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칸나기/애니메이션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칸나기


칸나기 (2008)
かんなぎ
파일:attachment/3_69.jpg
작품 정보 ▼
장르코미디, 판타지
원작타케나시 에리
감독야마모토 유타카
시리즈 구성쿠라타 히데유키
캐릭터 디자인미마 카케루(三間カケル)[1]
총 작화감독카도와키 사토시
프롭 디자인나카지 케이코(中路景子)
미술 감독모리카와 아츠시(森川 篤)
색채 설계나카시마 카즈코(中島和子)
촬영 감독히로오카 가쿠(廣岡 岳)
편집츠보네 켄타로(坪根健太郎)
음향 감독키쿠타 히로미(菊田浩巳)
음악코우사키 사토루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우에다 마스오
카츠마타 히데오(勝股英夫)
프로듀서이와카미 아츠히로(岩上敦宏)
오치코시 토모노리(落越友則)
스기노 코스케(杉野康介)
애니메이션 프로듀서시미즈 아키라(清水 暁)
애니메이션 제작A-1 Pictures
Ordet
제작애니플렉스
이치진샤
방영 기간2008. 10. 04. ~ 2008. 12. 27.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MX / (토) 22:30
편당 러닝타임24분
화수전13화 + 미방영 1화
시청 등급정보 없음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야마모토 유타카가 소속되었던 회사 Ordet의 크리에이터들의 공동 필명이다.

1. 개요
2. 특징
4. 음악
4.1. 주제가
4.1.1. OP
4.1.2. ED
4.1.3. 10화 ED
4.2. 삽입곡
5. 회차 목록
7. 평가
8. 기타



1. 개요[편집]


일본의 만화 칸나기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야마모토 유타카, 방영 시기는 2008년 10월.


2. 특징[편집]


본격 다리 페티시즘 애니메이션으로 유명하다. 여기에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의 애니판 엔딩, 러키☆스타의 오프닝을 담당했던 연출가인 감독 야마모토 유타카 덕분에 이번 오프닝도 댄스가 주를 이루고 있지만, 앞의 두 작품과 달리 전파계는 아니다. 야마칸의 아이돌 사랑이 느껴지는 오프닝으로, 나기는 아이돌이 되어 노래를 부르고 있으며 진을 비롯한 주변 인물들은 매니저, 스태프, 감독 등의 모습으로 등장한다. 참고로 오프닝곡의 작곡자도 러키☆스타 오프닝곡과 같은 작곡가인 코우사키 사토루.

교토 애니메이션 출신인 감독 덕분인지[1] 교토 애니메이션의 작품에 출연했던 성우들이나 캐릭터, 등장배경 등이 간혹 등장한다. 일단 나카하라 마이가 메인 캐스트에 들어가 있으며, 초반 몇화 동안에는 히이라기 자매인 카토 에미리, 후쿠하라 카오리, Kanon에 나왔던 사토 아케미(게다가 미술부원!), CLANNAD에 나왔던 칸다 아케미가 엑스트라 캐릭터 성우로 등장. 이후에 후쿠하라 카오리는 속옷 가게의 D컵 중학생으로 재등장. 또 6화에서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에 등장했던 역 앞 배경이 등장했으며(어딘가의 단장님도 파란 머리띠로 등장), 10화에서는 어디서 많이 봤던 노래방이 등장. 어디서 많이 봤던 4인방도 10화에서 뒷모습을 비췄다(목소리는 없이)#.[2]

덧붙이자면 샤프트 애니들처럼 매회 엔딩마다 업계의 쟁쟁한 인물들이 그린 칸나기의 일러스트가 등장한다. 자세한 사항은 칸나기/애니메이션/엔드 카드 항목 참조.


3. 등장인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칸나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등장인물@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음악[편집]



4.1. 주제가[편집]



4.1.1. OP[편집]


OP
motto☆派手にね!
TV ver.
Full ver.
노래토마츠 하루카
작사辛矢凡
작곡코우사키 사토루
편곡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한국에서는 TJ미디어가 칸나기 오프닝곡을 삽입하였다. 금영2009년 7월 오프닝곡을 삽입하였다.


4.1.2. ED[편집]


ED
産巣日の時
TV ver.
Full ver.
노래토마츠 하루카
작사辛矢凡
작곡코우사키 사토루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엔딩곡 타이틀인 '産巣日の時'는 일본 신도에서 쓰이는 기도문 아마츠 노리토(天津祝詞)를 부분부분 따와 바꾼 것. 아마츠 노리토의 기본적인 내용은 신토의 신들을 부르며 더러움과 부정을 씻어달라는 것이다. 일부 신도 오타쿠들 사이에서는 음정이나 억양이 바뀌면서 불행을 부르는 노래가 되었다는 소리도 돌았던 모양이다.


