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회 Mlily 몽백합배 세계 바둑 오픈전

덤프버전 :



1. 개요
2. 대회 진행
2.1. 예선
2.2. 본선
2.2.1. 64강
2.2.2. 32강
2.2.3. 16강
2.2.4. 8강
2.2.5. 준결승
2.2.6. 결승
3. 이야깃거리


1. 개요[편집]


2023년부터 열리는 Mlily 몽백합배 세계 바둑 오픈전.


2. 대회 진행[편집]




2.1. 예선[편집]




2.2. 본선[편집]



  • 중국 32 / 한국 14 / 일본 11 / 대만 3 / 북미 2 / 유럽 2

  • 본선 직행
    • 한국 (3) : 신진서(세계대회 우승 시드), 박정환(랭킹 시드), 변상일(국가대표 상비군)
    • 중국 (9) : 미위팅 (전기 우승) / 셰커 (전기 준우승) / 스웨 / 탕웨이싱 / 양딩신 / 딩하오 / 리쉬안하오 / 구리 (와일드 카드) / 구쯔하오 (와일드 카드)
    • 일본 (3) : 이치리키 료 / 시바노 도라마루 / 이야마 유타
    • 대만 (1) : 쉬하오훙

  • 예선 통과
    • 한국 (11) : 신민준, 김명훈, 원성진, 홍성지, 박건호, 백홍석,원제훈,안성준(이상 일반조), 최정(여자조) 박승현, 최환영(이상 아마조)
    • 중국 (23) : 커제 / 판팅위 / 퉈자시 / 당이페이 / 탄샤오 / 셰얼하오 / 롄샤오 / 자오천위 / 리웨이칭 / 왕싱하오 /
랴오위안허 / 쉬자양 / 양카이원 / 첸센 / 류위항 / 구링이 / 옌환 / 허위한 / 황밍위 / 위즈잉 (여자) /
저우훙위 (여자) / 왕순보 (아마) / 후위칭 (아마)
  • 일본 (8) : 세키 고타로 / 야마시타 게이고 / 쉬자위안 / 이다 아쓰시 / 모토키 가쓰야 / 위정치 / 오니시 류헤이 /
우에노 아사미 (여자)
  • 대만 (2) : 라이쥔푸 / 천치루이
  • 북미 (2) : 케빈 양 / 알렉산더 치
  • 유럽 (2) : 스타니수와프 프레일라크(폴란드)[1] / 벵자맹 드레앙게나이지아(프랑스)[2]



2.2.1. 64강[편집]


  • 일시 : 2023년 8월 3일
  • 장소 : 중국 허난성 정저우
  • 중계[3] : 바둑TV(문도원, 송태곤) / K바둑(장혜연, 박영훈)
- 중점 중계 대국 : 최정-구리, 신진서-저우홍위[H/L](공통)

대진결과
파일:중국 국기.svg 당이페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백홍석154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쉬자양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171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옌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129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딩하오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건호279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황밍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명훈198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랴오위안허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홍성지185수 흑 3집반승
파일:중국 국기.svg 스웨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156수 백 불계승[4]
파일:중국 국기.svg 미위팅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성준172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판팅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207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저우훙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274수 흑 3집반승
파일:중국 국기.svg 허위한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제훈200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구링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환영250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퉈자시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승현165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구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정221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롄샤오파일:일본 국기.svg 이치리키 료160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양카이원파일:일본 국기.svg 이야마 유타272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양딩신파일:일본 국기.svg 시바노 도라마루232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구쯔하오파일:일본 국기.svg 쉬자위안181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탄샤오파일:일본 국기.svg 세키 고타로232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자오천위파일:일본 국기.svg 모토키 가쓰야353수 백 1집반승[5]
파일:중국 국기.svg 셰커파일:일본 국기.svg 위정치246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왕순보파일:일본 국기.svg 오니시 류헤이228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후위칭파일:일본 국기.svg 야마시타 게이고364수 백 불계승[6]
파일:중국 국기.svg 위즈잉파일:일본 국기.svg 이다 아쓰시248수 백 2집반승
파일:중국 국기.svg 리쉬안하오파일:일본 국기.svg 우에노 아사미183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왕싱하오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쉬하오훙164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천셴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천치루이178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탕웨이싱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라이쥔푸304수 백 불계승[7]
파일:중국 국기.svg 커제파일:미국 국기.svg 알렉산더 치181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류위항파일:미국 국기.svg 케빈 양154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리웨이칭파일:폴란드 국기.svg 스타니슬라프168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파일:프랑스 국기.svg 벵자맹178수 백 불계승

