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주시 갑

덤프버전 :

||
파일:국회선거구 제주시 갑.svg
선거인 수253,218명 (2020)
상위 행정구역제주특별자치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제주시 일부
삼도1동, 삼도2동, 용담1동, 용담2동, 노형동, 도두동, 오라동, 이호동, 외도동, 연동, 애월읍, 한림읍, 추자면, 한경면
신설년도2008년
이전 선거구제주시, 북제주군, 제주시·북제주군 갑, 제주시·북제주군 을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송재호




1. 개요[편집]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새롭게 신설된 선거구다. 舊 제주시와 舊 북제주군이 합쳐져 통합 제주시로 재편됨에 따라 선거구도 갑 지역구와 을 지역구로 나뉘었다. 서부 생활권은 갑 지역구, 동부 생활권은 을 지역구이며, 제주시 중앙로를 기준으로 나눈다. 중앙로에 걸쳐져 있는 동은 주민센터가 중앙로 서쪽에 있으면 갑 지역구, 동쪽에 있으면 을 지역구다. 사실 중앙로 동서로 걸치는 행정동은 전부 다 중앙로 동쪽에 주민센터가 있어서, 실질적으로는 그냥 삼도동-오라동부터 서쪽으로 쭉 이어진 선거구이다. 현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송재호 의원이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당선인당적임기선거구
13대고세진
무소속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제주시
이기빈북제주군
14대현경대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제주시
양정규북제주군
15대현경대
ta-hash-start=w-33d91fe91b97fd33bc0197a1a5b8814e[[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제주시
양정규북제주군
16대현경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제주시
장정언
ta-hash-start=w-6ab7fa24224ddd2c8cf2f573e68f8b13[[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2002년 6월 28일[1]북제주군
양정규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2002년 8월 9일 ~ 2004년 5월 29일
17대강창일
ta-hash-start=w-a5bc2fbf73a8b1066c993dcdba4e1d10[[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제주시·북제주군 [2]
김우남제주시·북제주군
18대강창일
ta-hash-start=w-fa6a0925d911185338b0acc93c66dc92[[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제주시 갑
19대
ta-hash-start=w-dd4dcb066b480bd9f09c388942cc2f15[[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20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21대송재호2020년 5월 30일 ~ 현재
22대

2.1. 제주시(13대~16대)[편집]



2.1.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제주시
제주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현경대(玄敬大)31,7202위
[include(틀:민주정의당)]33.50%낙선
2김성범(金性範)13,6213위
[include(틀:통일민주당)]14.38%낙선
3강종호(姜宗豪)7,9134위

ta-hash-start=w-f06e6286105961a312e5bd9b1b714a24[[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8.35%낙선
4신두완(申斗完)2,1725위
[include(틀:신민주공화당)]2.29%낙선
5고세진(高世鎭)39,2391위
[include(틀:무소속)]41.45%당선
선거인 수118,847투표율
80.38%
투표 수95,528
무효표 수863
당시 제주문화방송 선거 방송사고가 발생한 영향으로 제주도 선거판이 완전히 뒤집힌 선거가 바로 이 선거이다.

2.1.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제주시
제주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고세진(高世鎭)26,3413위

ta-hash-start=w-d9ff4e5efa087c26ac440ffcf4ad83f9[[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23.84%낙선
2양승부(梁承富)38,1152위


34.49%낙선
3임말시아(任말시아)2,2904위

무소속

2.07%낙선
4현경대(玄敬大)43,7341위

무소속

39.58%당선
선거인 수146,196투표율
76.33%
투표수111,593
무효표수1,113

2.1.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제주시
제주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현경대(玄敬大)46,6791위

ta-hash-start=w-e1f2362693f1b502f5ebd68cbd0ad87a[[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42.38%당선
2정대권(鄭大權)34,5652위

ta-hash-start=w-c4cde1597b4e9675a614372fc8aa81af[[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31.38%낙선
3신두완(申斗完)3,6934위


3.35%낙선
4송재훈(宋栽勳)2,8275위
2.56%낙선
5양승부(梁承富)22,3563위
20.30%낙선
선거인 수168,090투표율
66.71%
투표 수112,126
무효표 수2,006

