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지하철 3호선

덤프버전 :

파일:파리 지하철 아이콘.svg 파리 지하철 운행 노선
파일:파리 지하철 1호선 아이콘.svg파일:파리 지하철 2호선 아이콘.svg파일:파리 지하철 3호선 아이콘.svg파일:파리 지하철 3bis선 아이콘.svg파일:파리 지하철 4호선 아이콘.svg
파일:파리 지하철 5호선 아이콘.svg파일:파리 지하철 6호선 아이콘.svg파일:파리 지하철 7호선 아이콘.svg파일:파리 지하철 7bis선 아이콘.svg파일:파리 지하철 8호선 아이콘.svg
파일:파리 지하철 9호선 아이콘.svg파일:파리 지하철 10호선 아이콘.svg파일:파리 지하철 11호선 아이콘.svg파일:파리 지하철 12호선 아이콘.svg파일:파리 지하철 13호선 아이콘.svg
파일:파리 지하철 14호선 아이콘.svg파일:파리 지하철 15호선 아이콘.svg
(미개통)
파일:파리 지하철 16호선 아이콘.svg
(미개통)
파일:파리 지하철 17호선 아이콘.svg
(미개통)
파일:파리 지하철 18호선 아이콘.svg
(미개통)
파일:파리 지하철 오를리발 아이콘.svg 오를리발파일:파리 지하철 오를리발 아이콘.svg CDGVAL



파일:RATP그룹 아이콘.svg
파일:파리 지하철 3호선 아이콘.svgLigne 3 du métro de Paris
Paris Metro Line 3
파리 지하철 3호선
||
파일:mf67(3).webp

RATP MF 67형 전동차
노선 정보
분류지하철
기점퐁 드 르발루아-베콩역
종점갈리에니역
역 수25
노선기호3
노선번호3호선
개업일1904년 10월 19일
소유자파일:파리 문장.svg
운영자파일:RATP그룹 아이콘.svg
차량기지배속:Saint-Fargeau AMT L.3/3 bis et AME 차량기지
중검수:Choisy AMT L.7 et AMP 차량기지
사용차량RATP MF 67형 전동차
노선 제원
노선연장11.7 km
궤간1435mm 표준궤
선로구성전구간 복선
사용전류직류 750V 제3궤조집전식
최고속도설계:80km/h
영업:70km/h

1. 개요
2. 역사
3. 특징
4. 의의
5. 노선



1. 개요[편집]


파리 지하철의 한 노선으로 파리 지하철 3호선 (Paris Metro Line 3)은 서쪽의 오드센(Hauts-de-Seine)주 르발루아-페레(Levallois-Perret) 퐁 드 르발루아-베콩역에서 동쪽의 센생드니주(Seine-Saint-Denis) 갈리에니역까지 동서로 이으며 영업거리 11.7㎞의 노선이다. 이 노선의 노선색은 올리브색이며 전 구간이 지하구간이다. 1904년 3호선으로 개업하였다. 이 노선은 RATP(파리교통공사)가 운영하고 있다.


2. 역사[편집]


  • 1904년 10월 10일 3호선의 첫번째 부분인 페르 라셰즈(Père Lachaise) 역에서 비예르(Villiers) 역까지의 부분이 개통하였다. 이는 원래 예상했던 날짜보다 더 오래걸렸는데 이는 기존에 있던 지하매설된 수도, 전기, 가스 인프라 시설때문이라고 함

  • 1905년 1월 25일 노선이 페르 라셰즈(Père Lachaise) 역에서 강베타(Gambetta) 역까지 동쪽으로 확장됨

  • 1910년 5월 23일 노선이 빌리에(Villiers) 역에서 페레르(Pereire) 역까지 서쪽으로 확장됨

  • 1911년 2월 15일 노선이 페레르(Pereire) 역에서 포르트 드 샹페레(Porte de Champerret) 역까지 서쪽으로 확장됨

  • 1921년 11월 27일 노선이 강베타(Gambetta) 역에서 포르트 드 릴라(Porte des Lilas) 역까지 동쪽으로 확장됨

  • 1937년 9월 24일 노선이 포르트 드 샹페레(Porte de Champerret) 역에서 퐁 드 르발루아(Pont de Levallois) 역까지 서쪽으로 확장됨

