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

덤프버전 :

파일:태영그룹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계열사
지주회사TY홀딩스
건설태영건설 | 대구남부AMC | 양산석계AMC | 엠시에타 | 엠시에타개발 | 네오시티 | 유니시티 | 에코시티 | 에코시티개발 | 경산에코에너지 | 신경주지역개발 | 이너시티개발 | 양주동서도로 | 대동산업단지 | 신경주역세권공영개발
환경에코비트 | 포천바이오에너지 | 동부권푸른물 | 에코비트에너지 | 에코비트그린 | 에코비트워터 | 에코비트엠엔에스 | 에코비트엔워터테크 | 에코비트에너지전주 | 에코비트에너지경산 | 에코비트에너지정세 | 에코비트에너지명성 | 에코비트프리텍 | 에코비트엔솔 | 여수엑스포환경 | 에코비트엔지니어링 | 심양TSK환경공정유한회사 | 울산이앤씨 | 센트로 | 부산바이오에너지 | 여천이피에스
물류평택싸이로 | 태영그레인터미널
레저블루원리조트 | 블루원 워터파크 | 인제 스피디움
방송SBS | SBS A&T | SBS M&C | SBS 콘텐츠허브 | SBS플러스 | SBS미디어넷 | 미디어넷플러스 | D&P | SBS인터내셔널
공익재단SBS문화재단 | 서암윤세영재단



대한민국 시공능력평가순위 상위 30대 건설사
[ 펼치기 · 접기 ]

도급순위가 산정되지 않는 공기업
파일:한국토지주택공사 CI.svg파일:서울주택도시공사 로고.svg파일:경기주택도시공사 로고.svg
※ 본 틀은 매년 도급 순위(=시공능력평가순위) 상위 30개 건설사를 등재합니다. 매년 순위는 당해 8월 1일에 발표해 이듬해 7월 말까지 적용하며 이곳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단, LH와 SH, GH는 순위에 포함되지 않으나 인지도를 고려해 본 틀에 등재합니다.




태영건설
TAEYOUNG E&C
파일:태영건설 로고.svg
기업명정식: 주식회사 태영건설
한문: 株式會社 泰榮建設
영문: Taeyoung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설립일1973년 11월 20일 (50주년)
업종명종합 건설업
대표자최진국
브랜드데시앙
도급 순위16위 (2023)
모기업TY홀딩스
기업 규모대기업
상장 시장유가증권시장 (1989년~ )
종목 코드009410 (보통주) / 009415 (우선주)[1]
기업 현황구조조정(워크아웃) 신청
주소경기도 광명시 신기로 20 (일직동)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특징
4. 지배 구조
6. 역대 임원
7. 대표 및 주요 실적
8. 논란 및 사건 사고
9. 여담




1. 개요[편집]


TY홀딩스 계열의 대한민국 종합 건설 업체. 아파트 브랜드로는 데시앙이 있으며 회사 이름은 창립 당시 투자자였던 정태근의 태, 강백영의 영을 따서 작명되었다.

2. 역사[편집]


1973년 11월에 봉명그룹 출신의 윤세영이 태영개발이라는 사명으로 창업한 후 토목 및 건축 면허를 땄고, 1974년 전기공사업, 1976년 군납업 면허 등을 각각 따내 주로 관급공사를 맡아왔다. 1985년에 사명을 ㈜태영으로 바꾸고 서울특별시 여의도로 본사를 옮겼으며 1987년에 도급순위 45위로 처음 1군 건설사 반열에 올라섰다. 1989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하고 이듬해에 해외건설업 면허를 딴 후, 서울방송의 지배주주로 선정됐다. 2002년에는 아파트 브랜드 '데시앙'을 출시했다.[2]

2007년 현 명칭으로 변경한 후 2008년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 첫 해외 지사를 세웠다. 2011년에는 말레이시아에 첫 해외 합작법인을 세웠다. 2014년에는 레저사업부문을 '블루원리조트(現 블루원)'으로 분할했다. 2020년 9월에 투자부문을 떼내 'TY홀딩스'를 세웠다.

2023년 12월 28일 공식적으로 워크아웃을 신청하면서, 2022년 하반기부터 위기설이 돌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위기가 수면 위로 떠오르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금융위원회가 워크아웃 관련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계열사 매각, 대주주의 사재 출연 등의 방안이 논의되기 시작하면서 2023년 태영건설 부도 위기로 사건이 커지기 시작했다.


