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의회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하위문서.png   하위 문서: 충청남도의회/선거구




파일:충청남도 휘장.svg
충청남도의회의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33석, 도지사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8석
파일:정의당 흰색 로고.svg
1석
재적
42석



파일:지방의회 휘장_White.svg
충청남도의회
忠淸南道議會 | Chungcheongnam-do Council
파일:충남도의회로고.png

소재지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도청대로 600
구성단원제, 다당제
개회1952년 5월 20일
의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조길연 (부여군 2선거구)
부의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복만 (금산군 2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홍성현 (천안시 1선거구)
사무처장신동헌
의원정원 48석 중 재적 48인 (12대 의회)
최근 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22년)
차기 선거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26년)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1. 개요
2. 의회 구성
2.1. 의회 분포 및 현황
3. 의석 현황
4. 의장
5. 부의장
6. 역대 충청남도의회
7. 기타


파일:충청남도의회.jpg
충청남도의회 전경[1]



1. 개요[편집]


충청남도지방의회.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도청대로 600 (의회동), 내포신도시 내에 위치해있다.[2]


2. 의회 구성[편집]



2.1. 의회 분포 및 현황[편집]


  • 제12대 충청남도의회 전반기 상임위원회
    • 상임위원회
      • 의회운영위원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방한일 (예산군1선거구)
      • 기획경제위원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명숙 (청양군선거구)
      • 복지환경위원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응규(아산시1선거구)
      • 행정문화위원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옥수(서산시1선거구)
      • 농수산해양위원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정광섭(태안군2선거구)
      • 안전건설소방위원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기서 (부여군1선거구)
      • 교육위원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편삼범 (보령시2선거구)
    • 특별상임위원회
      • 예산결산특별위원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최창용 (당진시3선거구)
        [3]



3. 의석 현황[편집]


충청남도의회 의석
(총 재적 48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6석12석

충남도의회 의석은 총 48석으로, 지역구 43석에 비례대표 5석이다. 현재 제1당은 도정여당인 국민의힘으로, 75%의 의석을 가지고 있다. 이는 6회 지방선거 이후의 비율과 동일하다.

4. 의장[편집]


파일:지방의회 휘장_White.svg
충청남도의회의장
[ 펼치기 · 접기 ]

제1대 의회
전,후
제2대 의회
제2대 의회
제3대 의회
김달영이승종최병억최병억유충식임헌세
제4대 의회
전,후
제5대 의회
전,후
제6대 의회
제6대 의회
이대희이종수김재봉
제7대 의회
제7대 의회
제8대 의회
제8대 의회
이복구박동윤김문규강태봉정순평
제9대 의회
제9대 의회
제10대 의회
제10대 의회
유병기이준우김기영윤석우유익환
제11대 의회
제11대 의회
제12대 의회
유병국김명선조길연



의회대수이름임기선출 당시 정당
1김달영1952년 5월 10일 ~ 1956년 8월 12일알수 없음
2이승종1956년 8월 ~ 1957년 8월
최병억1957년 8월 ~ 1958년 8월
1958년 8월 ~ 1959년 12월
유충식1959년 12월~ 1960년 4월 18일
1960년 4월 20일 ~ 1960년 12월
3임헌세1960년 12월 ~ 1961년 5월 20일[4]
4이대희1991년 7월 8일 ~ 1993년 7월 6일
ta-hash-start=w-0878794aeceb5eb52bdbe43c6bfb3009[[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3년 7월 7일 ~ 1995년 6월 30일
5이종수1995년 7월 11일 ~ 1997년 1월 10일
1997년 1월 11일 ~ 1998년 6월 30일
61998년 7월 9일 ~ 2000년 7월 6일
김재봉2000년 7월 7일 ~ 2002년 6월 30일
7이복구2002년 7월 9일 ~ 2004년 7월 8일
박동윤2004년 7월 9일 ~ 2006년 6월 30일
8김문규2006년 7월 13일 ~ 2008년 7월 13일
강태봉2008년 7월 14일 ~ 2010년 3월 21일[5]
정순평2010년 3월 22일 ~ 2010년 6월 30일
9유병기2010년 7월 13일 ~ 2012년 7월 11일
이준우2012년 7월 12일 ~ 2014년 6월 30일
10김기영2014년 7월 2일 ~ 2016년 6월 30일
윤석우2016년 7월 1일 ~ 2018년 3월 14일[6]
유익환2018년 3월 15일 ~ 2018년 6월 30일
11유병국2018년 7월 2일 ~ 2020년 6월 30일
김명선2020년 7월 2일 ~ 2022년 6월 30일
12조길연2022년 7월 1일 ~

5. 부의장[편집]






6. 역대 충청남도의회[편집]


1991년 지방선거(제4대 충청남도의회) 결과
(총 재적 55석)
37석4석14석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5대 충청남도의회) 결과
(총 재적 61석)
53석5석2석1석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6대 충청남도의회) 결과
(총 재적 36석)
32석3석1석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대 충청남도의회) 결과
(총 재적 36석)
21석8석4석3석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대 충청남도의회) 결과
(총 재적 38석)
21석14석3석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9대 충청남도의회) 결과
(총 재적 45석)
교육의원
21석13석6석5석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10대 충청남도의회) 결과
(총 재적 40석)
30석10석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11대 충청남도의회) 결과
(총 재적 42석)
33석8석1석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12대 충청남도의회) 결과
(총 재적 48석)
36석12석


7. 기타[편집]





[1] 충청남도청하고 이어져있다.[2] 도의회 청사는 예산군에 있는데 도청 청사는 홍성군에 있는 게 재미있다.[3]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피선거권이 상실되었다(2023년 8월 31일).[4] 5.16 군사정변으로 인한 의회 해산[5] 5회 지선 아산시장 출마를 위한 사퇴[6] 7회 지선 공주시장 출마를 위한 사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