2.1.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제주시
제주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현경대(玄敬大)53,2641위
46.70%당선
2정대권(鄭大權)49,5082위
43.41%낙선
4김용철(金龍徹)11,2723위
9.88%낙선
선거인 수184,294투표율
62.65%
투표 수115,453
무효표 수1,409

2.2. 북제주군(13대~16대)[편집]



2.2.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북제주군
북제주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양정규(梁正圭)17,0772위
[include(틀:민주정의당)]31.45%낙선
2강봉찬(姜奉瓚)5,1414위
[include(틀:통일민주당)]9.47%낙선
3이양화(李良化)1,9525위
3.59%낙선
4강창호(姜昶浩)5,6723위
[include(틀:신민주공화당)]10.44%낙선
5이기빈(李起彬)24,4411위
[include(틀:무소속)]45.02%당선
선거인 수65,060투표율
84.78%
투표 수55,156
무효표 수873

2.2.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북제주군
북제주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기빈(李起彬)24,3502위
45.35%낙선
2양정규(梁正圭)29,3431위
54.64%당선
선거인 수67,700투표율
81.13%
투표수54,922
무효표수1,229

2.2.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북제주군
북제주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양정규(梁正圭)15,9131위
30.92%당선
2홍성제(洪性齊)11,3622위
22.60%낙선
3강희찬(姜熹瓚)1,3165위
2.55%낙선
4강창호(姜昶浩)10,5614위
20.52%낙선
5김택환(金澤煥)11,0783위
21.52%낙선
6조현필(趙現弼)9636위
1.87%낙선
선거인 수70,641투표율
66.71%
투표 수53,149
무효표 수1,686

2.2.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북제주군
북제주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양정규(梁正圭)21,3922위
39.79%낙선
2장정언(張正彦)29,6941위
[include(틀:새천년민주당)]55.23%당선
3강봉찬(姜奉瓚)1,5913위
[include(틀:자유민주연합)]2.95%낙선
4김호민(金昊民)1,0854위
[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2.01%낙선
선거인 수73,973투표율
74.21%
투표 수54,893
무효표 수1,131

2.2.5. 2002년 재보궐선거[편집]


북제주군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양정규(梁正圭)21,1391위
50.78%당선
2홍성제(洪性齊)20,4932위
49.22%낙선
선거인 수74,255투표율
57.62%
투표 수42,783
무효표 수1,151
참고로 제주도 국회의원 선거에서 보수정당이 승리한 건 현재까지 이 선거가 마지막이다.

2.3. 제주시·북제주군 갑, 제주시·북제주군 을 (17대)[편집]



2.3.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제주시·북제주군 갑
삼도2동, 용담1동, 용담2동, 건입동, 화북동, 봉개동, 아라동, 오라동, 연동, 노형동, 외도동, 이호동, 도두동, 일도1동, 일도2동, 이도1동, 이도2동, 삼도1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현경대(玄敬大)51,4092위
43.76%낙선
3강창일(姜昌一)56,6081위
48.19%당선
4김창업(金昌業)1,3854위
1.17%낙선
5김효상(金孝相)8,0603위
6.86%낙선
선거인 수197,622투표율
60.14%
투표 수118,842
무효표 수1,380

17대 총선 제주 제주시·북제주군 갑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현경대강창일
득표수
(득표율)
51,409
(43.76%)
56,608
(48.19%)
-5,199
(▼4.43)
60.14%
일도1동48.51%45.52%△2.9954.28
일도2동46.48%46.05%△0.4361.77
이도1동48.97%44.72%△4.2559.34
이도2동43.36%48.70%▼5.3460.71
삼도1동48.26%45.19%△3.0760.34
삼도2동46.87%44.08%△7.4854.52
용담1동43.36%48.31%▼1.5256.26
용담2동44.04%50.32%▼2.4158.55
건입동43.83%47.09%▼3.2656.53
화북동38.35%52.08%▼13.7360.95
봉개동37.60%52.59%▼14.9958.76
아라동38.58%51.69%▼13.1159.54
오라동41.21%49.72%▼8.5162.61
연동45.44%48.15%▼2.7155.45
노형동[3]43.22%48.95%▼5.7359.08
외도동36.70%54.06%▼17.3662.17
이호동42.54%49.13%▼6.5962.63
도두동43.98%48.06%▼4.0871.15
후보현경대강창일격차
부재자투표46.46%42.37%△4.09

