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부(동음이의어)

덤프버전 :

2. 벼슬 이름
4. 일본의 중부 지방(中部地方)을 가리키는 말
5. 수호전의 등장 인물
6. 삼국지 시대의 인물


1. 가정에서 전업으로 집안일을 하는 사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주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 벼슬 이름[편집]


파일:고구려 삼족오.png
고구려의 관직
[ 펼치기 · 접기 ]

초기중기후기
1등상가(相加)폐지
2등대로(對盧)1등대대로(大對盧)1등대대로(大對盧)
토졸(吐捽)
3등패자(沛者)
4등고추(대)가(古鄒(大)加)2등태대형(太大兄)2등태대형(太大兄)
막하라지(莫何羅支)
3등대형(大兄)7등대형(大兄)
힐지(纈支)
4등소형(小兄)10등소형(小兄)
실지(失支)
5등주부(主簿)5등의후사(意候奢)3등울절(鬱折)
6등우태(于台)6등오졸(烏拙)
7등(승)사자((丞)使者)7등태대사자(太大使者)4등태대(부인)사자(太大(夫人)使者)
알사(謁奢)
8등대사자(大使者)6등대사(大奢)
9등소사자(小使者)9등상위사자(上位使者)
계달사자(契達使者)
을사(乙奢)
10등욕사(褥奢)8등발위사자(拔位使者)
유사(儒奢)
8등조의(皂衣)11등예속(翳屬)5등(중리)조의두대형((中裏)皂衣頭大兄)
11등제형(諸兄)
이소(伊紹)
하소환(河紹還)
12등과절(過節)
13등불(과)절(不(過)節)
9등선인(先人)12등선인(仙人)14등선인(先人)
실원(失元)
서인(庶人)
지방욕살(褥薩)



主簿

1. 불내예국에서, 기록과 문서를 맡아보던 벼슬.
2. 울절.
3. 신라 때에, 행정 실무를 맡아보던 벼슬. 경덕왕이 관제를 중국식으로 개혁할 때 대사(大舍), 청위(靑位) 따위를 고친 것이다.
4. 고려 시대에, 여러 관아에 둔 육품에서 팔품까지의 벼슬. 선부, 사헌부, 춘추관, 전교시 따위에 두었다.
5. 조선 시대에, 각 아문의 문서와 부적(符籍)을 주관하던 종육품 벼슬.
6. 조선 시대에, 궁중에서 의원(의사)를 맡아보던 관직. 어의가 임금을 전담하는 의원이라면 주부는 중전과 왕자들을 상대로 하는 의원이라고 보면 된다.

지금의 주사라고 보면 된다. 별주부의 주부가 이 주부다.


3. 중국 전국시대 조나라 무령왕자칭한 칭호[편집]


主父

군주아버지라는 뜻으로 무령왕이 아들 혜문왕에게 양위한 후 자칭한 칭호다. 이것은 훗날 진시황이 아버지 장양왕을 황제태상황으로 추존하면서 태상황의 기원이 된다.


4. 일본의 중부 지방(中部地方)을 가리키는 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주부(일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수호전의 등장 인물 [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주부(수호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삼국지 시대의 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주부(삼국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복소해석학 용어[편집]


principal part /

복소해석학에서 어떠한 함수로랑 급수로 전개할 때, 테일러 급수 부분[1]을 제외한 항을 말한다. 고립특이점, 유수와 관련이 있다.

[1] 해석부(, analytic part)라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11:13:00에 나무위키 주부(동음이의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