8월 3일에 진행된 64강에서는 한국 기사 6명이 32강에 진출했다. 신진서는 저우홍위를 상대로 쉽게 이길 줄 알았던 예상과 달리 힘겹게 승리했으며, 최 정은 현역에서 은퇴한지 오래된 구리를 상대로 엎치락뒷치락 하는 끝에 마지막에 우세를 점유하며 승리했다. 박정환은 판팅위에게 시종일관 끌려다니며 패했다. 변상일과 김명훈은 비교적 쉽게 승리를 거두었으며, 박건호는 lg배우승자 딩하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 신민준과 안성준은 대마를 잡히며 패배했다. 홍성지는 중국의 랴오위안허에게 패했다. 그 외 한국 아마추어 선수들은 전패했다. 한국 입장에선 14전 6승 8패로 , 조금은 아쉬운 성적을 기록했다. 한국의 상위 기사 박정환과 신민준의 패배가 다소 아쉬웠다.

일본기사들의 선전도 눈에 띄였는데 시바노 도라마루는 양딩신을, 이치리키 료는 롄샤오를 각각 잡아냈고, 위정치는 신진서와 응씨배 결승 대국을 앞두고 있는 셰커를 잡기도 했다. 모토키 가쓰야는 자오천위를 잡고 32강에 진출했다.

2.2.2. 32강[편집]


진출구분국가구분(진출자수)진출자
본선 직행한국 (2)신진서(세계대회 우승 시드)
변상일(국가대표 상비군)
중국 (3)미위팅 (전기 우승)
구쯔하오 (와일드 카드)
리쉬안하오
일본 (2)이치리키 료, 시바노 도라마루
예선 통과한국 (4)김명훈, 원성진, 박건호(이상 일반조)
최정(여자조)
중국 (16)커제, 판팅위, 퉈자시, 당이페이, 탄샤오
셰얼하오, 리웨이칭, 왕싱하오, 랴오위안허, 쉬자양
양카이원, 구링이, 허위한, 류위항, 천셴
위즈잉 (여자)
일본 (4)야마시타 게이고, 모토키 가쓰야, 위정치, 오니시 류헤이
대만 (1)라이쥔푸

대진결과
파일:중국 국기.svg 탄샤오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라이쥔푸293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커제파일:일본 국기.svg 위정치181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쉬자양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208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판팅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158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리웨이칭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명훈332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양카이원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건호180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미위팅파일:일본 국기.svg 야먀시타 게이고293수 백 1집반승
파일:중국 국기.svg 류위항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186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천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224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위즈잉파일:일본 국기.svg 모토키 가쓰야219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당이페이파일:일본 국기.svg 오니시 류헤이236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리쉬안하오파일:일본 국기.svg 시바노 도라마루157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왕싱하오파일:중국 국기.svg 퉈자시228수 벡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구쯔하오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 정195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랴오위안허파일:일본 국기.svg 이치리키 료214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허위한파일:중국 국기.svg 구링이227수 흑 불계승

8월 4일에 진행된 32강전에서는 한국 기사 3명이 16강에 진출했다.신진서와 김명훈은 중반에 불리했던 바둑을 뒤집고 역전승했으며, 최근 세계대회에서 기세가 좋은 박건호는 양카이원을 압도하는 내용으로 완승을 거두었다. 변상일은 역전패를 당했고, 최정과 원성진은 완패를 당하며 탈락하고 말았다.

64강에서 선전을 했던 일본은 남은 기사 6명이 전원 탈락하면서 32강에서 여정을 마치게 되었다. 또한 유일하게 남아있던 대만 기사 라이쥔푸도 패하면서 대만도 전원 탈락했다.