제주시·북제주군 을
한림읍, 애월읍, 구좌읍, 조천읍, 한경면, 추자면, 우도면, 삼양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동완(金東完)15,7032위
31.34%낙선
2홍성제(洪性齊)9,0153위
17.99%낙선
3김우남(金宇南)19,0531위
38.02%당선
4김용철(金龍徹)3,1465위
6.27%낙선
5부청하(夫淸河)3,1874위
6.36%낙선
선거인 수81,135투표율
62.88%
투표 수51,016
무효표 수912

17대 총선 제주 제주시·북제주군 을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김동완홍성제김우남
득표수
(득표율)
15,703
(31.34%)
9,015
(17.99%)
19,053
(38.02%)
- 3,350
(▼6.68)
51,016
(62.88%)
한림읍55.08%15.34%23.91%△31.1765.78
애월읍26.96%32.07%31.22%△0.8565.41
구좌읍[4]18.81%10.80%62.87 %▼44.0667.92
조천읍[5]24.96%10.35%41.15%▼16.1963.53
한경면[6]36.00%17.74%25.27%△10.7365.91
추자면24.15%22.40%44.71%▼20.5649.83
우도면23.27%11.69%60.84%▼37.5764.75
삼양동[7]26.42%8.50%50.79%▼24.3730.00
후보김동완홍성제김우남격차
부재자투표23.56%19.31%36.04%▼12.48

2.4. 제주시 갑 (18대~현재)[편집]



2.4.1.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제주시 갑
삼도1동, 삼도2동, 용담1동, 용담2동, 연동, 오라동, 노형동,
외도동, 이호동, 도두동, 한림읍, 애월읍, 한경면, 추자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창일(姜昌一)32,7071위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39.29%당선
2김동완(金東完)22,5923위
[include(틀:한나라당)]27.14%낙선
6유병녀(劉炳女)1,2314위
[include(틀:평화통일가정당)]1.48%낙선
7현경대(玄敬大)26,7112위
[include(틀:무소속)]32.09%낙선
선거인 수160,569투표율
52.34%
투표 수84,049
무효표 수808

18대 총선 제주 제주시 갑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강창일김동완현경대
득표수
(득표율)
32,707
(39.29%)
22,592
(27.14%)
26,711
(32.09%)
+5,996
(△7.20)
52.34%
삼도1동37.48%21.64%39.49%▼2.0152.66
삼도2동37.39%20.98%40.20%▼2.8145.69
용담1동38.07%21.08%38.83%▼0.7647.65
용담2동41.15%20.39%37.38%△3.7749.88
연동38.29%22.09%38.61%▼0.3345.10
오라동42.38%21.02%34.59%△7.7953.21
노형동[8]39.87%21.52%37.52%△2.3549.87
외도동44.30%21.46%32.72%△11.5850.52
이호동37.07%19.55%41.91%▼4.8455.89
도두동40.96%20.78%36.55%△4.4160.14
한림읍25.49%59.22%13.78%▼33.7358.86
애월읍41.68%30.29%26.19%△11.3955.71
한경면[9]61.21%26.68%10.84%34.5365.28
추자면36.64%26.49%33.03%△3.6139.97
후보강창일김동완현경대격차
부재자투표34.02%31.63%31.00%△3.02
한나라당친박계에 대한 공천학살 가운데 낙천당한 현경대가 무소속 출마를 감행하면서 보수표가 분열되었고, 그 결과 현역 강창일 의원이 재선에 성공했다.

2.4.2.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제주시 갑
삼도1동, 삼도2동, 용담1동, 용담2동, 연동, 오라동, 노형동,
외도동, 이호동, 도두동, 한림읍, 애월읍, 한경면, 추자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현경대(玄敬大)37,8782위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39.09%낙선
2강창일(姜昌一)42,0061위
[include(틀:민주통합당)]43.35%당선
6장동훈(張東訓)13,5273위
[include(틀:무소속)]13.95%낙선
7고동수(高東秀)3,4884위
[include(틀:무소속)]3.59%낙선
선거인 수173,316투표율
56.44%
투표 수97,822
무효표 수923