3. 특징[편집]


평범한 건설 업체지만, 이 회사가 가졌던 가장 큰 특징은, 3대 지상파 방송SBS의 지배 주주였다는 점이다. 2007년까지는 직접 자회사로 두고 있었다가 재허가 심사에 SBS 노조가 언론 사유화를 문제삼으면서 2008년부터 물적분할로 중간지주사인 SBS미디어홀딩스를 세워 SBS 지분을 SBS미디어홀딩스로 이임하고 태영건설은 이 회사의 60% 지분을 보유하는 식으로 간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2020년 6월 태영그룹의 지주사 체제로 전환과 함께 SBS미디어홀딩스 지분 60%가 지주사인 TY홀딩스로 이임되면서 비로소 태영건설의 손을 떠나 평범한 관계사가 되었다.[3]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SBS가 사옥을 짓는다거나 하면 태영건설이 시공을 도맡는다.[4] 당연히 본부인 SBS 방송센터도 태영의 작품. SBS 8 뉴스의 제공란에도 태영건설이 있고 실제로 뉴스 전 광고 때 데시앙 광고가 꼭 나온다. 2020년부터 가상 광고에도 나오며 SBS 라디오 시보에도 나온다.

1989년 지상파 방송사 입찰에 뛰어들어 1990년 서울방송(現 SBS)을 세우게 된다. 이 과정에서 노태우 대통령의 특혜 아니냐며 뒷말이 무성했는데, 자세한 내용은 SBS 항목 참조. 그 외 KNN의 지분도 일부 보유 중이라서 KNN 신 사옥의 시공사 또한 태영건설이다.

고양시일산신도시 지역에 지부가 있어 원래 경기북부 지역 5대 신도시 건설 지역으로 벽제읍(現 고양시 덕양구)이 지정되었다가 일산읍(現 일산동구, 일산서구)으로 바뀌며 일산신도시로 탄생하게 되는데 SBS 창립과 더불어 정권의 비호 역할을 한 거 아니냐는 뒷소문도 있었다.[5][6]

21세기 들어 도시 개발에 적극적이다. 제35보병사단 이전 도시개발사업 전주에코시티와 같은 시기 제39보병사단 이전 도시개발사업 창원 유니시티를 완공하였다. 그 외에도 양산 사송지구, 대구 도남지구, 부천 네오시티 도시개발사업을 진행 중이거나 예정에 있다.


4. 지배 구조[편집]


태영건설
TAEYOUNG
Engineering & Construction Co.,Ltd.
주주명지분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Y홀딩스
27.7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석민
10.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암윤세영재단
7.0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상희[7]
3.0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세영
1.0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재규
0.9%
2023년 9월 30일 기준


5. 시공능력평가 순위[편집]


연도시공능력평가 순위
1999년23위
2000년18위
2001년21위
2002년17위
2003년13위
2004년16위
2005년17위
2006년21위
2007년24위
2008년24위
2009년23위
2010년22위
2011년19위
2012년18위
2013년17위
2014년14위
2015년21위
2016년19위
2017년20위
2018년14위
2019년14위
2020년13위
2021년14위
2022년17위
2023년16위


6. 역대 임원[편집]


  • 이사회 의장
    • 변탁[8] (2008~2011)

  • 부회장
    • 변탁 (2005~2011)

  • 대표이사 부회장
    • 변탁 (2004~2005)
    • 윤석민 (2008~2019)
    • 이재규 (2019~ )

  • 대표이사 사장
    • 윤세영 (1973~1988)
    • 변탁 (1988~2004)
    • 박종영 (2004~2015)
    • 김외곤 (2008~2014)
    • 이재규 (2015~2019)


7. 대표 및 주요 실적[편집]




8.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 2021년 상반기 중 1분기에만 건설 현장 중대 사고로 노동자 4명이 사망해 대형 건설사 중 최다 불명예를 기록했다. #


8.1. 2023년 태영건설 부도 위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3년 태영건설 부도 위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2 18:24:41에 나무위키 태영건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4.3.13. 자본잠식으로 두 종목 모두 거래정지, 2024.4.9. 삼정회계법인회계감사 결과 의견거절로 상장폐지 사유 발생하였으나 이의 신청 제출됨.[2] 데시앙 런칭 이전에는 태영의 당시 로고를 썼다. 현재는 대부분 데시앙 로고나 현행 태영 로고를 쓰지만 서울 마포나 광주 화 태영아파트 등 태영이 지은 일부 구축 아파트의 외벽이나 단지 정문 앞 석재 명판 등지에서 현재도 드물게 발견할 수 있다.[3] SBS미디어홀딩스 역시 2021년 TY홀딩스에 합병되었다.[4] 과거 SBS 스타즈 농구단이 있을 때 유니폼 전면에 새겨진 광고가 태영이라는 기업명 내지는 데시앙 아파트 PR이었다.[5] 일산서구에 상가와 아파트가 결합된 태영프라자가 있다.[6] 대곡역 근처에는 SBS 라디오고양 AM 송신소가 있다. 현재는 폐쇄된 KBS 개봉송신소를 빌려 쓰다가 1993년에 신축한 것이다.[7] 윤석민 회장의 배우자[8] 윤세영 창업주의 처남으로 2019년 8월 11일에 작고함.[9] 한림건설과 공동 시공. 참고로 이 쪽은 경상남도 건설사다. 메트로시티 석전은 효성건설과 공동 시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