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태광산업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강관 제조 기업에 대한 내용은 태광 문서
태광번 문단을
태광# 부분을
, 신발 OEM 업체에 대한 내용은 TKG태광 문서
TKG태광번 문단을
#s-번 문단을
TKG태광#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태광산업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계열사
섬유 · 석유화학태광산업 | 대한화섬 | 서한물산 | 세광패션
금융흥국생명 | 흥국화재해상보험 | 흥국증권 | 흥국자산운용 | 고려저축은행 | 예가람저축은행
미디어티캐스트 (E채널) | 씨네큐브 | 한국케이블텔레콤 (티플러스)
인프라 · 레저티시스 (큰희망) | 티알엔 (북앤라이프 도서문화상품권) | 메르뱅
학교 법인일주학원 (세화여자고등학교 · 세화여자중학교 · 세화고등학교)
공익 재단일주학술문화재단 | 세화예술문화재단
스포츠단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배구단
사건 사고태광산업 방폐물 불법 보관 사건 | 그룹 총수 황제 보석 | 흥국생명 채권 사태



태광산업
泰光産業 | Taekwang Industrial Co., Ltd.

파일:태광산업 로고.svg

정식 명칭태광산업주식회사
영문 명칭Taekwang Industrial Co., Ltd.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업종명합성섬유 제조업
설립일1961년 9월 15일
주소서울특별시 중구 동호로 310 (장충동2가)[1]
대표이사성회용
기업 규모대기업
상장 유무상장기업
상장 시장유가증권시장 (1975년 ~ 현재)
종목 코드003240
자본금55억 6,700만원 (2023)
매출액2조 2655억원 (2023)
영업이익1,979억 9,000만원 (2019)
당기순이익536억 7,000만원 (2019)
직원 수1,345명 (2020.06.30.)
링크태광산업 홈페이지

1. 개요
2. 역사
3. 지배구조
4. 역대 임원
5. 특징
6. 논란 및 사건 사고
6.1. 화재 및 폭발 사고
6.2. 방사성 폐기물 은폐 사건
6.3. 태광그룹 검찰 수사 연루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태광그룹의 모기업이자 화학/섬유업체이다. 박연차태광실업과는 전혀 다른 회사다.


2. 역사[편집]


1954년 일주 이임용 창업주가 경남 부산시 문현동에 설립한 '태광산업사'가 모태이다. 1961년 주식회사로 개편 후 현 사명으로 개칭하고 이듬해 무역업을 개시한 후, 1963년에는 부산 가야공장을 세웠다. 1966년 '피존텍스'를 출시하고 1967년에는 울산 아크릴공장을 준공했고, 1969년 부산 동래공장을 준공했다. 1971년 동양합섬을 합병하고 1975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한 뒤, 1977년 부산 반여동에 소모방공장을 준공한 후 1982년 일본 오사카에 해외지사를 개설했다. 1983년에는 당시 별표전축/에로이카(Eroica)로 알려진 태광전자(구 천일사)를 합병해 전자사업에도 손을 뻗었다. 이후 2005년 사업성 악화로 전자사업을 중단했다.

1985년 부산 동래공장 화재로 소모방 59,848추가 전소되어 막대한 피해를 입었으나, 본사는 사원을 한 명도 감원하지 않고 1년 동안 복구시켰다. 1988년 태광기술연구소를 세우고 탄소섬유 공장을 세운 후, 1990년 경북 경주공장을 세우고 1993년 대전 대덕연구단지에 중앙연구소를 세운 뒤, 1994년 광진섬유공업을 합병하고 1995년 석유화학 1공장을 준공했다. 2003년 중국 창슈에 첫 해외법인을 세우고 2005년에는 중국 현지공장까지 준공했다. 2005년 12월 전자사업에서 철수한 후 안양공장을 매각하였다. 2012년에는 국내 최초로 탄소섬유를 상업 생산했다.


3. 지배구조[편집]


2023년 4월 기준
주주명지분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호진
29.4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티알엔
11.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원준
7.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교법인일주세화학원
5.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동준
0.6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태준
0.6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트러스톤자산운용
5.8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자사주
24.41%


4. 역대 임원[편집]



  • 대표이사 부회장

  • 대표이사 사장
    • 이임용 (1961~1973)
    • 김진하 (1973~1980)
    • 이기화 (1980~1997)
    • 이호진 (1997~2004)
    • 이화동 (2004~2007)
    • 오용일 (2007~2009)
    • 이상훈 (2009~2012)
    • 최중재[2] (2013~2016)
    • 박재용[3] (2020~2022)
    • 정찬식[4] (2021~2022)
    • 조진환 (2022~2024)
    • 정철현 (2022~2024)
    • 성회용[5] (2024~)

  • 대표이사 부사장
    • 홍현민[6] (2016~2021)

  • 대표이사 전무
    • 김형생 (2018~2020)


5. 특징[편집]


주요 사업 분야는 섬유, 직물, 석유화학, 신소재 사업이다. 섬유부문에서는 아크릴, 나일론, 스판덱스, 방적사, LMF 등을, 직물 부문에서는 트리코트직물, 폴리에스테르직물 등을 생산한다. 석유화학 부문에서는 PET 병 및 필름의 기초 원료로 사용되는 PTA, 석유화학 기초 유분인 프로필렌, ABS 합성수지 등의 주원료인 AN, 금광, 선광, 도금 등에 사용되는 시안화나트륨(NaCN), 제약 합성 및 시약 원료인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유안비료인 황산암모늄, 과산화수소 등을 생산하고, 신소재 부문에서는 고탄력, 고강도성으로 각광받고 있는 탄소섬유와 중량이 강철의 20%에 불과하지만 강도는 5배 이상으로 내열성이 우수한 아라미드 등을 생산하고 있다.


