f02987c16a5d7f11[[파일:IYPT.pngta-hash-start=w-fef4f0c339f100fad1eafe9b89e04b28[[파일:IBO.svg
물리학화학물리 토론(1)생물학
ta-hash-start=w-3be978eba105b45ed96528c8dd8c9179[[파일:IAO.gifta-hash-start=w-bb3bbc6428ed05b694af7be42909d696[[파일:IJSO.pngta-hash-start=w-518f741fa426a51c73533c621e5c8107[[파일:IESO.pngta-hash-start=w-2483125d070c795ba1ed28b241c5c737[[파일:IOAA.jpg
천문학중등과학지구과학천체물리학
사회과학
ta-hash-start=w-7dd9419b1aa8fa048eac9bb1cfd98f68[[파일:IGEOLOGO.jpgta-hash-start=w-169c6230c46c06fd863577a101832bf7[[파일:IEO.png
지리학경제학
인문학
ta-hash-start=w-2c99001baf236c5cdfc50b33db17b7f9[[파일:IPhilO.pngta-hash-start=w-4620c9d53386898042bd6445ec0a3efd[[파일:IOL_logo_wordless.pngta-hash-start=w-91f08017691d29cbe5cd3c235ccda902[[파일:IHO.jpg
철학언어학(2)역사학(3)
(1) 타 올림피아드와 성격이 다르지만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발대식에 초청 받으므로 포함
(2) 사회과학이나 형식과학에도 속함
(3) 타 올림피아드와 성격이 다르지만 해당 분야에서 유일하게 올림피아드 이름을 달고 운영되는 세계 대회이므로 포함

아시아-태평양 올림피아드 목록 / 국내 올림피아드 목록 / 국가별 물리올림피아드 목록 / 국가별 지리올림피아드 목록


International Junior Science Olympiad (IJSO) /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
國際中等科學올림피아드
International Junior Science Olympiad (IJSO)
파일:IJSO.png
개최년도2004년
개최장소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분야과학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IJSO)는 세계 과학영재의 조기 발굴과 과학자, 과학영재교육자 및 과학영재들의 국제적 친선을 목적으로 국가별 만 15세 이하, 6명 이하의 학생들이 출전하여 과학 전 분야(물리, 화학, 생물 중심)에 걸친 3차례의 시험(이론(객관식, 주관식), 실험(3명이 한조))으로 평가하는 개인 및 국가 대항 자연과학분야 경시대회로서, 현재 세계 유일의 과학 전 분야를 아우르는 과학올림피아드다. 국제천문올림피아드 주니어부나 국제역사올림피아드 등 중학생이 참가할 수 있는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상당히 드물다.

기간은 매년 12월 초에 9박 10일간 진행한다.

2022년 제19회 대회가 우크라이나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개최가 불투명해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5.1. 역대 국제대회[편집]


회차개최년도개최국대한민국 순위
12004인도네시아 (자카르타)종합 4위 (금1, 은3, 동2)
22005인도네시아 (욕야카르타)종합 4위 (금2, 은4)
32006브라질 (상파울루)종합 1위 (금6)
42007대만 (타이페이)종합 4위 (금2, 은4)
52008대한민국 (창원)종합 1위 (금6)
62009아제르바이잔 (바쿠)종합 6위 (금2, 은3, 동1)
72010나이지리아 (아부자)종합 2위 (금3, 은3)
82011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종합 2위 (금3, 은3)
92012이란 (테헤란)불참
102013인도 (푸네)종합 6위 (금1, 은5)
112014아르헨티나 (멘도사)종합 10위 (은4, 동2)
122015대한민국 (대구)종합 3위 (금4, 은2)
132016인도네시아 (발리)종합 7위 (금1, 은5)
142017네덜란드 (아른헴)종합 10위 (금1, 은4, 동1)
152018보츠나와 (가로보네)종합 5위 (금2, 은4)
162019카타르 (도하)종합 10위(금1, 은5)
172020독일 (프랑크푸르트)취소됨[1]
182021아랍 에미리트 (아부다비)개최 예정


5.1.1. 참가 기록[편집]


※ 2021년 5월 27일 기준
참가15회
1위2회
2위2회
3위1회


6. 내용[편집]


국제 대회에 출전했던 학생들에 따르면 국제 대회의 문제보다 한국 국가대표 선발전의 문제가 더 어렵다고 한다. 3단계에선 합격자들에게 대학 전문서적을 제공하고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직접 교육하기도 한다. 모든 선발 과정마다 1주에 생물, 물리, 화학 중 두 과목을 과제로 내주는데 그 난이도는 2 과목에서 대학과정을 넘나든다. 가끔은 대학 전문서적에도 없고 구글링을 해도 찾을 수 없는 내용이 과제 질문으로 나오기도 한다는 얘기가 있다.

여담으로 2018년 KJSO에서는 3단계 선발고사 대상자를 뽑던 중 오류가 나 전원합격된 사례가 있다. 그것 때문인지 2019년 KJSO3단계에서는 전공서적이 제공되지 않았고 2020년 KJSO에서는 이전 3단계 수료로 3단계에 편입(?)한 학생을 제외하고 서웨이만 한권씩을 제공하겠다 하였으나 2020년 전형부터 오리엔테이션을 3단계부터로 옮기면서 3단계 시작할 때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였고 그때 나누어 주었기 때문인지 참가자가 예상보다 적었고 이전 3단계 수료자들에게도 배부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2:37:10에 나무위키 한국중등과학올림피아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COVID-19로 인해 취소됨.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