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조선축구대회

덤프버전 :

1. 개요
2. 연혁
2.1. 역대 우승 구단
2.2. 우승 횟수
3. 전문부 별도 연혁
3.1. 역대 전문부 우승 구단
3.2. 전문부 우승 횟수
4. 중등부 별도 연혁
4.1. 역대 중등부 우승 구단
4.2. 중등부 우승 횟수




1. 개요[편집]


대한축구협회 FA컵의 전신인 전국축구선수권대회의 전신이다. 1921년 조선체육회가 주최한 제2회 전조선체육대회정구와 더불어 축구를 정식 종목으로 채택하면서 개최했으며 한국 축구 최초의 내셔널 컵 대회이기도 하다.

1921년부터 1940년까지 총 21회 개최했지만 일제가 조선의 모든 축구단을 강제로 천황배에 참가하도록 강제하면서 대회도 폐지했다.

관서체육회가 1925년 평양에서 창설한 동명의 전조선축구대회가 있지만 서로 별개의 대회다.


2. 연혁[편집]


  • 아래 기록은 대회 최고 부문인 청년부(혹은 일반부) 기준 기록이다.


2.1. 역대 우승 구단[편집]


연도우승결과준우승
1921-[1]
1922[2]무오축구단[3]3-0불교청년회
1922[4]불교청년회[5]2-0건강구락부[6]
1923불교청년회3-1무오축구단[7]
1924건강구락부6-3수양구락부
1925[8][9]조선축구단3-2고려구락부
1926무오축구단3-2조선축구단
1927[10]연희전문[연세대]7-0조선축구단
1928연희전문[연세대]3-0보성전문[고려대]
1929보성전문[고려대]3-1연우구락부
1930연희전문[연세대]3-2보성전문[고려대]
1931숭실전문[숭실대]3-1연희전문[연세대]
1932[11]청진축구단[리그전]계림축구단
1933조선축구단2-1경성축구단
1934평양축구단3-1조선축구단
1935청진축구단3-0철도국축구단
1936경성축구단4-2순천축구단
1937서울축구단2-0동방축구단
1938함흥축구단4-0경성축구단
1939철도국축구단0-0[12]경성축구단
1940마장축구단1-0선일축구단


2.2. 우승 횟수[편집]


구단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조선축구단441922(2), 1923, 1925, 19331922(1), 1926, 1927, 1934
연세대학교311927, 1928, 19301931
무오청년회211922(1), 19261923
청진축구단201932, 1935-
경성축구단1319361933, 1938, 1939
고려대학교1219291928, 1930
건강구락부1119241922
대전 한국철도1119391935
숭실대학교101931-
평양축구단101934-
서울축구단101937-
함흥축구단101938-
마장축구단101940-
수양구락부01-1924
고려구락부01-1925
연우구락부01-1929
계림축구단01-1932
순천축구단01-1936
동방축구단01-1937
선일축구단01-1940

  • 서울의 불교청년회[13]와 평양의 무오청년회는 각각 서울과 평양을 대표하는 구단이었으며, 둘이 맞붙는 경기는 라이벌전이라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서울과 평양을 대표하는 진정한 라이벌전은, 서울과 평양 서로에게 자극 받아 1933년 같은 해에 결성된, 경성축구단과 평양축구단[14] 간의 경평대항축구전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경평대항축구전 문서 참고.


3. 전문부 별도 연혁[편집]


  • 1925년 전조선축구대회에 전문부[15]가 신설되고 2년 후 전문부가 청년부에 통합된 뒤 전문학교 팀들이 청년부 우승과 준우승을 거의 독차지하는 것으로 보아 당시 최고의 축구팀들은 전문학교 팀들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전문부가 청년부에 통합된 지 5년 후 다시 전문부를 부활시킨 것을 보면, 전문학교 팀들이 성인 무대를 독식하는 것에 불만을 가진 이들의 문제 제기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전문부가 신설된 1925년부터 전문부의 기록만 분리해서 다음 표로 정리했다.


3.1. 역대 전문부 우승 구단[편집]


연도우승결과준우승
1925연희전문[연세대]0-0[16]숭실전문[숭실대]
1926연희전문[연세대]3-2숭실전문[숭실대]
1927연희전문[연세대]7-0조선축구단
1928연희전문[연세대]3-0보성전문[고려대]
1929보성전문[고려대]3-1연우구락부
1930연희전문[연세대]3-2보성전문[고려대]
1931숭실전문[숭실대]3-1연희전문[연세대]
1932보성전문[고려대]2-0연희전문[연세대]
1933숭실전문[숭실대]4-1연희전문[연세대]
1934보성전문[고려대]2-1연희전문[연세대]
1935연희전문[연세대]3-1보성전문[고려대]
1936연희전문[연세대]2-1보성전문[고려대]
1937연희전문[연세대]4-2경성치과의학전문
1938보성전문[고려대]4-1연희전문[연세대]
1939보성전문[고려대]2-0연희전문[연세대]
1940보성전문[고려대]2-0연희전문[연세대]


3.2. 전문부 우승 횟수[편집]


구단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연세대학교871925, 1926, 1927, 1928, 1930,
1935, 1936, 1937
1931, 1932, 1933, 1934, 1938,
1939, 1940
고려대학교641929, 1932, 1934, 1938, 1939,
1940
1928, 1930, 1935, 1936
숭실대학교221931, 19331925, 1926
조선축구단01-1927
연우구락부01-1929
경성치과의학전문학교[17]01-1937


4. 중등부 별도 연혁[편집]


  • 중등부는 전조선축구대회 창설원년부터 존재했던 부문으로서 현재의 고등학교라 할 수 있는 고등보통학교각종학교가 참가하였다. 현재 고등부 유소년 축구의 시초라 볼 수 있다.