6.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태광산업 관련 주요 논란 및 사건 사고에 대한 항목으로, 태광그룹에 대한 논란은 아래의 문서에 별도 생성되어 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태광그룹/논란 및 사건 사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 화재 및 폭발 사고[편집]


태광산업 울산공장의 탄소섬유 제조공정 화재로 근로자 10명이 중경상[7]을 입은 사건이 2012년에 발생했고, 2020년 보관중이던 방사성 폐기물이 누출[8]되었으며, 2021년에는 울산2공장에서 두차례의 폭발[9]이 있었다.


6.2. 방사성 폐기물 은폐 사건[편집]


태광산업 울산공장은 국내 최대 민간 방사성 폐기물 보관 지역으로 이에 대한 은폐 사실이 2016년 SBS 특종으로 보도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국회원안위 등 감독기관 자료에 따르면, 태광산업 공정 후 남겨져 보관 중인 중저준위 방폐물이 경주방폐장보다 많은 양으로 알려졌다. 당초 태광산업은 2019년까지 방폐물을 처리하기로 계획했으나, 방폐물 운반선이 전국에 1척이고 고리, 한빛 원전 등에서도 방폐물 처리를 예정하고 있어 이전이 지연됐다. 최근에는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처리하는 것으로 다시 계획하고, 매년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정기 검사를 받고 주기적으로 방사선량을 측정하며 관리하는 등 안전 관리를 지속하고 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태광산업 방폐물 불법 보관 사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태광그룹 검찰 수사 연루[편집]


태광그룹에 대한 전방위적 2010년 검찰수사에서 오너의 횡령 및 배임, 비자금 의혹, 무자료 거래 등이 포착되었으며, 이러한 사실이 황제 보석과 일감몰아주기 파문으로 번지면서 오랜 논란이 되었다. 상장기업인 태광산업 대표이사가 근 10년간 4회나 교체되면서 재임기간이 2년 남짓에 불과한 것은 그룹 차원의 혼란의 여파로 분석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태광그룹/논란 및 사건 사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둘러보기[편집]


파일:태광산업 로고.svg
태광그룹의 논란 및 사건 사고
[ 펼치기 · 접기 ]

연도별2000년대티브로드 성접대 로비 사건 (2009) | 티브로드, 큐릭스 인수 특혜 논란 (2009) | 장하성 펀드, 태광그룹 지배구조개선 요구 (2006) | 태광그룹, 쌍용화재 인수 특혜 논란 (2006)
2010년대태광그룹 총수 황제보석 (2018) | 태광산업 방폐물 불법 보관 (2016) | 태광그룹 골프장 상품권 배임 (2019) | 태광그룹 김치·와인 일감몰아주기 (2019) | 태광그룹 골프장 정관계 고위직 로비 의혹 (2018) | 조국 사태 당시 탄원서 논란 (2018) | 티브로드 시청자 침해 불법 영업 (2017) | 티브로드, 국회의원에 "미친X" 욕설 (2017) | 티브로드 비정규직 사망 사건 (2014) | 태광산업 본사 협력업체 사장 분신 (2013) | 태광산업 울산공장 화재 사고 (2012) | 티브로드 개인정보 유출 사건 (2010)
2020년태광산업 울산 방폐물 누출 사고 | 흥국생명 소비자 만족도 최하위 논란
2021년태광산업 울산 공장 폭발 사고 | 흥국생명 발 학폭 사태
2022년흥국생명 채권사태 | 흥국생명 볼펜값 착복 논란 | 태광그룹 임직원 정리해고 논란 | 12조원 투자계획 진실 공방
2023년흥국생명 배구단에 오너 갑질 파문 | 협력업체 회원권 강매 논란 | 특별사면 관련 법무부 스캔들 | 특별사면 두 달만 다시 압수수색
계열사별태광산업태광산업 방폐물 불법 보관 | 태광산업 울산 방폐물 누출 사고 | 태광산업 울산 공장 폭발 사고 | 태광산업 울산공장 화재 사고
흥국생명흥국생명 채권사태 | 흥국생명 볼펜값 착복 논란 | 흥국생명 발 학폭 사태 | 흥국생명 소비자 만족도 최하위 논란 | 흥국생명 배구단에 오너 갑질 파문
티브로드티브로드 성접대 로비 사건 | 티브로드, 국회의원에 "미친X" 욕설 | 티브로드 비정규직 사망 사건 | 티브로드 개인정보 유출 사건 | 티브로드 시청자 침해 불법 영업
기타태광그룹 총수 황제보석 | 태광그룹 골프장 정관계 고위직 로비 의혹 | 태광그룹 골프장 상품권 배임 | 태광그룹 김치·와인 일감몰아주기 | 태광그룹 임직원 정리해고 논란 | 협력업체 회원권 강매 논란 | 특별사면 관련 법무부 스캔들 | 특별사면 두 달만 다시 압수수색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4 11:26:04에 나무위키 태광산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동북중·고등학교가 1980년까지 썼던 건물이다.[2] 삼성물산 출신.[3] 효성그룹 출신으로, (주)효성 테크니컬얀PU장, GST글로벌 대표이사, 효성첨단소재 GST 관리담당 상무 등지 역임.[4] 전 LG화학 NCC사업부장 및 ABS사업부장.[5] 전 SBS 보도국장, 미디어사업국장, 티캐스트 대표이사.[6] 전 삼성정밀화학 전략기획실장 및 한덕화학 대표이사.[7] 태광산업 울산공장 화재 사고[8] 태광산업 울산 방사성 폐기물 누출 사고[9] 태광산업 울산 공장 폭발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