  • 1967년 3호선이 새 RATP MF 67형 전동차를 수령하는 첫번째 노선이 됨. 이 전동차는 최근에도 개조되어 지금까지도 운행중임

  • 1969년 8월 23일 강베타(Gambetta) 역이 주변에 마르탱 나도(Martin Nadaud) 역을 흡수하면서 리모델링됨




3. 특징[편집]


우선 전동차를 무지막지하게 오래된 전동차를 쓴다. 무려 1967년에 계획설계된 전동차다(...). 지금 전동차는 개조된 상태로 전동차안의 시트나 손잡이들이 추가된 상태라고 한다. RATP MF 67형 전동차의 특징이 칸과 칸사이를 건너갈 수 없다는 것이며, 문을 여닫을 때 손잡이를 위로 당겨 열어야한다는 것이다. 이 방식이 처음 여행하는 한국사람들한테는 익숙하지 않아서 많이 당황하고 차내 프랑스인이 문을 열어준다. 문을 여는 방식은 손잡이를 좌상향으로 완전히 잡아 올리는 방식이다. 용감한 파리지앵들은 열차가 완전히 정차하지도 않았는데 문을 열어재끼며 심지어 내리기까지(?)한다. 파리에 많이 살고 경험해본 사람이 아니면 절대 따라하지 말자. 잘못 내리다가 발목 날아감과 동시에 척추와 머리 등등에 부상이 따를수 있다(...)

또한 이 노선을 건설할 때 애로사항이 정말 많았는데 기존에 지어진 파리 지하철 1호선2호선은 모두 생마르탱 운하를 지상 혹은 반지하로 통과했지만 이 노선은 완전 지하로 통과하는지라 연약지반, 누수문제를 안고 건설하게 되었다. 또한 강베타 광장주변도 물을 머금은 모래로 구성된 상당한 연약지반이라서 이 부분을 지을때 개착식 공법의 측벽을 기존의 나무나 철제가 아닌 석조 기둥을 세워 측벽을 만들 정도였다.


4. 의의[편집]


파리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두번째로 건설된 횡축, 동-서축이며, 1호선 축 살짝 북쪽을 지나 오페라와 레푸블리크를 경유하므로 순환선으로 인한 환승수요를 분담해 기존에 있던 큰 횡축인 1호선의 혼잡도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며, 갈리에니 버스터미널을 경유하여 파리시내에서 갈리에니 버스터미널로 접속이 가능하게 해주는 유일한 철도교통수단으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5. 노선[편집]


파일:attachment/파리 지하철 3호선/노선도.jpg

한국어 역명프랑스어 역명환승노선비고
퐁 드 르발루아-베콩Pont de Levallois - Bécon
아나톨 프랑스Anatole France
루이즈 미셸Louise Michel
포르트 드 샹페레Porte de Champerret
페레르Pereire RER C선
트랑지리엥 L선
RER C선은 페레르-르발루아역에서 환승
바그람Wagram
말제르브Malsherbes
비예르Villiers 2호선
외로프Europe
생 라자르Saint-Lazare 9호선
12호선
13호선
14호선
RER E선
트랑지리엥 J선
트랑지리엥 L선
TER 오트-노르망디
아브르-코마르탱Havre - Caumartin 9호선
RER A선
RER A선은 오베르역에서 환승
오페라Opéra 7호선
8호선
RER A선
RER E선[1]
카트르-셉탕브르Quatre-Septembre
부르스Bourse
상티에Sentier
레오뮈르-세바스토폴Réaumur - Sébastopol 4호선
아르 에 메티에Arts et Métiers 11호선
탕플Temple
레퓌블리크République 5호선
8호선
9호선
11호선
파르망티에Parmentier
뤼 생모르Rue Saint-Maur
페르 라셰즈Père Lachaise 2호선
강베타Gambetta 3bis선
포르트 드 바뇰레Porte de Bagnolet③b 파리 트램 3b선
갈리에니Gallieni파리 갈리에니 버스 터미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07:16:51에 나무위키 파리 지하철 3호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RER 오페라역은 없으며 오베르역으로 연결된다. 역시 막장환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