19대 총선 제주 제주시 갑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현경대강창일장동훈
득표수
(득표율)
37,878
(39.09%)
42,006
(43.35%)
13,527
(13.95%)
-4,128
(▼4.26)
56.44%
삼도1동47.69%39.56%7.98%△8.1355.17
삼도2동49.47%39.92%6.87%△9.5550.44
용담1동47.71%40.25%8.82%△7.4651.48
용담2동44.56%43.16%9.07%△1.4053.67
연동44.79%42.06%9.67%△2.7349.77
오라동42.10%44.49%8.48%▼2.3957.16
노형동38.82%42.62%15.09%▼4.8057.88
외도동37.29%46.89%12.63%▼9.5055.92
이호동49.86%36.14%11.26%△13.7258.46
도두동44.57%40.38%12.42%△4.1959.33
한림읍24.58%34.64%38.76%▼4.1258.44
애월읍34.44%48.41%12.61%▼13.9758.75
한경면25.17%62.15%11.43%36.9865.51
추자면37.86%40.16%18.88%▼2.3051.00
후보현경대강창일장동훈격차
국외부재자투표25.69%64.22%4.59%38.53
국내부재자투표36.17%45.65%11.59%▼9.48
4년 전과 반대로 이번엔 현경대새누리당 공천을 받았고 이에 반발한 장동훈, 고동수 두 예비후보가 무소속 출마하며 보수진영은 또다시 적전분열을 일으켰다. 반대로 야권의 경우 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 간에 야권연대가 이루어졌고 민주통합당 강창일 후보와 통합진보당 이경수 후보 간 후보단일화 경선을 통해 강창일로 단일화가 되었다. 그 결과는 강창일의 신승.

2.4.3.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제주시 갑
삼도1동, 삼도2동, 용담1동, 용담2동, 연동, 오라동, 노형동,
외도동, 이호동, 도두동, 한림읍, 애월읍, 한경면, 추자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양치석(梁治錫)38,2572위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36.73%낙선
2강창일(姜昌一)49,9641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47.98%당선
3장성철(張性哲)15,9143위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15.28%낙선
선거인 수190,415투표율
55.43%
투표 수105,546
무효표 수1,411

20대 총선 제주 제주시 갑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양치석강창일장성철
득표수
(득표율)
38,257
(36.73%)
49,964
(47.98%)
15,914
(15.28%)
+ 11,707
(△11.25)
55.43%
삼도1동39.62%45.66%14.72%△6.0453.13
삼도2동41.17%44.53%14.30%△3.3648.60
용담1동40.64%43.47%15.89%△2.8350.78
용담2동39.25%46.40%14.34%△7.1551.27
연동35.01%49.17%15.82%△14.1648.18
오라동32.12%52.53%15.36%△20.4157.01
노형동31.54%51.66%16.81%△20.1253.70
외도동32.91%50.60%16.49%△17.6954.81
이호동44.43%42.86%13.19%△1.5756.78
도두동42.94%41.02%16.04%△1.9257.33
한림읍46.57%39.79%13.65%△6.7854.11
애월읍44.26%40.91%14.83%△3.3557.16
한경면34.70%56.97%8.34%△22.2762.64
추자면41.63%46.83%11.54%△5.2055.20
후보양치석강창일장성철격차
거소·선상투표37.82%42.65%19.54%△4.83
관외사전투표26.55%56.10%17.34%△29.55
국외부재자투표17.68%67.07%15.24%△49.39
앞선 두번의 선거와 달리 보수정당 후보 한 명과 야권 후보 두 명의 구도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현역 강창일 의원이 3선을 하는 동안 쌓아놓은 기반과 의정활동 등으로 무난하게 새누리당 양치석 후보를 따돌리고 당선되었다. 이로써 강창일은 제주도에서 도중에 낙선 없이 연속해서 4선을 한 최초의 의원이 되었다.

