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한림

덤프버전 :

최한림의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000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레이더스]] 등번호 19번}}}
팀 창단최한림
(1990)
권영진
(1991~1994)
{{{#000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레이더스]] 등번호 46번}}}
김호근
(1990.4.26.~1990)
최한림
(1991~1995.5.9.)
김현욱
(1995.5.10.~1998)
{{{#ffffff [[삼성 라이온즈|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6번}}}
이영재
(1991~1994)
최한림
(1995.5.10.~1997)
이복연
(1998)

파일:인상고최한림.jpg
인상고등학교 야구부 No.
최한림
崔翰林 | Choi Han-lim
}}}
출생1971년 11월 15일 (52세)
전라북도 전주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전주고
포지션투수
투타좌사좌타
프로입단1990년 고졸 연고구단 자유계약 (쌍방울)
소속팀쌍방울 레이더스 (1990~1995)
삼성 라이온즈 (1995~1997)
지도자전주동중학교 야구부 코치 (1998)
탐라대학교 야구부 코치 (1999)
순천효천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00~2007)
전라중학교 야구부 감독 (2008~2018)
인상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8~)

1. 개요
2. 선수 경력
3. 지도자 경력
4. 연도별 성적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쌍방울 레이더스삼성 라이온즈에서 활동했던 야구선수. 현 인상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한국프로야구 최초의 좌완 사이드암 투수로 보통 알려져 있지만 최한림 이전에도 이진이라는 좌완 사이드암 투수가 있었긴 했다.[1][2]


2. 선수 경력[편집]


파일:최한림 쌍방울.jpg파일:최한림.png
쌍방울 시절삼성 시절
전주고를 졸업하고 1990년 쌍방울 레이더스에 입단했다. 1990년 당시 쌍방울은 1군에 참가하지 않아서 1군 데뷔는 1991년에 했다. 1993년에는 선발로서 활약했으나, 5승 12패[3]를 기록하는 등 좋지 않았다.

좌완 사이드암이라는 이점 때문에 1995년 5월, 삼성이 한때 팀의 주축 투수였던 류명선을 보내면서까지 그를 데려왔다.(최한림+윤혁류명선+김현욱)

이 트레이드는 완벽한 쌍방울의 승리라고 평가된다. 당시 김현욱은 그저 그런 2군 투수에 불과했지만 김성근 감독의 지도로 기량이 급성장해 전무후무한 구원 승 20승으로 다승 1위, 방어율 1위, 승률 1위 등을 차지한 것. 반면에 최한림은 쌍방울 시절만큼의 성적도 못 올리고 1997년에 은퇴하게 된다. 그렇지만 최한림도 1995년 26경기 47이닝, 1996년 51이닝을 소화하였으니 나름 제 역할은 수행 한 편이다.


3. 지도자 경력[편집]


은퇴 후 전라중학교 감독을 오래 역임했고 2018년 시즌 도중 인상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옮겼다. 2020년 인상고를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4강에 진출시키는 성과를 올렸다.


4. 연도별 성적[편집]


  • 붉은 글씨는 리그 1위 기록. 진한 표시는 리그 5위 내 기록.

역대 기록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승률ERA피안타피홈런4사구탈삼진실점자책점WHIP
1991쌍방울613⅔0200.0009.2223010616142.20
199239107⅓2910.1824.6110612565164551.44
19933015651200.2943.9214216
(1위)
799275
(5위)
68
(공동 2위)
1.39
199427633710.3006.71808504150471.89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승률ERA피안타피홈런4사구탈삼진실점자책점WHIP
1995쌍방울 / 삼성2647⅓0200.0003.99512231425211.52
1996삼성23512100.6674.76517252527271.39
199712161001.0005.0682651190.75
KBO 통산
(7시즌)
163454⅓133320.2834.77461472492342682411.49

완투, 완봉 기록
연도완투완봉
1992년1완투1완봉
1993년2완투1완봉
1996년1완투0완봉
KBO 통산4완투2완봉


5. 관련 문서[편집]



[1] 최한림 이후에도 좌완 사이드암 투수는 박정규, 이상훈, 임현준 밖에 없을 정도로 희귀한 편이다.[2] 근데 데뷔 초창기에는 사이드암보다는 낮은 쓰리쿼터에 가까웠고, 좌완치고 빠른 볼로 주목을 받았다. 지금의 박정규와 같은 사이드암으로 보기에는 다소 무리.[3] 다만 평균자책점은 3점대로 준수했으며, 당시 약팀이었던 쌍방울 소속이다 보니 마구잡이로 등판한 탓이 크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3:25:53에 나무위키 최한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