4.1.3. 10화 ED[편집]


EP10 ED
しりげやのテーマ
TV ver.
Full ver.
노래시리게대(しりげ隊)
작사코우사키 사토루
작곡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타케우치 테츠야
연출
작화감독
원화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4.2. 삽입곡[편집]


삽입곡 1
イチバンボシ
Full ver.
노래아오바 츠구미(CV: 사와시로 미유키)
작사야마모토 유타카
작곡코우사키 사토루
편곡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삽입곡 2
I believe you forever
Full ver.
노래히비키 다이테츠(CV: 호시노 타카노리)
작사쿠라타 히데유키
작곡코우사키 사토루
편곡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삽입곡 3
君とランナウェイ
Full ver.
노래아키바 메구루(CV: 카키하라 테츠야)
작사쿠라타 히데유키
작곡코우사키 사토루
편곡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삽입곡 4
アモーレ青春
Full ver.
노래미쿠리야 진(CV: 시모노 히로)
작사타케나시 에리
작곡코우사키 사토루
편곡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삽입곡 5
ハロー大豆の歌
Full ver.
노래나기(CV: 토마츠 하루카)
작사타케나시 에리
작곡
편곡코우사키 사토루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삽입곡 6
純♥愛(ぴゅあらぶ)・ジェネレーション
Full ver.
노래키무라 타카코(CV: 하야미즈 리사)
작사타케나시 에리
작곡코우사키 사토루
편곡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삽입곡 7
Delicateにラブ・ミー・プリーズ
Full ver.
노래참회쨩(CV: 하나자와 카나)
작사야마모토 유타카
작곡코우사키 사토루
편곡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5.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방영일
TVA
제1막神籬(ひもろぎの娘
히모로기의 소녀
쿠라타 히데유키야마모토 유타카카도와키 사토시2008.10.04.
제2막玉音アタック!
방울소리 어택!
하타 히로유키
(畑 博之)
카마쿠라 유미누마타 세이야2008.10.11.
제3막スクールの女神
학교의 여신
이츠키 이와오
(五木 巌)
히라무키 토모코
(平向智子)
고토 타카히로
(後藤孝宏)
카메타니 쿄코
(亀谷響子)
2008.10.18.
제4막シスターーズ
시스터-즈
히라이케 요시마사모리 요시히로
(森 義博)
후루카와 히데키
(古川英樹)
2008.10.25.
제5막発現! しょくたくまじんを愛せよ
발견! 식탁마인을 사랑해라
야마우치 토미오
(山内東生雄)
우라와 후미코
(浦和文子)
오무키 와카바
(大麦若葉)
2008.11.01.
제6막ナギたんのドキドキクレイジー
나기 땅의 두근두근 크레이지
카쿠타 미츠루
(角田 充)
타카시마 다이스케
(高島大輔)
노다 야스유키
(野田康行)
2008.11.08.
제7막キューティー大ピンチ! 激辛ひつまぶしの逆襲 (後篇)
큐티 대핀치! 매운 장어덮밥의 역습(후편)
야마모토 유타카요시오카 시노부
(吉岡 忍)
마츠오 유스케2008.11.15.
제8막迷走嵐が丘
미주 폭풍의 언덕
혼다 토오루히이로 유키나
(ひいろゆきな)
카와이 타쿠야
(河合拓也)
카메타니 쿄코
2008.11.22.
제9막恥ずかしい学園コメディ
부끄러운 학원 코미디
타카하시 타츠야코미노 마사히코츠치야 히로유키
(土屋浩幸)
카와사키 아이카
(川崎愛香)
코노 마키
(河野真貴)
2008.11.29.
제10막カラオケ戦士 マイク貴子
노래방 전사 마이크 타카코
쿠라타 히데유키요시오카 시노부아카이 토시후미2008.12.06.
제11막でも、あやふや
그래도, 알쏭달쏭
카구라자카 토키이치
(神楽坂時市)
나토리 타카히로
(名取孝浩)
나카지 케이코
(中路景子)
2008.12.13.
제12막ほんとうにエフェメラル
정말로 에페메랄
오카무라 텐사이카마쿠라 유미노다 야스유키
카와이 타쿠야
2008.12.20.
제13막仁、デレる
진, 반하다
야마모토 유타카
요시노 히로시
(吉野 宏)
야마모토 유타카마츠오 유스케
카도와키 사토시
2008.12.27.
미방영
제14막もしもこんな『かんなぎ』があったら…
혹시 이런 『칸나기』가 있다면…
쿠라타 히데유키야마모토 유타카카도와키 사토시2009.05.27.


6. 엔드 카드[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칸나기/애니메이션/엔드 카드#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평가[편집]


원작의 경우에는 논란도 있었고 작가의 건강문제를 이유로 휴재사태도 있었지만 애니메이션의 경우에는 논란의 장면이 나오기 전에 완결을 낸데다가 작품 자체도 호평을 받았기 때문에 상당한 인기를 얻었었다. 다만 전술했듯이 감독 야마모토 유타카의 자기주장이 때때로 스토리의 흐름까지 끊어먹을 정도로 자주 나와 보기 불편하다는 비판도 나온다.

이를 방영하듯 DVD 평균 판매량도 10,000장을 넘기면서 성공적인 판매량을 올렸다.

2012년 5월 2일에는 블루레이 박스로 재발매되었다. 전편 재촬영, HD화. 토라도라! 같이 업컨버트는 아닌 듯하다. 특전은 작가와 캐릭터 디자이너가 그린 박스와 패키지. 특제 부클릿, 오디오 코멘터리 등. 적은 수지만 팬들의 기대를 모았다. 판매량은 2,300장 정도.


8. 기타[편집]




[1] 총작화감독인 카도와키 사토시 역시 쿄애니 출신.[2] 이에 대해 "역시 야마칸!"이라며 좋아하는 사람도 있는 반면, 야마칸의 자기 패러디는 지겹다고 안티로 돌아선 사람도 적지 않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0 01:13:02에 나무위키 칸나기/애니메이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