2.4.4.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제주시 갑
삼도1동, 삼도2동, 용담1동, 용담2동, 연동, 오라동, 노형동,
외도동, 이호동, 도두동, 한림읍, 애월읍, 한경면, 추자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송재호(宋在祜)61,6261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48.70%당선
2장성철(張性哲)46,9092위
[include(틀:미래통합당)]37.07%낙선
6고병수(高秉秀)9,2603위
[include(틀:정의당(2013~2021))]7.31%낙선
7문대탄(文大彈)7735위
[include(틀:우리공화당)]0.61%낙선
8현용식(玄龍植)5247위
[include(틀:무소속)]0.41%낙선
9박희수(朴喜秀)6,9014위
[include(틀:무소속)]5.45%낙선
10임효준(林孝俊)5476위
[include(틀:무소속)]0.43%낙선
선거인 수208,660투표율
61.36%
투표 수128,031
무효표 수1,491

21대 총선 제주 제주시 갑 개표 결과
정당[include(틀:더불어민주당)][include(틀:미래통합당)][include(틀:정의당(2013~2021))][include(틀:무소속)]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송재호장성철고병수박희수
득표수
(득표율)
61,626
(48.70%)
46,909
(37.07%)
9,260
(7.31%)
6,901
(5.45%)
+ 14,717
(△11.63)
128,031
(61.35%)
삼도1동44.90%39.08%6.63%7.80%△5.8261.14
삼도2동[E]44.59%39.50%7.83%6.63%△5.1055.82
용담1동44.37%38.33%8.01%7.64%△6.0456.32
용담2동[F]44.92%37.69%7.50%8.21%△7.2257.80
오라동[K]49.91%32.06%6.93%9.96%△17.8562.70
연동[L]47.89%38.49%6.79%5.42%△9.4055.51
노형동[M]49.92%35.53%7.92%5.48%△14.3961.01
외도동56.99%29.27%7.90%4.60%△27.7262.11
이호동50.87%36.00%6.43%5.78%△14.8764.02
도두동50.43%35.80%5.92%5.86%△14.6465.11
한림읍43.75%45.63%6.04%3.03%▼1.8855.93
애월읍46.06%42.54%6.58%3.54%△3.5259.15
한경면47.73%39.34%8.10%2.98%△8.3959.22
추자면44.85%[10]44.85%[11]2.27%5.62%059.63
후보송재호장성철고병수박희수격차
거소·선상투표43.44%28.27%11.95%5.74%△15.17
관외사전투표53.77%30.28%8.91%4.82%△23.50
재외투표76.69%14.56%5.82%1.94%△62.14
더불어민주당에선 강창일 의원이 불출마 선언을 했다. 중앙당에서 전략공천 지역으로 분류했지만 박희수 전 도의회 의장과 문윤택 제주국제대학교 교수협의회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했으나 결국 송재호 전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을 전략공천으로 확정했다. 박희수 전 도의회 의장은 이에 반발해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다.

미래통합당에선 고경실 전 제주시장, 구자헌 전 도위원장, 김영진 전 관광협회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했고, 장성철 전 제주도 기획위원장이 공천되었다.

정의당에선 고병수 도위원장이 예비 후보로 등록했다.

이외에도 김용철 공인중개사, 양길현 제주대학교 교수, 임효준 전 제주매일 부국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무소속 후보들이 표를 잠식했음에도 불구하고 더불어민주당 송재호 후보가 11.6%p 차로 미래통합당 장성철 후보를 꺾고 승리하며 자신의 경쟁력을 증명했다.

여담으로 국가혁명배당금당이 후보를 내지않은 지역구 중 하나다.

2.4.5.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제주시 갑
삼도1동, 삼도2동, 용담1동, 용담2동, 연동, 오라동, 노형동,
외도동, 이호동, 도두동, 한림읍, 애월읍, 한경면, 추자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1]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당선 무효.[2] ※ 제주시·북제주군 : 기존 제주시 선거구에서 삼양동만 을 선거구로 넘어갔다.[3] 현경대 후보의 고향[4] 김우남 후보의 고향[5] 조천읍에서는 부청하 후보가 3위를 기록했다(18.75%)[6] 한경면에서는 김용철 후보가 3위를 기록했다(19.16%)[7] 삼양동에서는 김용철 후보가 3위를 기록했다.(10.04%)[8] 현경대 후보의 고향[9] 강창일 후보의 고향[E] 제주목관아가 있었던 제주도의 전통적 중심지[F] 용두암제주국제공항이 있는 동네[K] 버스터미널 및 종합경기장이 있는 동네[L] 제주도청 및 번화가가 있는 신제주의 중심지이자 한라수목원, 제9해병여단이 있는 동네[M] 신시가지(신제주)가 있는 동네[10] 375표로 미래통합당 장성철 후보와 동률을 기록했다.[11] 375표로 더불어민주당 송재호 후보와 동률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