이로써 16강은 한국 기사 3명, 중국 기사 13명이 진출하게 되어, 한국이 수적 열세에 놓인 상황에서 치르게 되었다.

2.2.3. 16강[편집]


진출구분국가구분(진출자수)진출자
본선 직행한국 (1)신진서(세계대회 우승 시드)
중국 (3)미위팅 (전기 우승)
구쯔하오 (와일드 카드)
리쉬안하오
예선 통과한국 (2, 일반조)김명훈, 박건호
중국 (10)커제, 당이페이, 탄샤오, 왕싱하오, 랴오위안허
쉬자양, 구링이, 류위항, 천셴
위즈잉 (여자)

대진결과
파일:중국 국기.svg 당이페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건호216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리쉬안하오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236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류위항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명훈171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구쯔하오파일:중국 국기.svg 천셴279수 흑 반집승
파일:중국 국기.svg 커제파일:중국 국기.svg 탄샤오298수 백 1집반승
파일:중국 국기.svg 쉬자양파일:중국 국기.svg 위즈잉275수 흑 3집반승
파일:중국 국기.svg 랴오위안허파일:중국 국기.svg 구링이228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미위팅파일:중국 국기.svg 왕싱하오215수 백 1집반승


한 수 아래의 선수들과 대진되었다는 평가에 맞지 않게 대한민국 기사들이 16강에서 전원 탈락하였다. 특히 큰 패착이 없었으나 리쉬안하오에게 패배한 신진서의 탈락이 뼈아픈 점. 결국 대한민국 기사들은 4회 대회에 이어 16강에서 전멸하면서 두 대회 연속 중국의 우승이 확정됐다.

2.2.4. 8강[편집]


  • 일시 : 2023년 12월

대진결과
파일:중국 국기.svg 당이페이파일:중국 국기.svg 구쯔하오- 수 - 승
파일:중국 국기.svg 미위팅파일:중국 국기.svg 랴오위안허- 수 - 승
파일:중국 국기.svg 쉬자양파일:중국 국기.svg 류위항- 수 - 승
파일:중국 국기.svg 탄샤오파일:중국 국기.svg 리쉬안하오- 수 - 승

2.2.5. 준결승[편집]



  • 일시 :

파일:중국 국기.svg - 0: 0 파일:중국 국기.svg -
대국
흑번
백번
1국 ( - / -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
- 수 - 승
2국 ( - / -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
- 수 - 승
3국 ( - / -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
- 수 - 승


파일:중국 국기.svg - 0: 0 파일:중국 국기.svg -
대국
흑번
백번
1국 ( - / -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
- 수 - 승
2국 ( - / -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
- 수 - 승
3국 ( - / -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
- 수 - 승

2.2.6. 결승[편집]



  • 일시 : 2024년 5월
  • 장소 :

제5회 Mlily 몽백합배 세계 바둑 오픈전 결승 5번기
파일:중국 국기.svg - 0: 0 파일:중국 국기.svg -
대국
흑번
백번
1국 ( - / -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
- 수 - 승
2국 ( - / -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
- 수 - 승
3국 ( - / -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
- 수 - 승
4국 ( - / -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
- 수 - 승
5국 ( - / -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
- 수 - 승
우승파일:중국 국기.svg -

3. 이야깃거리[편집]



  • 일본과 대만은 32강전에서 전패했다.

  • 한국은 두 대회 연속 16강전에서 전패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1 14:16:07에 나무위키 제5회 Mlily 몽백합배 세계 바둑 오픈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Stanisław Frejlak[2] Benjamin Dréan-Guénaïzia[3] 유튜브로만 중계하는 경우도 있으나 여기서는 적지 않았다.[4] 상대전적 4패였던 원성진이 스웨를 상대로 상대전적 통산 첫 승을거뒀다.[5] 32판의 대국 중 제일 마지막으로 종료되었다.[6] 길고 지루한 패싸움이 있었고 많이 진 걸 알고도 돌을 한참을 던지지 않던 후위칭 덕분에 양쪽 합쳐 사석만 100개나 나오면서 수수가 길어졌다.[7] 공배까지 다 메운 뒤 탕웨이싱이 2집 반 진 걸 알고 돌을 거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