4.1. 역대 중등부 우승 구단[편집]


연도우승결과준우승
1921-[18]
1922[19]휘문고등보통학교[휘문고]3-0중앙고등보통학교[중앙고]
1922[20]휘문고등보통학교[휘문고]2-1숭실학교[숭실고]
1923배재고등보통학교[배재고]4-4[21]중앙고등보통학교[중앙고]
1924배재고등보통학교[배재고]3-0평양고등보통학교
1925배재고등보통학교[배재고]3-0경신학교[경신고]
1926배재고등보통학교[배재고]5-2경신학교[경신고]
1927숭실학교[숭실고]3-1배재고등보통학교[배재고]
1928경신학교[경신고]8-0경성실업전수학교
1929경신학교[경신고]2-0보성고등보통학교[보성고]
1930숭실학교[숭실고]2-0경성실업전수학교
1931숭실학교[숭실고]1-0경신학교[경신고]
1932경성농업학교미상배재고등보통학교[배재고]
1933경성농업학교2-1신천신성학교
1934숭실학교[숭실고]2-0중동학교[중동고]
1935휘문고등보통학교[휘문고]1-0숭실학교[숭실고]
1936경신학교[경신고]3-0영생고등보통학교
1937배재고등보통학교[배재고]2-1재령명신학교
1938배재고등보통학교[배재고]1-0중동학교[중동고]
1939중동학교[중동고]1-0보성고등보통학교[보성고]
1940중동학교[중동고]3-2보성고등보통학교[보성고]


4.2. 중등부 우승 횟수[편집]


구단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배재고등학교611923, 1924, 1925, 1926, 1937,
1938
1927
숭실고등학교421927, 1930, 1931, 19341922(2), 1935
경신고등학교331928, 1929, 19361925, 1926, 1931
휘문고등학교301922(1), 1922(2), 1935-
중동고등학교221939, 19401934, 1938
경성농업학교101933-
보성고등학교03-1929, 1939, 1940
중앙고등학교02-1922(1), 1923
경성실업전수학교02-1928, 1930
평양고등보통학교01-1924
신천신성학교01-1933
영생고등보통학교01-1936
재령명신학교01-1937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5:20:55에 나무위키 전조선축구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심판 판정 불만으로 경기가 중단되어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2] 1922년 2월에 치러졌다.[3] 1918년 창단 되었으며, 평양무오단이라는 별칭으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1933년에 평양축구단으로 바뀐다.[4] 1922년 11월에 치러졌다.[5] 1917년 경성부를 연고로 창단하였으며, 1925년에 조선축구단으로 바뀐다.[6] 구락부는 영어 Club을 한자로 음역한 단어이다.[7] 대한축구협회에서는 1923년도 전조선축구대회 준우승팀을 무오축구단이라고 기록하고 있으나, 당시 발행된 신문기사에서는 임술청년회를 준우승팀으로 보도하였다.#[8] 전문부가 신설되면서 전문학교 팀들이 전문부에서 대회를 치르게 되었다.[9] 전문은 전문학교의 준말이며, 전문학교는 일제강점기 당시 현재의 대학교를 이르는 말이었다.[10] 전문부가 청년부에 통합되면서 전문학교 팀들이 청년부에 편입되었다.[연세대]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연희전문은 연세대학교의 옛 이름이다.[고려대] A B C D E F G H I J K L M 보성전문은 고려대학교의 옛 이름이다.[숭실대] A B C D E 숭실전문은 숭실대학교의 옛 이름이다.[11] 전문부가 부활하면서 전문학교 팀들은 전문부에서 대회를 치르게 되었다.[리그전] 청년부 대회가 리그전으로 치러졌으며 청년부 우승팀과 준우승팀은 표기된 바와 같다.[12] 당시에는 무승부 시 프리킥 1점, 슈팅 1점 등으로 점수를 계산해 점수가 더 높은 팀이 승리했다.[13] 조선축구단의 전신이다.[14] 재정적 문제로 1932년 즈음에 해체된 무오청년회의 주요 인사들이 평양축구단 창단에 다수 참여했다. 이 때문에 평양축구단을 무오청년회의 정신적 후신으로 본다.[15] 전문은 전문학교의 준말이며, 전문학교는 일제강점기 당시 현재의 대학교를 이르는 말이었다.[16] 당시에는 무승부 시 프리킥 1점, 슈팅 1점 등으로 점수를 계산해 점수가 더 높은 구단이 승리했다.[17] 1945년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에 병합되어 사라졌다.[18] 심판 판정 불만으로 경기가 중단되어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19] 1922년 2월에 치러졌다.[휘문고] A B C [중앙고] A B [20] 1922년 11월에 치러졌다.[숭실고] A B C D E F [배재고] A B C D E F G H [21] 당시에는 무승부 시 프리킥 1점, 슈팅 1점 등으로 점수를 계산해 점수가 더 높은 구단이 승리했다.[경신고] A B C D E F [보성고] A B C [중동고] A B C D